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현실과 민족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김원일의 <어둠의 혼>

Ⅲ. 임철우의 <아버지의 땅>

Ⅳ. 조정래의 <불놀이>

Ⅴ. 결론

본문내용

그들만의 역사와 사회를 건설해 온 현실의 아버지들 편에 존재한다. 그런 까닭에 「아버지의 땅」은 아버지와의 대결이 아니라 아버지의 추모, 그 넋을 위로하는 제의를 겨냥한 것이며, 그 제의에 사용될 제문으로 착상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동시에 그 제문은 분단을 즈음하여 이념갈등의 희생양이 된 모든 분들에게로 향하는 우리들 자신의 죄의식을 고백하는 글, 즉 고백의 제문 혹은 고백을 통한 ‘자기 탄원의 제문’ 같은 것이라 할 수있다.
Ⅳ. 조정래의 <불놀이>
※ 줄거리 및 해석
이 소설의 주인공은 한국전쟁의 혼란기에 마을 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면서 동리의 행세하는 일가 38명을 몰살시키고 도망한 뒤 이름과 신분을 바꾸어 성공한 황복만 사장이다. 29년 전 그의 행적을 알고 있는 누군가가 불쑥 전화를 걸어오고, 황 사장의 아들이 고향을 방문하여 아버지의 비밀을 확인하며, 전화 건 이의 신원과 내력이 알려지자, 황 사장이 충격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진 뒤 마침내 죽음을 맞는다는 것이 큰 틀이다. 네이버 블로그 출처: 불놀이 작성자: 블랙울프
먼저 불놀이는 '한'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한’ 이라고 하는 한 단어에서 오는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는 ‘한’의 전개 과정에 대해 나누어 보았다. 먼저 배점수의 여동생인 순월을 신주사네 아들 병철이가 성추행을 하게 된다. 이에 분노한 배점수는 병철이를 두들겨 패는데 이로 인해 배점수의 아버지와 배점수가 죽도록 맞고 대장장이가 된다. 여기서 신씨 집안에 대한 ‘한’이 생겨나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배점수가 방선생으로부터 625 직전 사상교육을 받고 죽창을 만들어 38명을 처형하고 전세가 불리해지자 이름을 황복만으로 바꾸게 된다. 사상교육을 받았을 당시에 배점수는 공산주의가 자신의 신분에 대한 ‘한’을 풀어 줄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625 전의 공산주의 열풍이 배점수에게 기회가 된 것이다. 결국 여기서 배점수는 되돌아 갈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만 것이다. 그리고 배점수가 신씨네 여자를 성폭행했을 때 뱃속에 있었던 자식인 신찬규는 황복만으로 성을 바꾸고 자식도 낳아 행복과 안정을 찾으며 살아가던 배점수를 찾아 전화를 걸어 자신이 6 25 때 처형한 신씨네 38명에 대한 죄값을 치르라고 협박한다. 인해 자신의 과거를 자식과 세상 사람들이 알까봐 두려워한다. 이 부분이 배점수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는 부분으로 생각된다. 배점수는 신씨네 사람들에 대한 미안함과 죄스러운 마음으로 반성을 하면서 전처의 피 붙이인 칠성이를 걱정하며 고혈압으로 죽음으로써 갈등이 해결된다.
우리는 갈등의 원인에 대해 찾아보았다. 먼저 주인공의 잘못이다. 종의 자식이라는 이유 때문에 못 배웠으며 자신의 여동생이 주사네 자식에게 성추행 아니 성폭행을 당하는 것을 보아야 했던 사람, 자신이 먹을 것이 없어 배고픔에 허덕일 때 신씨네 사람들은 쌀밥으로 배를 채우며 하품을 하는 것을 보며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으며 살았던 사람이다. 그러나 자기의 ‘한’을 풀기 위해 신씨네 사람 38명을 처형시키는 데 앞장섰으며 자식을 갖고 있는 여자를 신씨라는 이유로 성폭행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이다.
여기서 주인공의 죄가 과연 한사람만의 죄인가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소설 내에서 가진자(신씨네 집안)과 못 가진자(배점수)의 대립과 갈등이 있다. 분명 배점수의 동생을 성추행하고 폭행한 신씨네 아들 역시 죄를 물어야 하나 전혀 묻지 않는 현실, 이것 또한 사회적인 현실과 직위로 인해서 벌어진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625 이전의 신분이 낮은 사람들은 공산주의가 자기의 신분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 생각하여 찬성하였을 것이며, 신분이 높고 경제적으로 안정되었던 사람들은 공산주의를 반대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생각들이 625 발발을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Ⅴ. 결론
저희가 <어둠의 혼>, <아버지의 땅>, <불놀이>의 작품을 해석한 결과 분단문학의 특징들을 발견하였다. 개인적으로나 사화적인 이유로 인해 우리나라의 분단 현실에 대해 깊게 연구되거나 표현되지 못했다. 세 작품 모두가 민족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제시하지 못하고 개인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했다. 분단문학의 한계는 그 당시의 시대적인 이유로 인하여 이데올로기적인 접근이 힘들었던 점, 그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개인적인 갈등과 한을 통해 소설 속에서 해결 되었던 점이 분단문학이 남긴 숙제이며, 한계인 것 같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