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 정신케이스 - Schizophrenia(정신분열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6개월의 기간은 진단 기준 A를 충족시키는 증상(활성기 증상)이 존재하는, 적어도 1개월의 기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또는 성공적으로 치료되면 더 짧을 수 있음. 이 기간은 전구기와 잔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구기나 잔류기에는 음성증상만 있거나 진단 기준 A에 있는 증상 가운데 2개 이상의 증상이 악화된 형태로 나타난다(예: 괴상한 믿음, 이상한 지각적 경험).
D. 분열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와 기분장애의 배제 : (1) 주요 우울증, 조증, 혼재성 기분장애 상태가 활성기에 함께 나타나지 않거나 (2) 활성기 동안 기분장애 상태가 나타난다 하더라도, 활성기와 잔류기의 지속기간에 비해 그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여야 한다.
E. 물질 및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배제 : 장해가 물질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F.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와의 관계 : 자폐증이나 다른 전반적 발달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현저한 망상이나 환각이 적어도 1개월 이상 존재할 때만 추가적으로 정신분열증으로 진단한다.
3. 간호과정
1) Problem list
환청(Auditory hallucination)
- 하루에 2~3번 정도 들림.
- "너까짓 게 무슨 인터넷이냐"
- "동네 사람들이 너까짓 게 무슨 대학이냐, 무슨 공부냐, 무슨 취직이냐 라는 소리가
들려요.“
- "나를 욕하는 소리가 들린다."
혼자 생활할 때에는 환청이 들리면 불끄고 혼자 끙끙 앓음.
불안 - "환청이 들릴 때에는 불안하다."
망상(delusion)
- "전에는 TV를 보면서 내 마음을 읽고 있다고 생각했다."
- "누가 내 동생을 죽이려고 한다는 생각을 했다."
- "인공위성이 쫓아온다는 생각이 들었다."
- “나는 예지력이 있다. 태안 기름 유출 사고 전에 내 머릿속에 기름에 덮힌 새와
물고기를 보았다”
guilty feeling(+)
수면장애 : "사람들이 시끄럽게 하고, 불안해서 잠을 잘 못 잔다."
약의 부작용이 있는 듯 하다고 함. - "눈빛도 멍해지고, 책을 잘 못 보겠다."
혼자 생활할 때에는 환청이 들리면 불끄고 혼자 끙끙 앓음.
삶이 무료하다고 느낌.
부모님이 어린애 취급을 해서 부모님이랑 이야기를 하면 자신도 모르게 화를 내게 됨.
체중이 질병 이후 약을 먹으면서 폭식을 하게 되고 20kg이 증가하였다고 함.
약이 안 맞아서 몽롱할 때가 있다고 함.
약을 먹고 죽고 싶은 생각이 든 적이 있다고 함.
입원 전 약을 잘 복용하지 않았음.
담배를 피우면 약이 잘 안 든다는 것을 알았지만, 반항심으로 약의 작용을 방해하려고
일부러 담배를 피운 적이 있음.
자신이 가야 할 길을 못 찾아서 죽고 싶고 울고 싶었는데 하소연할 친구가 없어서 힘들 었다고 함.
TV에서 잘난 사람들을 보면 계급사회가 느껴져서 욕을 하게 됨. 특히 아나운서들을 보면 어떻게 저렇게 잘났는지 라는 생각을 하면서 욕을 함.
부모님에게서 벗어나고 싶어 함.
2) SOAPIE chart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 Subjective data>
"너까짓 게 무슨 인터넷이냐"
"동네 사람들이 너까짓 게 무슨 대학이냐, 무슨 공부냐, 무슨 취직이냐 라는 소리가 들려요.“
"나를 욕하는 소리가 들려요."

Auditory hallucination(+)
silly smile.
하루 2~3번 정도의 소리가 들림.
2002년 10월부터 Auditory hallucination 발병후 약 복용하고 있지만
불이행으로 인해 환청이 들릴 때가 있음.
간호문제
(Nursing problem)
환청으로 인한 감각지각 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long term goal)
단기목표
(short term goal)
- 환청을 나타내지 않고 사회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다.
- 환청으로 인한 불안이 감소한다.
- 치료에 협조를 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환청의 징후를 관찰한다.
(환자특성 : 환각에 집중하는 자세, 집중력 감소, 부적절한 반응)
환청을 강화하지 않는다.
환각의 시기를 불안이 증가하는 시기와 연관하여 이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환각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환자의 주의를 돌리도록 한다.
-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 오락활동을 같이 한다.
(ex: 알까기, 보드게임, 탁구 등)
- 환자들과 어울리도록 한다.
대상자와 면담하는 시간을 가진다.
- 하고 싶은 말이 있을 때 표현하도록 한다.
- 자신의 기분을 표현하도록 한다.
- 환청에 대한 반응을 표현하도록 한다.
- 조기중재는 환청의 지시에 의한 공격적인 반응을 막을 수 있다.
- 환청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도록 정직해야 한다.
- 불안상승을 방지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면 환각이 제거될 수 있다.
- 대인활동에 참여하고 실제 상황에 참여하는 것은 현실감을 갖게 한다.
- 대상자의 생각을 표현하여 대상자가 환청에 의해 고통을 받지 않도록 한다.
평가
(Evaluation)
대상자는 환청은 들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처음에는 다른 환자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였으나 음악치료 프로그램 참여하고, 같이 게임도 하고 탁구도 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렸다.
4. 종합평가
대상자는 5월 15일 처음 상호작용 시에는 낯가림이 심해서인지 눈도 잘 마주치지 못하는 등 부끄러움을 많이 탔었고, 주위 사람들과도 어울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약을 잘 복용하고, 음악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탁구를 하면서 사람들과 어울리기 시작하였고, 현재에는 면담 시에 눈을 잘 마주치고 자신에 대해서 표현을 하였으며,
앞으로는 치료에 잘 임할 것이며 퇴원 후에도 부모님과 충돌하지 않고 잘 지내고 싶다고 말하였다.
따라서 대상자는 약을 잘 복용하고 외래 방문도 정기적으로 하면서 치료에 잘 임한다면 질병으로 인해 고통받지 않고 잘 지낼 것이라고 생각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5.2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