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경제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새로운 중국 중심의 경제통합
1. 서론 : 움트는 중화경제권

2. 본론 : 중국 중심의 새로운 경제통합 탄생
(1) 중화경제권의 개념
(2) 중화경제권의 현황
(3) 중화경제권의 형성 배경 및 요인
(4) 중화경제권 형성국가
: 2007, 팍스아메리카에서 팍스시니카로
(1) 중화경제권의 발전
(2) 중화경제권의 경제적 효과
(3) 중화경제권 발전의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4) 중화경제권 발전의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3. 결론 : 중화경제권의 발전 가능성과 한계의 고찰
(1) 중화경제권 발전의 제약요인
(2) 중화경제권의 문제점
(3) 중화경제권 발전가능성과 우리의 대응

본문내용

중화경제권의 형성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태평양 경제권의 형성을 통해 그 문제를 치유할 수 있다. 대만이나 홍콩의 경제 발전 노하우와 기술의 도입은 서로에 대한 상호보완성을 향상시켜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중국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 역내 완결형 경제 구조가 성숙돼 감으로써 아시아의 경제 구조가 상호 보완의 관계로 바뀌고 있는 것을 볼 때 그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가오는 21c에 중국 경제가 지금의 성장세를 계속 지켜나갈지 주저앉을지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에 달려 있다.
3. 결론 : 중화경제권의 문제점과 나아가야할 방향
(3) 중화경제권 발전가능성과 우리의 대응
중화경제권의 발전은 동남아시아 및 동북아시아 지역을 연결하는 동아시아 경제성장 및 무역확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간에는 화교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호투자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중화경제권이 사실상 경제통합이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중화경제권은 금융위기 이전, 중국은 시장 및 생산중심지로서, 대만의 생산적 투자 중심지로서 그리고 홍콩은 자본과 금융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상호보완적인 삼각구도를 형성해 왔다. 중화경제권의 이러한 구도가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에도 지속, 발전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유동적이긴 하지만 각 지역의 경제적 동향 그리고 정책 등을 분석하면 상호보완적인 관계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여 진다.
1997년 중화경제권의 GDP는 1조 5,000억 달러에 이르러 미국, 일본, 독일 및 프랑스에 이어 제5대 경제실체로 부상하였다. 특히 21세기에는 중화경제권이 세계 경제 최강국으로 대두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누구도 부인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게도 중화경제권은 중요한 경제협력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이 미국 및 일본과의 무역에서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중화 경제권과의 무역에서는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흑자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면 에서도 한국의 대외투자 가운데 중화경제권에 대한 투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중화경제권은 한국에게 최대시장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생산기지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화경제권내 생산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 중국은 한국의 최대 투자대상지로도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경제적위상이 높아져가는 중화경제권과의 경제협력 강화는 매우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향후에는 단순한 교역과 투자협력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보다 고도화된 협력, 즉 산업협력 위주로 양자간 관계를 격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과 중국, 한국과 대만 등 양자간의 협력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및 대만이 동시에 상호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다면적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
관련기사 - 1 중앙일보 2005.10.10
관련기사 - 2 서울경제 경제 2005.08.03
관련기사 - 3 일요신문 중앙선데이 2006.01.14
관련기사 - 4 Bangkok Post 태국 상무부 무역통계 2006.09.22
관련기사 - 5 월간 전경련 2006.3월호
표 - 1 중국의 경제지표 자료: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 2006.6
표 - 2 대만의 경제성장율 자료: 대만 행정원경제건설위원회, 2006.6
표 - 3 대만 수출입 통계지표 자료: 재정부, 2006.6
표 - 4 중국 개방이후 국별 FDI 규모 자료: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 2006.6
표 - 5 대만의 중국에 대한 투자 및 수출 비중 추이 자료: 대만경제부 2004.2
표 - 6 홍콩의 경제지표 자료: 제정경제부 2006
표 - 7 마카오 수출 품목 자료 : 中國統計年鑑
표 - 8 2004년 주요 거시경제지표 예상치 자료: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 2006.6
표 - 9 중국경제권 경제 규모(1999년) 자료 : 中國統計年鑑
표 -10 동아시아 역내 국가별권역별 연평균 경제성장률 자료 :IED, 1998
표 -11 중화경제권 3개국의 무역규모 자료 : World Bank Global Economic
표 -12 중화경제권이 세계주요국과의 경제력 비교 Prospects and The Developing
표 -13 중화경제권 무역수치 비교 Countries, Apr. 1999
관련자료 - 1 팍스시니카 개념 자료 : 네이버 백과사전
관련자료 - 2 경제통합 서두르는 중국 자료 : 이인석(인천발전연구원장)
* 참고문헌 *
. 중화경제권의 형성과 한중 통상관계 대한 연구(1999)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
. 중화경제권 대두에 따른 우리나라의 중화자본 유치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장동식
. 중화경제권의 현황과 발전 전망(2003) - 허여호
. 중화경제권의 등장과 화교경제(1997) - 이덕훈
. 중화경제권의 전개와 산업협력의 방향(1998) - 김화개
. 중화경제권의 발전과 전망(1997) - 한광수
중국이 동아시아의 헤게모니를 장악한 거대 중화경제권의 탄생.
태평양 건너편에서 벌어지는 일 중에서
미국 워싱턴이 가장 경계하는 시나리오다.
중국이 동아시아의 주도권을 쥐면
장기적으로 폐쇄적 경제 블록이 생길 우려가 크고,
이 지역의 군사적 균형이 깨져 미국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본다.
불패, 불멸의 제국 미국을 대체하는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가 세계 경제의 한 축으로 성장하면서
이에 따라 통화체계에도 변화가 오고 있는 지금.
현재의 아시아 성장추세가 계속된다면
중국 위환화가 세계 중심 통화로 부상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중국의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경제 지배력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위환화의 위력이 이들 지역에서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경제 시스템 변화가 극명하게 들어나는 것이 바로 국제 금융시장이다.
중국 센젠, 상하이, 홍콩, 그리고 중화경제권의 한 변방인 싱가포르 등
중화권 증권거래소 시가총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등
중국 금융시장이 거대한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 안세영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국제통상학)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4.2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