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음식의 관광측면에서의 가치와 세계화 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향토음식의 이해
1. 향토음식의 개념
2. 한국음식의 특징
3. 향토음식의 특징
4. 지역 향토음식의 특징과 대표적인 음식

Ⅲ. 한국음식의 과학성과 비과학성
1. 한국음식의 과학성
1) 감식(減食)과 장수의 과학성
2) 절식의 과학성
3) 식품배합의 과학성
4) 발효식품의 과학성
5) 아침식사의 과학성
2. 한국음식의 비과학성

Ⅳ. 관광과 향토음식
1. 향토음식의 관광측면에서의 가치
2. 향토음식의 요건

Ⅴ.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 측면에서의 문제점

Ⅵ. 향토음식의 개발 방안
1. 소재와 가공조리방법의 연구
2. 식사중의 분위기 창출 연구
3. 식사장소의 연구
4. 식사시간의 연구
5. 계절감의 연출

Ⅶ. 향토음식의 원형보존 및 세계화 방안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점을 지정하여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그 맛을 유지·발전시켜 나감이 바람직하다.
7. 전통 특산식품 용기 및 포장의 낙후
우리나라의 전통특산식품들은 주로 소규모영세업자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그 맛이 뛰어나더라도 그 용기나 포장이 뒤떨어져 외국인 관광객들의 쇼핑의욕을 자극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으며, 장거리 운반에 적합치 못한 것들도 많이 있다. 전통특산식품을 관광선물용으로 상품화함에 있어 용기 및 포장의 디자인과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크게 요구된다.
8. 향토음식 맛의 개발을 위한 노력 미흡
전통이란 고정된 것이라기 보다는 변화·발전해 나가야 한다. 특히 음식의 경우 사람들의 미각도 변화하고 재료자체도 고정적이지 않다. 더욱이 향토 음식의 경우 그 지방의 분위기를 창출해야하고 계절 감각도 있어야 하며 그리고 먹는 과정에서 정보제공도 요구된다. 따라서 전통의 맛을 간직하되 더 나은 상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하나 이러한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Ⅵ. 향토음식의 개발 방안
1. 소재와 가공조리방법의 연구
그 지방에서 입수하기 쉬운 것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것이 향토음식의 기본이다.
소재와 그 가공·조리 방법의 예
- 물을 사용한다.
- 온천수를 사용한다.
- 산·강·바다의 미각을 사용한다.
- 이상의 것을 결합한다.
- 외국의 조리법을 이용한다.
물을 사용하는 예
- 물 그 자체를 음식으로 제공한다 - 휴대용 용기나 음수점의 분위기를 연구한다. 온천지의 온천수도 있다.
- 물을 주원료로 하여 음식을 제공한다. - 차, 커피, 술 등 그곳의 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맛있다고 느낀다.
- 물을 간접소재로 사용한다. - 좋은 물로 재배한 쌀, 약수로 재배한 고추냉이, 푸른 계곡의 물고기 등
일본 湯の峰 온천에서 제공되는 온천요리의 예
- 온천죽, 온천찻죽, 온천계란말이
- 온천 생선된장국
- 온천계란
- 온천두부, 온천탕 두부, 온천참깨두부
- 온천칡즙
- 온천요구르트, 온천단팥죽
- 온천지 계란전골, 온천모란전골, 멧돼지고기 온천 수육
2. 식사중의 분위기 창출 연구
1) 식사분위기와 관련되는 것
① 식기, 도구가 식사 공간을 연출한다.
녹아도현의 묘견온천 아서원에서는 모든 식기를 대나무로 만들어 산채요리 를 제공하고 있다.
② 고객 자신이 분위기를 만든다(화제, 웃음소리 등)
③ 식사 동반자도 분위기를 만든다. 자작, 2인식사, 여럿이서 먹는 식사 각각 의 맛이 있다.
④ 체재기간중의 식사는 끼니때마다 달리할 필요가 있다. '매일 같은 음식'은 고통스럽다.
⑤ 건강유지를 목적으로 한 식사는 흥미가 없지만 그것을 잘 활용한 '목적의 식의 연출'이 필요하다.
⑥ 어린이 동반 식사는 어린이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⑦ 전통적 풍습을 전달하는 식사법은 그만큼 관광행위가 된다.
3. 식사장소의 연구
