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AIDA의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뮤지컬 AIDA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뮤지컬 <아이다>의 개요

3. 뮤지컬 <아이다>의 SWOT 분석
1) 강점
2) 약점
3) 기회
4) 위협

4. 뮤지컬 <아이다>의 마케팅 전략

5. 나가며

본문내용

관객들의 만족도도 그만큼 높아지지 않을까 한다. 배우들도 피곤하고 다음 공연을 준비해야 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은 충분히 안다. 그러나 그 많은 관객들을 모두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므로, 각종 이벤트로 선별하여 포토타임을 갖고 이런 배우들과의 어우러짐을 일반 관객들도 충분히 볼 수 있도록 배려한다면, 다른 관객들도 다음 공연에 대한 기대감이 더 생길 것 같다.
뮤지컬 <아이다> 상품권을 다양화하자! 뮤지컬 <아이다>는 날짜를 지정해서 구매해야 하는 공연티켓의 불편한 시스템으로 인해 문화마케팅을 하고자 하나 꺼려 했던 기업의 어려움과 장기공연의 특수성, 관객들을 위한 서비스 강화 등을 고려하여 좀 더 편리하게 공연 예매와 선물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아이다> 상품권을 내놓았다. 이 상품권을 가지고 있으면 3개월 내에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맞춰 바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단, 30인 이상 단체 구입일 경우에 한정된다. 이는 12월 송년회를 앞두고 기업들의 수요가 높아질 것 같은 좋은 아이디어이긴 하지만, 너무 대규모 마케팅에 치우쳐 있지 않나 싶다. 이는 이 상품권 외에 다른 구매 타겟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마케팅이 약하다는 점을 더 아쉽게 한다. 따라서 좀 더 다양한 상품권을 개발하여 선택의 폭을 좀 더 넓힌다면 관객들이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윈윈 전략! 문화마케팅을 확대하자! 요즘 심심치 않게 시도되고 있는 기업들의 문화마케팅을 한층 더 확대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대기업들이 공연 산업에 잇따라 뛰어들면서 문화적인 측면에서만 인식되던 공연이 이제는 '돈 되는' 투자 대상으로 급부상하면서 산업계의 움직임이 분주해진 것을 최대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GM대우자동차는 뮤지컬 <아이다>에 고급세단 '스테이츠맨'의 소비자 1000명을 초청하여 관람토록 했으며, 공연 후에는 추첨을 통해 문화상품권도 나눠줬다. 그리고 공연장에는 스테이츠맨 사진이 들어간 대형 플래카드와 포스터를 부착하고 차량 홍보 활동도 벌였다. 이런 문화마케팅을 좀 더 확대한다면 뮤지컬 <아이다>도 그만큼 홍보 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5. 나가며
지금까지 뮤지컬 <아이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어떤 마케팅 전략으로 공연을 이끌어나가면 좋을지 정리해 보았다.
뮤지컬 <아이다>가 지금까지 신나게 앞만 보고 빨리 달려왔다고 한다면, 이젠 중반을 넘어서는 지점에 있는 만큼 앞으로의 페이스가 공연 성패의 중대한 고개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쯤되면 공연에 대해 기본적으로 관심 있는 사람들은 볼만큼 다 봤기에, 그만큼을 또 채운다는 것은 수많은 공연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에서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많은 기사들이나 입소문으로 입증되었다시피, 뮤지컬 <아이다>는 공연 자체만 보더라도 크게 흠 잡을 데 없는 작품성과 흥행성을 겸비한 공연이다. 이런 이점을 충분히 살려, 전보다 더 적극적인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새로운 수요층을 뚫어 그들을 공연장으로 끌어들이고, 공연에 대한 믿음이 있는 재수요자층도 많이 포섭한다면, 이제 막 불붙기 시작한 공연 문화에 큰 당김불로 남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개인적으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의 창작 뮤지컬이 시장에서 너무 적을 뿐만 아니라, 뮤지컬 <아이다>와 같은 대형 수입 공연으로 인해 설 자리가 좁다는 점이다. 또한, 너도나도 해외 뮤지컬 수입을 위해 경쟁하다보니 그만큼 로열티도 높아지고, 관객들 역시 그들의 물량공세에 공연 선택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는 사실이다. 물론, 공연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런 해외 공연의 수입은 피할 수 없는 과정임에는 틀림없다. 우리나라 영화 시장만 보더라도, 할리우드의 블럭버스터급 영화의 수입이 영화 관객층의 확대에 크게 기여하여 한국 영화의 성장에 큰 발판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창작 공연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것이 당연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현재 공연 시장은 단순한 양적 팽창만이 있을 뿐 질적으로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너나 할 것 없는 대형 해외공연의 수입 열풍 때문에, 많은 토종 공연들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을 정도로 위축되고 있으며, 그나마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공연은 손에 꼽을 수준일 뿐만 아니라, 이들은 해외 수입 공연과는 비교도 안 되는 열악한 위치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바라건대, 전방위의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뮤지컬 <아이다>가 성공적인 마무리를 장식하여 공연 업계에 활기를 더해주고, 이로 인한 수입이 다른 대형 해외 공연의 수입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다른 많은 창작 공연들을 지원하고 우리나라 공연에 재투자되어 우리나라 공연계를 한층 일으킬 수 있는 버팀목이 되었으면 한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 영화들이 해외에서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많은 상을 수상하기도 하고, 국내 제작 드라마들이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일으켜 소위 '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데, 공연 업계에서도 재투자로 인해 더욱 기반이 탄탄해진다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본다. 뮤지컬 <아이다>의 제작자와 투자자들이 자신들의 잇속만 챙기지 않고 좀 더 넓은 안목과 마인드를 갖고 있으며 현 공연 업계의 이런 문제점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뮤지컬 <아이다>가 부디 남은 기간 동안에도 지금보다 더 활발하고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공연 업계에 길이 남을 수 있는 바탕이 되길 바란다.
[참고자료]
- 뮤지컬 <아이다> 공식 홈페이지(http://www.musical-aida.co.kr)
- PR 관점에서 본 오페라 'AIDA'의 실패 / 노연기 / 2004.04
- 뮤지컬 "아이다" 관객 10만 넘어 / YTN 2005-11-30 김정회 기자
- 옥주현, 뮤지컬 '아이다' 10만 관객 돌파 / 마이데일리 2005-11-30 / 강승훈 기자
- [이보연의 느낌!] 공연계 ''아주 비싸거나 아주 싸거나'' / 세계일보 2005-11-07
- 감동 넘실 `아이다` 흥행질주 / 헤럴드경제 2005-11-28 / 윤정현 기자
- 뮤지컬 '아이다', 3개월간 10만명 관람해 / 헤럴드 생생뉴스 2005-11-28 / 윤정현 기자

키워드

아이다,   AIDA,   마케팅,   문화,   뮤지컬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2.0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