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교육의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체육교육의 문제점
1. 교사의 문제
1) 교과목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
2) 체육교과의 연구 부족
3) 무사안일주의식 수업 관리
2. 수업의 파행 운영
1) 기능 위주의 수업
2) 체육실제학습 시간(ALT-PE) 부족
3) 신체 활동의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는 수업
4) 땜질 수업으로서의 체육수업
3. 체육 시설의 문제
1) 야외 실기와 기상 영향
2) 체육 기구의 수량 부족
4. 평가의 문제점
1) 운동기능 중심의 평가
2) 결과중심의 평가

Ⅲ. 해결 방안의 모색
1. 교사의 의식과 행동 개조
2. 체육 시설 기구의 확충
3. 평가의 현실적 대안

Ⅳ. 결 론
※참고자료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초기에 영국이 식민대국으로서 세계를 지배할 지도자들의 덕성과 체력, 그리고 투지를 학교운동장에서의 격렬한 체육수업을 통하여 이루고자 노력했듯이 우리도 체육수업을 통하여 비활동적이고 비만해져가는 청소년들을 구해야 한다. 학교체육의 위기는 우리 청소년들을 ‘하는 체육’으로부터 ‘보는 체육’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는 또한 우리 청소년들로 하여금 생활체육으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엘리트체육의 기반을 허물고 있다.
학교체육을 살려야 한다. 학교체육의 활성화는 우리 청소년들의 활력과 투지를 살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학교체육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생활체육이 발전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엘리트체육은 꽃을 피우고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 그뿐 아니다. 건전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청소년을 육성하는 것은 그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여가문화를 치유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한국체육의 미래는 체육인들의 문제만이 아닌 이 나라 모든 국민의 과제인것이다. 국민들은 체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다시한번 생각해야 할 것이며, 체육인들은 국민들에게 하여금 이런 생각을 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의 체육과 선진국의 체육의 차이는 종이장 한 장 차이이다. 즉 인식의 차이란 말이다. 앞으로 우리는 그 인식개선의 첫 발걸음으로 학교체육의 개선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참고 문헌
1. 강신복,손천택, 1991. 체육교수이론, 보경문화사 132-152 ; 240-243 ; 291-313 ; 346-349 ; 396-417
2. 전국 체육교사 모임 홈페이지(http://mom.njoyschool.net)
3. 에듀넷(http://www.edunet4u.net/main/html/index.html)
4.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정보검색 (http://library.khu.ac.kr)
1) 초등학교 체육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화 / 경희대학교 / 1997, 36-40
5. 한국 교육학술 정보원(KERIS) 정보 검색 (http://www.riss4u.net/index.jsp)
1) 김학수, 황호영, 2001, 스포츠科學硏究所論文集, 국내 학술논문
6. 강신복, 손천택, 곽은창 역, 1992, 체육학습 교수법, 보경문화사 3-9 ; 17-18 ; 30-59 ; 66-912 ; 274-284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