관광으로서의 요리를 제공할 때 식사를 하는 장소, 그것이 배출하는 분위기는 관광객의 인상에 깊이 영향을 미친다. 하찮은 식당이라도 지역의 방언, 지역 토산요리를 제공하는 만큼 여행의 추억이 된다.
이와 같이 요리를 맛보는 장소는 그 나름대로의 분위기가 연출되고 정성이 담긴 서비스가 있음으로 해서 비로소 관광지에 적합한 식사의 장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관광의 기본은 '비 일상생활에서의 생활체험'이므로 관광객이 항상 생활하는 일상 생활지에서의 식사의 장소와는 다른 것이 요망된다.
4. 식사시간의 연구
여행지에서 관광객의 대부분은 어떠한 형태로든 아침, 점심, 저녁 세끼식사를 추구한다. 일부 관광객은 저녁식사를 숙박시설 내의 분식코너에서 식사를 하고 그것이 싫은 사람은 밖으로 나가는 사람들도 있다. 이와 같이 관광객은 그때그때 기호에 맞는 요리를 선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성향에 부응해야 한다.
5. 계절감의 연출
계절감을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따라 그곳에 제공되는 요리는 달라질 것이다. 그 요점은 계절을 생각한 연출에 있다. 계절감을 지닌 소재를 사용하고, 가공·조리를 연구하며, 식기를 배려하고, 식사방법에 지역색을 연출하며, 아울러 장소의 분위기를 창출한다. 이러한 것은 모두 시간에 따라 변한다. 이들이 종합적으로 가미되어서야 비로소 그 관광지의 독자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Ⅶ. 향토음식의 원형보존 및 세계화 방안
우리의 전통 음식은 우리 고유의 환경과 풍토 그리고 선조들의 놀랍고도 뛰어난 지혜와 삶의 예지, 통찰력의 응집이 이루어낸 훌륭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는 음식 문화와 관련된 체계적 연구가 뒤떨어진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전통 향 토음식과 관련해 미래의 가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우리 음식 문화의 원형 보존과 체계화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전통음식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어떻게 육성해야 하는가’하는 문제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과제다.
우선 전통 향토음식 경진 대회, 전통 음식 공모전, 품평회, 문화 축제, 세계전통음식 문화박람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우리 음식 문화를 발굴하고 전승하며 홍보하는 활동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음으로 시도,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 제도의 확대 시행을 강력히 촉구한다. 전통 향토 음식업소의 선정과 여러 가지 정책적 관리 및 지원도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 문화 상징의 핵심인 음식 문화의 체계적 보존 및 계승을 위해서는 연구기관의 설립도 요청된다. 전통 음식 문화를 연구할 때에도 민속학 인류학 역사학 관광학 식품학 영양학 등의 총체적인 연구가 가능한 인력도 확보돼야 할 것이다.
한국전통향토음식문화연구원을 통해 여타 산업과 연계, 고유 브랜드를 창출하고 경제 인프라가 창출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는 교육과 체험이 되고 외국 관광객들에게는 우리 음식 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
또한 전통 향토 음식의 보존 및 체계화를 위해서는 궁중음식, 내림음식, 사찰음식 등 분류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역별, 종류별, 재료별, 조리별 등의 대사전을 발간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한국관광공사, 1993, 향토음식 관광상품화 방안
한국관광공사, 1996, 외래관광객여론조사
일본관광협회, 1995, 新時代の觀光戰略,
일본관광협회, 1990, 월간관광
  • 가격2,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3.2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