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이동성 저기압 태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대이동성 저기압 태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열대이동성 저기압, 태풍”
1. 정의
2. 형성원인
3. 태풍의 눈이 날씨가 맑은 이유?
4. 영향

“허리케인 카트리나, 뉴올리언스의 대재앙”
1. 허리케인과 카트리나
2. 카트리나로 인한 피해
3. 신문기사
4. 뉴올리언스 대재앙의 원인

본문내용

갈을 휩쓴 사상 최악의 한발과 산불, 그리고 43도가 넘었던 아리조나주의 살인적인 무더위도 알고 보면 온난화가 그 원인이다. 지구온난화로 대기가 뜨거워질수록 가뭄은 더 길어지고 폭우는 더 집중적으로 내리며 더위는 더 자주 찾아오고 폭풍은 더욱 강해지기 때문이다.
카트리나도 처음 발생할 때는 비교적 작은 폭풍이었지만, 멕시코 만의 높은 수온과 만나면서 초대형 허리케인으로 바뀌었다. 이처럼 카트리나가 거대한 위력을 발휘한 것은 거시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라 볼 수 있는데, 화석연료기업들은 화석연료 사용량을 유지시키기 위해 시민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않도록 거액을 들여 지구온난화 이론을 부정하고 있다. 온난화가 농업과 물, 식물과 동물, 공중보건과 기후 등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보도를 하지 않는 언론 또한 지구온난화를 방치한 셈이다.
③ 뒤늦은 구호활동 : 연방정부와 루이지애나 주정부측은 이번 재해에 대한 책임을 미루다 구호품의 전달이 늦어져, 정전 속에 마실 물과 음식도 없이 버티고 있는 시민들을 더욱 지치게 했다. 잔류 이재민을 수용한 수퍼돔과 컨벤션센터에 적절한 구호물품과 관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인근지역으로 대피한 이재민들에 대한 대책도 전무한 상태였다. 결국 이들에게 구호품이 전달된 것은 허리케인 상류 5일째인 9월 2일이었다.
④ 주방위군의 이라크 파견, 이라크전으로 방재 예산 삭감 : 뉴올리언즈와 멕시코만 지역은 허리케인의 상습피해 지대였다. 1990년대 중반 제방공사를 위해 5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가 발주되었지만, 절반정도가 지원된 이후 이라크 침공을 이유로 예산이 삭감되어 공사 자체가 중단된 상태였다. 또한 이재민 구호와 복구사업을 위해 투입되어야 할 주방위군의 절반 이상이 이라크에 파견되어 있었다.(미시시피와 루이지애너주에서는 각각 3,800명, 3,000명의 주방위군이 이라크에 파견되었다.) 부시정부는 이라크 침공과 점령에 연간 3천억 달러 이상을 퍼붓고 있지만, 정작 자국민의 보호에 필수적인 시설에 투자할 금액은 과감하게 삭감했던 것이다.
⑤ 기타 : 상습 태풍 피해 지역인 뉴올리언스 주민들의 ‘허리케인 피곤증’에 따른 방심이 이번 재해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의견이 있다. 즉 미국 남동부에서 여름철마다 반복되는 소개령과 교통체증, 비용 문제 등이 주민들을 지치게 만들어 상당수가 잔류했고, 결국 사망자 규모가 수천명대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