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연구와 한국사교육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연구와 한국사교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한국사연구와 ‘국사’의 거리
1) 교육목표의 측면
2) 교육내용의 측면

3. 한국사연구가 도와야 할 ‘국사’
1) 교육내용의 다양화
2) 변화와 연속성의 조율
3) 특수성과 보편성의 균형

4. 결어

본문내용

있다. 그러면서 침략을 받고 지배까지 당한 사실은 역사적인 설명보다는 감정적 비난성 서술을 하고 있어, 역사의 수평적 관점에서 다시 검토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한중일 세 나라는 동아시아문화권으로 지칭되는 역사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이웃의 역사가 우리 역사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에 관한 수평적 접근은 우리 역사의 세계사적 이해라는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는 ‘국사’교육이 목표로 하고 있는 특수성과 보편성이란 역사교육 목표의 양 날개를 달 수 있는 길이기도 한다. 또 역사의 교훈은 우리의 부정적 과거를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는 것과, 곧 ‘세계사’를 배울 학생들에게 거기에 걸맞는 준비단계로서의 ‘국사’교육의 기능에도 유념해야 한다.
이와 같이 역사의 민족주의적 접근은 민족주의적 이해보다는 민족체에 대한 충성의무를 앞세움으로써 내적으로는 개인이나 소수집단에 대한 억압 이데올로기로 사용되고 국제적으로는 배타적 국수주의로 발전할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이제 우리 역사에서 민족문제 접근도 혈통과 전통의 원칙에 무게를 실었던 과거의 형태에만 머물지 말고, 민주국가로서 시민사회의 원칙에 선 민족주의적 접근으로의 이행을 심각하게 고려할 때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세계화시대의 민주시민 양성이란 ‘국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4. 결어
교육현장에서 ‘국사’의 필수과목 해체 요구, ‘국사’ 및 ‘세계사’에 대한 학습배정시간 및 수능시험에서 배점비율의 상대적 감소, 대학원에서 역사전공 지망생의 격감, 각종 시험에서 한국사 및 문화사 과목의 제외 등 일련의 현상을 볼 때 역사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육관계자는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할 때이다.
여기서 전문 역사가가 할 일은 역사 연구성과를 교육에 의미 있는 형태로 정리 또는 구성하여 제시하는 데 참여하는 것이다. 교육방법이 전통적인 표준사 공유이든 역사적 사고역의 함양이든 역사교육의 내용은 그 연구성과에 기초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전문성은 역사교육의 핵심요소가 되느니 만큼 학자들은 역사교육을 위한 협의체 구성에도 능동적 참여가 있어야 한다.
역사교육에 한층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연구성과물의 생산도 전문역사가가 고려할 문제다. 연대인명사실이 덜 들어간 분야 또는 시대별 정이서, 전저, 편집서 등의 형식을 띤 연구성과가 필요한 시점이다. 나아가 한국사의 대중화란 차원에서 서술된 한국사도 기대해 봄직하다.
연구성과의 통제도 한국사학계는 물론 역사교육을 돕는다는 차원에서 한국사학계가 고려할 문제이다. 이는 양이 질을 낳는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학자는 물론 교육계에는 큰 짐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한국사교육은 우리의 보편교육, 즉 초중고등학교에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 자체가 효과적 교육과 저절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여기에는 한국사 교육이 학생은 물론 일반 사회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도록 만드는 노력이 필요한데 이는 전문학자를 비롯한 모든 역사교육 관계자의 몫이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1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9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