광개토왕릉비의 검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비문의 특성과 내용
2. 비문의 연구
1)왕비의 발견과 일본의 연구
2)일본외의 연구
①정인보의 연구
②김석형의 연구
③박시형의 연구
④이진희의 연구
⑤왕건군의 연구
3)전치문설
3. 비문에 나타난 당시 정세
1)비려
2)백제
3)신라
4)동부여
5)왜
4. 수묘인 제도
5. 맺음말

본문내용

국이 아닌 이질적인 세력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고구려인들이 歸王 屬民 朝貢國으로 파악한 고구려적 전하에서 벗어나 있는 존재로 왜를 서술하고 있으며, 이들은 백제, 가라 등과 화통하여 4~5세기 한반도에 출몰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단순한 해적집단이나 재지세력으로 보기는 어렵다. 초기 야마토 정권의 군사력으로 보는 것이 순리이다. 다만 그들의 조직이나 규모는 고구려 사신에 의해 과장되게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3.수묘인 제도
수묘인이란 광개토왕비의 묘를 지키는 사람으로, 비 건립의 근본적인 의의에 속하여, 비문에 있듯이 수묘인제를 명확히 하는 것에 관계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원래 광개토왕비는 장수왕이 부왕의 공적을 칭송하고 또 수묘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건립한 것이므로, 비에서 차지하는 내용도 많은데 종래에는 이보다도 신묘년 기사에 대한 연구에만 집중된 감이 있다.
비문의 제3면 제4면은 수묘인 제도의 확립을 위해 쓰여지고있다. 광개토왕 이전에 18대 계속된 왕묘에 석비를 안치하지 않은 사실이 있고, 수묘인을 명확히 하지 않은 것에 의해, 연호에 잘못이 일어나거나 귀족간에 멋대로 매매되게 되었다. 그래서 비문에는 수묘인을 상호 전매해서는 안되는, 귀족이라도 멋대로 수묘인을 사서는 안되는, 이 법률에 위반하는 자가 있으면, 수묘인을 판 자는 刑하고, 산 자는 법률에 따라 수묘인으로 한다고 명확히 한 것이다.
비문에 수묘인은 구민 110가 한예 220가, 총 330가로 구성되어 있고 국연 30가, 간연 300가로 구성된다고 한다. 국연은 국내성에 있으면서 수묘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간연은 지방에서 거주하면서 국연이 수묘인 역할을 하는데 경제적 뒷받침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국연과 간연의 비율이 1:10인 것으로 보아 이들은 일정기간 순환 복무 방식을 가지고 수묘인 일을 한 것으로 보인다.
수묘인의 성격에 대해서는 노예설, 농노설 등이 있으나 양인 가운데 차출되어 양인 신분을 무덤을 지키는 천한 일을 수행하는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4, 광개토왕릉비의 연구전망
지금까지 광개토왕릉비에 대한 발견과 연구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비문의 연구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것은 신묘년 기사에 관한 부분이었다. 이는 결자와 해석의 방법에 따라 한일 고대사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많은 논쟁이 있었다. 그래서 여기에 연구가 집중되다 보니 그 외 다른 비문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그러나 비문은 고구려의 지배방식, 고구려의 천하관에 따른 주변국가와의 관계 문제, 구체적 정복지역 비정 문제 등 당시 동아시아사 해명을 위해 다양한 측면의 사료로 활용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비문에 대한 과학적 판독 작업이 꼭 필요하다.
그리고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태왕릉과 장군총으로 좁혀지는 범위에서 광개토왕릉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도 비문의 연구와 연결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권오엽,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 기기(記紀)신화, 보고사, 2001
후지따 토모지 저, 『호태왕비 논쟁의 해명』, J & C,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0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