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와 송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唐代의 시대적 배경과 당시의 발달

2. 당시의 시기별 특징
(1) 초당(初唐)
(2) 성당(盛唐)
(3) 중당(中唐)
(4) 만당(晩唐)

3. 당대의 대표시인 이백과 두보
(1) 시선(詩仙) 이백의 생애와 사상
(2) 이백시가의 예술적 특징
(3) 시가발전사에서의 이백의 위치와 영향
(4) 시성 두보의 생애와 사상
(5) 두보의 시 분석

4. 당시의 사상과 특징

5. 宋代의 시대적 배경과 송시 개관

6. 宋代 서민문학의 발달 배경

7. 송시의 변화와 발전
(1) 서곤체와 북송의 시문혁신운동
(2) 황정견과 강서시파
(3) 남송초기의 애국주의적인 시
(4) 남송 말엽의 시단

8. 송사의 유행

9. 소식의 시세계

10. 당시와 송시의 비교분석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였으며 학문 지식을 쌓는데 대해 각별한 주위를 돌렸다. 그의 이러한 학습태도와 실천을 중시하고 여러 가지 지식을 연관시켜 보는 학습방법은 후세 작가들에게 많은 깨우침을 주었다. 내용이 풍부한 그의 사문은 후세 작가들의 애호를 받았고 낭만주의적 창작 수법이 후세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0. 당시와 송시의 비교분석
당시를 두고 흔히 중국 고전시가의 꽃이라고 말하여 계절로 치면 봄에 해당한다고들 하고, 이에 반해 송시는 가을에 견주기도 한다. 또 백화난만한 고궁의 봄 뜰을 친구와 어울려 산책하는 정취를 당시의 세계에 견주고, 들국화 가득히 핀 가을 들판을 홀로 걸으면서 사색에 잠겨 보는 것으로 송시의 세계를 비유하기도 한다. 어떤 이는 당시는 호탕한 기개를 지닌 장부가 높은 산에 올라가서 큰 소리로 노래하는 것 같고, 송시는 달밤에 호수에 배 띄우고 선비가 마주 앉아 학문을 논하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당시와 송시의 차이는 보여주기와 말하기의 차이로도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시인은 시속에서 자꾸 무엇인가를 말하고 싶어하고, 또 어떤 시인은 가급 말하는 것을 절제하는 대신 보여주기를 좋아한다. 이때 말한다는 것의 의미는 도덕적이거나 교훈적인 메세지의 전달을 뜻한다. 시인이 독자에게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는 시는 이해가 쉬운 반면 자칫 식상감을 주거나 거부감을 일으키기 쉽다. 반면 보여주기만 하는 시는 추상의 나락으로 떨어져 버리거나, 자칫 무슨 말인지 갈피를 잡기가 쉽지 않다. 또 이 경우 시인의 의도는 단지 이미지를 통해 전달되므로 독자의 적극적인 독시가 요청된다. 말하는 시가 좋은지, 보여주는 시가 좋은지는 순전히 기호에 달린 것이므로 둘 사이의 우열을 갈라 말하기란 난처한 일이다. 그것은 마치 가을 산이 가장 좋다는 사람에게 겨울 산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타박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작약이나 해당화의 화려한 색채는 화려하게 성장한 미인의 우아한 자태를 연상시킨다. 이것이 당시이다. 반면 눈 속에 피어나는 매화나 서리를 이겨내는 국화의 은은하고 그윽한 향기는 화장도 하지 않고 소복을 곱게 차려 입은 여인의 얼음같은 아름다움을 떠올린다. 이것은 송시이다. 대개 당시의 묘사적이고 서정적 경향과 송시의 사변적이고 說理的 경향을 갈라 대비한 것이다. 여기서 唐詩의 특징으로 거론한 影描란 글자 그대로 그림자를 묘사하는 것이다. 그림자는 말 그대로 그림자일뿐 실체가 없다. 실체가 없는 것을 어떻게 묘사해낸다는 말인가. 대상과 마주하여 일어나는 시인의 感情은 실로 그림자와 같아서, 무어라고 꼭 꼬집어서 말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시는 그 무어라고 꼭 꼬집어 말할 수 없는 느낌을 언어로 옮겨내는 것이라는 말이다. 