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아데의 성과 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설정이 하나 있는데, “반지전쟁”에서는 반지와 영웅이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지구르트가 안드바리의 반지를 차지한다는 신화의 구조가 “반지전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지구르트적 인물인 옛 왕국의 후예 아라곤은 직접적인 반지의 소유자가 되지 않으며, 반지를 제거할 임무를 띤 프로도는 결코 지구르트적인 인물이 아니다
* <손 없는 색시>
-> 줄거리 : 계모가 주인공을 내쫓기 위해 쥐를 사용하여 쳐녀가 낙태한 것으로 일을 꾸미고, 아버지에게 주인공의 손을 잘라서 내쫓도록 종용한다. 손을 잘린 채 내쫓긴 처녀는, 부잣집의 배나무를 따먹으려고 나무에 오르려한다. 그 집 총각이 발견하여 벽장에 숨겨두고 밥을 먹여준다. 사실이 발각되어 총각의 어머니가 결혼을 시킨다. 색시의 남편이 집을 비운다. 색시가 잘생긴 아들을 낳았는데, 아들이 병신이라는 내용의 계모가 위조한 편지 때문에 색시가 추방된다. 색시가 물을 마시려고 우물가에 가자 절단되었던 손이 재생된다. 남편과 재회하고 친정에 가서 계모를 징치하였다.
-> <주인공의 손이 잘린다- 손 없이 지낸다- 손이 다시 붙었다>는 일련의 과정이 <분리-전이-통합>이라는 통과의례의 특징에 해당한다. 색시의 손을 자르는 것은 여성의 性을 제한함으로써 얻어지는 남성적 질서를 옹호하기 위한 것이며, 이 설화는 한 여성이 부모와 사회에 의해 억압된 性 意識 때문에 삶의 방향성을 잃었다가 재생의 의례를 거쳐 다시 온전하고 새로운 삶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이 설화는 ‘단지 초경으로 치러진다고 생각되는 여성의 통과제의의 일차원적인 모습이 아니라, 더 크고 생산적이어서 자기 자신까지도 새롭게 생산하는 여성의 성숙되고 진정한 통과의례의 모습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결혼 의례는 당사자들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가족의 탄생이라는 의미 외에, 여성이 부계 중심의 혈연관계와 결별하고 남편 중심의 혈연관계로 통합되는 절차의 의미를 지니는데, 여성의 귀환에 남성의 힘이 작용하는 설정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에 의해 여성의 지위가 확고해 질 수 있다는 관념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엘리아데는 여성의 입사식은 첫 월경으로 시작하며, 이 생리적 증후는 하나의 단절, 소녀가 친숙했던 세계로부터의 세찬 분리를 강요하는 것으로 그녀는 갑자기 고립되고 공동체로부터 분리당한다고 했다. <손 없는 색시>에서의 주인공이 손이 절단된 채 추방되는 것은 입문자가 신체의 절단을 겪은 후 추방되는 것을 뜻하며, 여기서 손의 절단은 <입문의례>의 ‘상징적 죽음’에 해당한다. 소녀는 사춘기에 치러지는 제의를 완수함으로써 부족사회의 일원이 되고 동시에 결혼할 권리를 갖게 되며, 여성을 지배하는 생명의 창조력에 복종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그는 또 입문의례는 주로 일시적 “죽음과 부활”의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일시적 죽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손가락 자르기, 이 뽑기, 할례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민담이 동화로서 구연될 때 어린이에게 주는 심리적인 그리고 교육적인 기능에 대해서도 숙고해야 할 필요성은 연구자의 후속 과제로 남는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2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