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상인 case 간략해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0. 사안의 적용

1. 상인이란?

2. 프렌차이즈업이란?

3. 사안의 적용

4. 결론

본문내용

논제
A는 "꼬끼오"라는 상호와 상표하에 치킨요리판매업을 영위하여 오면서 상당한 명성과 지명도를 갖게 되었다. A는 그 동안 축적된 노하우와 "꼬끼오"라는 상표와 상호의 사용을 B에게 허락하면서 일정한 로열티를 받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경우 A는 상인인가?
문제의 제기
가) A행위가 상행위가 되는지의 문제이다
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행법상 상인의 범위를 살핀다
다) A와 B 사이에서 벌어진 가맹사업거래의 의의를 살핀다.
1 상인이란?
가) 상인의 개념
기업은 개인기업이든 공동기업이든 영리의 실현을 위하여 다른 기업 및 일반공중과 거래관계를 갖게 된다. 거래로 인하여 생기는 법률관계의 처리를 위하여 기업은 권리의무의 의무의 주체를 필요로 하는데 이 법적인 주체가 상인인 것이다. 상인이란 형식적으로 기업과 관계가 있는 권리의무의 귀속자를 말하므로, 반드시 실질적으로 경영활동의 담당자가 담당자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기업의 경우는 영업주가 상인이지만 공동기업인 회사는 법인격이기 때문에 회사 그 자체가 상인으로서 모든 권리의무의 주체가 된다. 즉 기업은 이러한 주체가 존재함으로써 그 독립성이 유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상인의 입법주의
기업의 주체인 상인의 개념을 정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입법주의가 있다.
① 실질주의(상행위법주의․객관주의․상사법주의)
이는 실질적으로 특정한 행위를 상행위로 정하고, 이러한 상행위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상인으로 하는 입법주의이다.(스페인商法) 이는 상행위의 개념을 전제로 하여 상인의 개념을 끌어내는 입법주의이기 때문에 상행위법주의라고도 한다. 이 입법주의는 행위의 객관적인 성질만을 강조하고 주체와 관련하여 파악하지 않으므로 주체와 관련하여 파악된 기업법으로서의 상법의 본질에도 맞지 않으며, 또한 열거한 상행위의 종류와 내용은 고정적이므로 기업생활의 발전에도 부응하지 못하는 면이 있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22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