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코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완성형 한글코드

2. 조합형 한글코드

3. 완성형 한글과 조합형 한글

4. 유니코드

본문내용

혹평을 받고 있다. 특히 영어를 제외한 외국어를, 다른 나라 언어와 함께 웹에서 구현을 할 때(예- 중국어와 일본어,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와 중국어 및 아랍어를 동시에 사용할 때 기타 히브리어 등),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아스키 코드보다 두 배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통신 등에서는 그만큼의 낭비가 되지만 유니코드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을 하나만 만들면 모든 나라들의 글자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큰 이점도 되는 것이다.
***
일반 PC는 물론 MAC 서버급 대형컴퓨터 그리고 서체 관련분야에도 대단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동양에서는 일본, 한국, 대만, 중국의 언어가 각각의 서체로 놓여 있었지만 최근 폰트의 통합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이에 대한 귀추가 주목을 받고 있다.
국가 유관련 기관에서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일반 pc 및 서버급 pc에도 차차 확대를 하여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중국과 일본도 "만국마(萬國碼)" ,"다언어(多言語)"라고 의미로 널리 알려져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동양권에서는 유니코드에서의 한자의 비중이 높은 만큼 서체의 통합과 입출력방식에 많은 논의를 해오고 있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6.1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