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에 관한 포스트모던의 관점 및 조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정보기술과 지식

2. 과학적 지식

3. 포스트모던사회에서의 정당화(legitimation)

4. 언어게임의 기호학적 변용(變容)

5. 사회결속의 본질 - 근대적 대안

6. 사회결속의 본질 - 포스트모던적 관점

7. 서사지식의 화용론

8. 과학지식의 서사적 화용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면 상대자(결국엔 동조자가 되어야 할)가 필요하다. 상대가 없으면 진술이 검증되지 못할 뿐 아니라 정당화될 수도 없다.
) 이런 의미에서 변증법은 합의에 이르는 과정이며, 심지어는 합의를 전제로 출발한다.
따라서 하나의 명제가 진실인가 아닌가의 문제는 진술의 진정성뿐 아니라 진술자의 능력(수사적 능력)도 포함된다. 그런데 어떻게 상대자를 찾을 것인가? 여기가 바로 연구게임이 교육게임으로 넘어가는 지점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동조자가 될 맞수를 생산하기 위해 교수법이 등장한다: "동료의 재생산은 교수법이 보증한다. 이것은 변증법적인 연구게임과는 다르다". (1) 수신자(학생)는 발신자(교수) 보다 덜 알고 있어야 한다. (2) 그러나 학생은 교수와 동등해질 잠재적 능력을 가져야 한다. (3) 그리고 나서 이제 논쟁(변증법적 연구)을 통해 이미 합의에 이른 이전의 진술들은 교육에 의해 진리로 탈바꿈하여 전수된다. 이런 식으로 학생은 연구의 변증법과 지식의 생산게임 속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과학의 화용법과 서사적 화용법의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1) 과학지식은 자기 종결적 의미를 갖는 지시적 게임만을 허용한다. 즉 진리 값을 결정하기 위해 진술은 지시적으로 끝나야 한다. (2) 따라서 과학지식은 사회적 결속을 위해 공유되는 지식이 아니라, 사회로부터 초월하여 그 결속을 지시한다. "지식과 사회는 상호 외재적인 관계가 되는 것이다".
) 료따르는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러한 지식을 가진다고 해서 이 외재성이 해결될까?(25) 이와 관련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모두가 노동자가 된다면 소외된 노동이 해방될까? 실제로 초기의 볼세비키는 농민들까지도 포함해서 만국의 노동자화를 통해 해법을 모색했다.
(3) 과학지식의 지시적 진술과 사회와의 소외라는 위의 두 특징의 결과로, 이제 진술의 권위는 발화자에게만 부여된다. 따라서 지식이 언급하는 바에 따라 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고민할 필요가 없어져 버렸다. (4) 과학진술은 반드시 검증되어야만 전수된다. 그러므로 이미 검증된 지식조차도 언제든지 도전을 받아 반증될 가능성이 있다. 검증은 (변증법적)반증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5) 따라서 과학게임에는 과거의 자료를 기억-저장하고 기획하는 통시적 시간성을 취한다. 즉 지식은 생산되기 위해 축적되어야 한다. 과학자는 과거의 자료에 통달해야하며 이 자료를 이용해 새로운 진술을 도출해야 한다.
이렇게 서사지식과 대별되는 것으로서 과학지식을 논의하는 이유는, (1) 과학지식이라는 것이 서사지식과 마찬가지로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임의적이며 자의적인 것임을 알기 위해서이다. 한마디로 말해 과학적 명제들은 "일반적으로 설정된 규칙의 틀 내에서 게임 참가자들이 두는 수(手)이다. 이 규칙들은 여러 가지 지식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특색을 갖는다. . . . 그러므로 과학지식을 토대로 서사지식의 존재와 타당성을 판단할 수는 없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 . (그럼에도) 탈 근대성 속에서의 '의미의 상실'을 탄식하는 일은 지식이 더 이상 서사적인 형식이 아니라고 애도하는 것이 되어버렸다". (2) 서사지식이 논증과 증거에 의존하지 않고 전달 과정에서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반면에(그래서 서사지식은 과학 담론들에게도 관용적이다), "과학자들은 서사적 진술의 타당성을 문제삼고 논증이나 증거에 적절한 주제가 아니라고 결론짓는다.
참고문헌
권태준 (1997). 과학적 실천이라 무엇인가. 현대사회와 과학문명 (서울대학교 사회정의연구실천모임 편), 나남출판사, 38-51.
김성곤 (1997). 현대사회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사회와 과학문명 (서울대 사회정의연구실천모임 편), 나남출판, 315-338.
박길성 (1996). 포스트모던 시대에 있어 국가의 성격. 사회과학,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 35권, 제 1호, 237-254.
박이문 (1993). 과학철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유정완,이삼출,민승기 (1992). 포스트모던의 조건. 『La Condition Postmoderne』 by Jean-Francois Lyotard, 민음사.
이진우 (1998). 이성은 죽었는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 문예출판사.
이태하 역 (1991). 인식론의 역사. History of Epistemology in 『Encyclopedia of Philosophy』 by D.W. Hamlyn, 소나무.
  • 가격2,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9.18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