반면 鋪陳이라 함은 사실을 사실 그대로 진술한다는 의미이다. 시인은 어느 때 사실을 말하려고 하는가. 議論을 세워 자신의 주의 주장을 전달하려 할 때 鋪陳의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唐詩가 낭만적 감성적 취향이라면, 宋詩는 고전적 이성적 취향이다. 대개 감성의 욕구는 자칫 무절제로 흐르기 쉽고, 이성의 욕구는 흔히 논리의 함정에 빠지기 쉽다. 그러므로 漢詩史의 전개에 있어서 唐詩風과 宋詩風의 변화 교체가 쟁점이 되어 온 것은 그 시대 문학의 풍격과 성향의 자연스런 변화와 관계된다. 또한 唐詩는 가슴으로 쓴 시이다. 여기에는 시인의 웃음과 눈물이 있어, 마음으로 전해오는 인간의 체취가 물씬하다. 이에 반해 宋詩는 머리로 쓴 시이다. 그래서 인생에 대한 깊고 담담한 觀照와 거리를 두고 물끄러미 바라보는 眺望이 있다. 마음을 차분히 가라 앉혀 주는 위안과 인간의 정신을 高遠한 곳으로 이끌어주는 깊이가 있다. 그래서 예전부터 시에서 서정함축을 중시하고 意興이 뛰어난 시를 `唐音`이라 하고, 생각에 잠기고 이치를 따지며 幽玄한 맛을 풍기는 시를 `宋調`라고 일컬어 왔다. 唐詩는 가슴으로 전해오는 정감의 세계를 노래한다. 때로 들뜬 어감으로, 간혹 슬픔에 젖어 노래하지만 감정의 노예가 되는 법은 좀체 없다. 이런 까닭에 唐詩風의 시는 이성의 원리가 지배하는 시대보다는 감성의 원리가 지배하는 시대에 즐겨 불리워 진다. 당시풍과 송시풍이 詩史의 전개에서 반복 교체의 양상을 보이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당시풍에 대비되는 송시풍의 특징을 일괄하여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체로 송시는 이 시기 발달한 禪宗과 性理學의 영향으로 인생에 대한 철학적 음미를 내용으로 하는 철리적 성향이 강하고, 쓸데 없는 수식을 배제하고 섬세한 관찰과 개성적 표현을 중시하였으며, 제재상에 있어서는 일상생활에의 관심과 밀착이 두드러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의 공용성은 더욱 강조되었고, 표현은 다분히 산문적이고 서술적이 되어, 정감이 풍부하고 유려한 당시에 비해 송시는 이지적이고 심원한 풍격을 갖추게 되었다. 또 宋代에 발달한 詞文學은 詩에 비해 낭만적이고 서정적인 세계를 노래하여, 宋代에는 詩와 詞 사이에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 것도 간과할 수 없다. 송시풍의 시는 담담한 가운데 깊이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당시가 대상 그 자체에 몰입함으로써 자연스레 시인의 情意를 드러내는 방식을 취하는데 반해, 송시는 시인이 자신의 情意를 대상을 통해 드러내는 방식을 취한다. 송나라는 문인관료를 중용하여 이른바 <문치(文治)>에 힘을 썼으므로 시문에 재능있는 사람들이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었던 시대였다. 이 점에서 볼 때 대체로 사회적으로 불우하게 생애를 마치는 경우가 많았던 당나라 시인들과는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송나라 시인들은 독자적인 시 세계를 구축하여 당시(唐詩)와 비견되는 또 하나의 절정기를 맞았다. 그것은 당시와 뚜렷한 대조를 보였는데, 즉 당시의 격정에 대응하여 송시는 냉정함과 여정(餘情)을 그렸고 당시의 웅대한 스케일에 반하여 송시는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한 섬세한 미를 다루었으며, 당시가 감정 그대로 절규하는 것에 대하여 송시는 치밀한 논리로 시인의 사상을 전개하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11. 참고자료
정범진, 중국문학사, 학연사
이종진, 당시학의 이해, 사람과 책
김학주, 중국문학입문, 도서출판 학고방
차상한, 중국문학사, 한국인쇄주식회사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