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콘텐츠 산업의 경쟁 구도가 바뀐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현재 일본에서 서비스 중인 경매나 배달과 같은 참신한 모바일 콘텐츠가 발전하려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콘텐츠 업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벤처 캐피탈 형태의 대기업 자본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수백의 모바일 콘텐츠업체 중 IPO를 하는 업체는 현재 몇 개 업체에 지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아직 남아 있다. 이런 경우 대기업 자본은 지명도가 있는 소수 상위 기업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다양한 콘텐츠 발굴이라는 본래의 의미는 퇴색한다. 따라서 적극적인 기업 공개와 같은 콘텐츠 업체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적극적인 네트워킹
일본의 모바일 콘텐츠 업체는 콘텐츠 개발력은 물론, 네트워크 기술과 다양한 서비스 범위, 그리고 자금력까지 갖춘 대형 전문 업체로 성장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이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하면서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의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유저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검색하는 대신, 조회수 1위의 콘텐츠를 구매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시장 선발자가 유리하다. 국내 업체의 해외 진출에는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국내 업체가 세계 시장에서 이들과 경쟁하려면 비슷한 역량을 가진 전문 콘텐츠 기업의 등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방법은 여러 가지다. 기존의 무선 콘텐츠 기업이 연합하거나, 유선 포털이 콘텐츠 업체와 협력하는 방안, 또는 M&A나 합작을 통해 국내 대기업의 자회사 형태로 전문 모바일 콘텐츠 업체가 탄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업계 전반에 걸친 협력과 산업 협회의 조율 그리고 M&A 활성화와 같은 제도적 장치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 안목에 근거한 공조가 필요
세계 최고의 모바일 인프라를 갖춘 우리나라가 3세대 이동통신 시장에서도 통신 강국의 지위를 유지하려면 모바일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육성이 중요하다.
창의성을 갖춘 중소 업체가 풍부하고 신선한 아이디어로 업계를 끌고왔다면 새롭게 진출하는 대형 업체들은 자금력과 글로벌 네트워킹이라는 경쟁 요소를 더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직 시장은 초기 단계이며, 기술 표준화, 콘텐츠 아이템의 발굴 등과 같은 남은 과제들이 많다. 패권 확보를 위한 단기 경쟁 보다는 산업 전체의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조의 묘가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한국이 세계 모바일 콘텐츠 시장에서도 우뚝 설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8.0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