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기록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필수기록물에 대하여
1. 필수기록물이란 무엇인가
2. 필수기록물 관리의 목적과 관리책임
3. 필수기록물의 관리방법
1) 필수기록관리 계획의 수립
2) 필수기록관리 업무절차
3) 필수기록관리 업무의 평가

Ⅲ. 감상 및 평가.

◈ 참고 자료

본문내용

정확하고 올바른 역사를 남기고자 노력하였다.
우리 역사를 기술하고 그 근거로 삼는 기록물로서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등이 없었다면 아마 외국사람에 의하여 쓰여 지거나 각본 된 역사서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록보존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치욕적인 시기가 있었다. 바로 일제 36년간의 강점기에 일본은 민족의 혼과 정신을 말살하고자 중요 국가기록물, 문화재, 고문서 등을 강탈해 가거나 인멸해 버렸고, 프랑스, 미국 등 서구열강들은 앞 다투어 소중하게 지켜온 귀중한 유산을 약탈해감으로써 우리 역사를 규명할 기록물이 제대로 남아 있지 못하는 불행을 겪게 된 것이다.
또한 해방이후 좌우익의 충돌과 6.25전쟁, 경제개발 돌입 등으로 사상, 국가안위, 의식주 해결이 국가 주요과제가 됨에 따라 역사기록물 보존은 소외된 분야로 인식되었고, 중요기록의 수집 보존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오늘날 기록보존의 중요성은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재산과 권익을 보호하며 나아가 역사적 사실의 판단근거가 되는 등 국가적 가치가 헤아릴 수 없이 크다. 특히 국가적으로 21세기 정보화시대 경쟁력의 중요변수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민소득의 증가 및 민주사회로의 급성장으로 기록물에 대한 접근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역사적인 기록보존의 단절을 극복하고 기록물에 대한 욕구증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수한 기록보존의 전통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외국의 기록보존제도에서 배워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래서 외국의 기록보존제도를 살펴보고 우리 기록보존의 방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번엔 필수기록물에 대해서도 배웠다.
기관의 운영에 핵심적인 중요 필수기록물 관리의 정의, 식별, 관리업무 방식을 개관하여 기관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록물을 올바르고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이용할 수 있게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데 다소나마 도움이 된 듯하다.
◈ 참고 자료
1.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2. 한국의 기록보존관련 법령과 발전과제, 박대규, 기록보존, 1997
3. 국립기록관리청, The Nationanl Archives : Preparing for a new records age, 1994 Annual Reprot
4. 국립역사기록출판위원회, The American Record :A Progress Report, 1993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08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