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붕괴 현상에 대한 교육편향적 구도 및 새로운 구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붕괴 현상에 대한 교육편향적 구도 및 새로운 구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공교육(학교) 붕괴의 원인

Ⅲ. 학교붕괴 현상의 역사적 맥락 읽기

Ⅳ. 개념의 정의: 교실붕괴, 학교붕괴

Ⅴ. 학교에 대한 불신과 불만의 원인

Ⅵ. 학교붕괴현상에 대한 교육편향적 구도

Ⅶ. 학교붕괴 현상 어떻게 할 것인가: 새로운 질서의 구축
1. 기성세대와 성장세대간의 화해와 연대: 청소년을 동반자로
2. 다원화된 교육지지망의 구축: 학교외 교육을 중심으로

Ⅷ.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학교붕괴의 책임이자, 그 실타래를 풀어야 하는 의무도 모두에게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보다 다양성을 확보하는 체제로의 변신을 서둘러야 한다. 한편, 학교 외 장면에서의 다양한 교육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요즘의 성장세대가 갖고 있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문화적 특성들을 지속적으로 진단해 가는 작업도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들의 문화적 욕구와 특성을 끊임없이 수렴하고 진단하는 작업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다.
하나 더 부연하고 싶은 것은 학교붕괴 현상을 교육의 위기로 삼기보다는 또 다른 교육의 기회로 삼는 것이 더 나을 듯 하다. 붕괴현상의 해소를 위한 학교 자체의 변신도 제기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제 2의 학습체제를 축조해야 하는 필요성도 잇따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의 우리 사회는 평생학습체제로의 변신을 요구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경동. 한국교육의 사회학적 진단과 처방. 집문당, 1998.
전국교직원노동조합참교육실천위원회편. 학교붕괴.푸른나무, 1999.
구자옥(1999). 학교교육 위기분석과 진단.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학교붕괴의 원인과 진단. 서울: 전국교직원노동조합.(1999년 9월 30일 참교육토론회 자료집)
김동훈(1999). 길을 묻는 아이들에게. 인천: 내일을 여는 책.
김 민(1997a). 정보화사외에서의 신세대문화이해. 주성대학 논문집, 6. 청주: 주성대학.
김 민(1997b). 신세대문화 읽기: 대중음악과 청소년. 오늘의 청소년(11월 호). 서울: 한국청소 년단체협의회.
김 민(1998). 90년대의 대중문화에서 바라본 청소년정보문화의 이해: 포스 트모더니즘을 중심 으로. 서울: 한국청소년학회.(1998. 12. 16. 한국청소년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김 민(2000). 청소년복지실현을 위한 학교문화의 과제. 충북교육학연구, 3. 청주: 충북교육학회.
김인회(1999). 21세기 한국교육과 홍익인간 교육이념. 정신문화연구, 22(1).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0-51.
김창복(1999). 대책없으면 못사나. 민들레, 5. 서울 : 민들레.
김현진(1999a). 네 멋대로 해라. 서울: 한겨레신문사.
김현진(1999b). 재미없는 학교는 이제 그만. 창작과 비평, 106. 서울: 창작 과 비평사.
김현진(1999). 막가파 학생과 확신범 교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실천위원회 편. 학교붕괴. 서울: 푸른나무, 69-96.
김호기(1999). 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 서울: 나남출판사, 47-59.
백욱인, 하종원(1998). 컴퓨터와 청소년문화. 한국언론학회·한국사회학회 편. 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서울: 세계사.
시사저널(1999년 9월 23일). 학생도 교사도 학교 가기 싫다.
아사히신문사 편(1999). 홍영의 역. 학급붕괴. 서울: 초록배매직스.
연세대청년문화센터(1999). 왜 지금 우리는 청소년을 이야기하는가: 청소년 과 근대성. 연세대청년문화센터.(1999년 10월 30일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유네스코한국위원회(1998). 세계청소년의 권리와 책임에 관한 결의들. 서울: 우네스코 한국위원회.(청소년연구자료집 1998-6)
윤정일(1999). 학교교육 붕괴의 종합진단과 대책. 학교교육붕괴, 이대로 방치할 것이다. 서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6-12.(1999년 10월 12일 제33회 교육정책토론회 자료집)
이오덕(1980). 삶과 믿음의 교실. 서울: 한길사.
이인규(1999). 무너지는 학교, 흔들리는 교단. 창작과 비평. 105. 서울: 창작과 비평사.
이종각(2000). 21세기와 학교와 교실,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21세기 학 교교육 발전 방향.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년 2월 11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립 2주년 기념세미나 자료집)
조용환(1994). 고등학교 학생문화의 장합적 이해와 비판. 정신문화연구, 17(4).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혜정(1996).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서울: 또하나 의 문화.
조혜정(1999). 청소년 문제에서 청소년 존쟁체 대한 질문으로: 한국의 근대 화와 청소년의 주체형성. 왜 지금 우리는 청소년을 이야기하는가: 청소년과 근대성. 서울: 연세대청년문화센터.(1999년 10월 30일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주간한국(1999.10.4). 방황하는 청소년, 무너지는 교실, 그들만의 미래는 있다.
지현주(1999). 사회적 위기, 일본의 학급붕괴.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학교붕괴의 원인과 진단. 서울: 전국교직원노동조합.(1999년 9월 30일 참교육토론회 자료집)
충북교육학회(1999). '교실붕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발전, 18(3).(충북교육학회 학술대회 교육현장 개성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탈학교모임 친구들(1999). 자퇴일기. 서울: 민들레.
한겨레신문(1999년 9월 27일자). 미국 소도시 샌타그루즈 '대안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교원의 학생 생활 지도 실태 및 개선 방안. 서울: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Goodman, P.(1970). New Reformation: Notes of a Naolithic conservative. New York: Ramdom House.
Hechinger, F.(1992). Fateful Choice: Healthy Youth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hills and Wang.
Willis, P.(1981). Learning to Labour: How working Class Kids Get Working Class jobs. 김찬호, 김영훈 역(1990). 교육현장과 계급재생산. 서울: 민맥.
Comb, A. W.(1979). Myths in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inc.. 이성호 역(1995). 교육신화. 서울: 서원
河上亮一(1999). 學敎崩壞. 東京: 章思社. 이충일 역(1999). 변해버린 아이들, 무너지는 학교. 서울: 조선일보사.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12.0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