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실에서의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회복실에서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 • • 1P

Ⅱ. 본론 • • • • 1P~12P
1. 역사적 고찰 • • • • • 1P
2. 마취 전 환자 방문 • • • • • 1P
3. 수술 전 투약 • • • • • 1P~3P
4. 마취 전 준비 간호 • • • • • 3P~4P
5. 마취(Anesthesia) • • • • • 4P~11P
6. 마취 기록지 작성 • • • • • 11P~12P

Ⅲ. 결론 • • • • 12P
- 문헌고찰 • • • • • 13P

본문내용

다. 주입을 위한 자세는 엎드려 누워서, 엉덩이를 구부리고 천골을 수평으로 하며 발꿈치는 주입자리를 보이게 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린다. 천골부위는 자극적인 용액으로부터 생식기를 보호하기 위해 포로 덮는다. 임신한 환자는 측위를 유지하며 진통기간 동안 태아의 머리나 직장에 천공을 피하기 위해 주의를 요한다. 시판용 set가 유용하다. 피부와 인대에 척수바늘을 삽입하기 전에 국소적 마취제가 주입된다.
(6)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국소마취는 표면의 신경을 억제시키고 특별한 영역이나 부위로부터 통증자극의 전도를 막는다. 감각신경이 먼저 영향을 받으며 환자의 의식은 그대로 남아 있어서 진정수면제로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통증은 의식소실 없이 조절되고, 신체적 일부분만 마취된다. 외과의가 직접 수술부위에 국소마취제(Lidocaine)를 주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것을 때때로 전도 마취라 부른다.
① 사용약물
lidocaine(Xylocaine), bupivacaine(Pucaine, Marcaine), tetracaine 등이 있다.
② 장점
처치가 간단하다.
의식의 소실은 나타나지 않는다. 전신마취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피한다.
최근에 음식이나 물을 섭취한 환자, 간단한 시술을 할 환자, 깨어있고 협력할 수 있는 환자의 수술에 적절하다.
마취과 의사가 필요 없이 외과의사가 직접 마취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③ 단점
큰 수술이나 복부수술에 적합하지 않다.
국소마취제에 대한 반응이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과용량 약물의 혈액으로 빠른 흡수는 치명적인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환자의 시각 청각기능이 남아 있어 불안이 증가될 수 있다.
④ 국소마취의 금기
국소약에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람
국소적인 감염이나 악성 종양이 있어 주입으로 인해 주변의 조직으로 약물이 퍼질 수 있는 경우
고도의 걱정과 흥분을 하는 환자 또는 정신상태, 나이 때문에 협력할 수 없는 사람
(7) 기타 마취방법들
① 냉동 마취(Cryoanesthesia)
냉동 마취는 국소부위에 표시된 표면을 차게 하는 것으로 고통스러운 자극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것은 표면 병소의 사마귀 또는 침윤되지 않은 구진의 제거시 국부적 시술로 사용한다.
② 저체온 마취(저체온 유도법)
저체온법은 인위적이고 고의로 신체온도를 정상 이하로 떨어뜨리는 것이며, 모든 신체대사의 비율을 감소시킨다.(체온 1˚C감소에 13%에너지 대사 감소). 저체온법은 전문기술과 지식 및 조심성이 요구되고 환자를 주의깊게 감시해야 한다.
저체온법은 아래의 경우에 사용된다.
유아나 심장 수술에서 복합적 선천성 결함이 있는 심장 수술
심장 소생법 후, 중요조직의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키고 산소결핌증에 따라 뇌손상을 줄이기 위해
이상 고열증의 치료시 또는 수술이 아닌 고혈압성 위기 상태 등
패혈성 쇼크에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신경수술에서 뇌혈류, 뇌용적, 그리고 정맥과 두개강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③ 저혈압 마취(Induced/Deliberate Hypotension)
유도된, 고의적인 저혈압을 수술 동안에 인위적으로 동맥혈압을 저하시키는 방법이다. 저혈압 마취는 수술시간을 감소시키고, 혈액 손실과 수혈요구를 줄이며, 광범위한 시술시 출혈을 적게 하여 절개시 특히 종양의 가장자리가 잘 보이도록 한다. 많은 출혈이 없는 상태에서 혈관을 결찰한다. 합병증이 많아서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④ 최면 마취
최면은 강화된 암시, 감응성, 선택적 깨어남, 감소된 의식과 제한된 주의 등으로 의식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비록 최면이 오랜 기간 동안 오용되어 왔지만 고도로 훈련된 의학 전문가에 의한 현대적 적용은 인정을 받는다). 최면 마취가 거의 사용되지는 않지만 성인과 아동환자에서 실시되어 왔다. 방법은 화학적 마취와 근육 이완제 소량을 사용한다. 최면은 선택된 환자에서 치료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화학 약품이 금기인 환자
마취에 필요한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제로 가치 있을 때
어떤 마취의 신경 물리적 효과로부터 환자를 자유롭게 하기를 원할 때
심각한 마취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너무 클 때
⑤ 침술
침술연구는 진통제와 마취제로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신뢰성을 찾기 위해 과학적이고 생리적 기초에 근거를 둔 사례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침술은 경선점(극점)으로 알려진 신체의 특별한 부위에 강한 자극을 주는 기술이다. 자극은 이 지점에 주입된 여러 가지 다양한 길이와 다양한 굵기의 전기적 흐름 또는 침을 놓으면서 효과를 높인다. 원하는 신체 부위에 진통이나 마취를 시행하기 위해 적절한 지점이 선택된다. 침술은 수술 후나 다루기 힘든 통증뿐만 아니라 치과 시술 등에서 제한되어 사용되며, 환자는 의식이 있다.
6. 마취 기록지 작성
수술을 하는 경우에 국소마취를 제외한 모든 마취는 기록을 남긴다. 마취기록지는 수술과 정의 환자 상태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되며, 수술 후 병실로 이송한 후 간호제공시 참고 자료가 되므로 정해진 약속에 따라 기록해야 한다.
체위는 일반적으로 앙와위(supine)를 취하나 수술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마취기록지는 수술명과 기본 검사결과 및 마취 방법과 절차를 기록하며 수술과정 중 환자의 활력징후도 5분 간격으로 계속 측정하여 기록한다. 마취 유도와 유지, 각성에 따라 필요한 약물을 적절히 사용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수술을 받도고 하는 것이 마취의와 마취간호사의 책임이기도 하다.
Ⅲ. 결론
앞에서 마취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고 습득하였다. 이제 어떠한 수술에 어떠한 마취가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직접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마취전 간호, 마취 후 간호, 주의사항에 유의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최신 수술환자간호 - 壽文社/2004년 9월 25일 발행
변영순 외 22명/200p~227p
http://100.naver.com/100.nhn?docid=145522
http://puser.doctorkorea.com/diseasefile/index_in.asp?dk=1&dk1_num=144&dm_id=1682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2.1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