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인더스문명][베다문명][고대문명][중세문명][근세문명][인도문명][인더스][베다][고대][중세][근세]인도의 인더스문명과 인도의 베다문명 및 인도의 고대문명, 인도의 중세문명, 인도의 근세문명 심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인더스문명][베다문명][고대문명][중세문명][근세문명][인도문명][인더스][베다][고대][중세][근세]인도의 인더스문명과 인도의 베다문명 및 인도의 고대문명, 인도의 중세문명, 인도의 근세문명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인도의 인더스문명

Ⅲ. 인도의 베다문명

Ⅳ. 인도의 고대문명
1. 불교와 자이나교
2. 마우리아 왕조와 불교의 전파

Ⅴ. 인도의 중세문명
1. 굽타제국
2. 이슬람제국
1) 델리 술탄국
2) 바마니 왕조와 비자야나가라 왕조
3. 무굴제국
1) 무굴 제국의 성립과 악바르 대제
2) 무굴제국의 쇠퇴

Ⅵ. 인도의 근세문명
1. 영국 식민지지배
2. 제국주의시대
3. 제1·2차 세계대전
4. 독립 후의 국가건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제1차세계대전시 영국은 대전 후의 자치실현을 약속하고 인도의 전쟁지지를 얻었으나, 몬터규-쳄스퍼드개혁은 인도민중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1919년 국민회의파와 M.K.간디의 제1차 비폭력저항운동이 시작되었다. 인도의 저항형태는 반제반봉건의 두 형태로 나타났으며, 도시 소부르주아계급노동자농민이 참여한 피압박민족의 계급투쟁이었으나, 22년 정지되었다. 1920년에는 전인도노동 조합회의가 결성되었고, 북인도 각지에 개별적인 농민조합이 탄생하였다. 25년에는 칸푸르에서 인도공산당 창립대회가 개최되었고, 각지에서 노동당 활동을 벌였다. 30년 초 국민회의파가 지도하는 반제민족운동이 다시 고양되어 34년까지 지속되었다. 세계공황은 인도의 도시생활자와 농민을 생활고에 빠뜨렸다. 국민회의파는 1929년 대회에서 완전독립을 결의하고, 30년 1월 26일을 독립요구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인도의 노동운동은 영국의 탄압으로 좌절되었으며, 전인도노동당은 반제민족운동에 협력하지 않았다. 인도농민을 결집하는 전인도농민조합은 36년에 창립되었다. 한편 영국은 1935년 인도통치법을 마련하고 국민회의파에 뿌리를 둔 인도의 중간층을 통치기구 내부로 끌어들였다. 이 통치법으로 국민회의파의 저항타협이라는 양면성과 M.A.진나가 이끄는 무슬림연맹을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무슬림연맹은 펀자브와 벵골 두 주에서 제1당이 되었다. 신통치법은 한정적 주자치를 도입했다. 제2차 세계대전의 개시와 함께 인도는 참전국이 되었지만 국민회의파는 비협력 방침을 취했다. 41년 독일소련의 전쟁의 개시와 함께 전쟁은 제국주의전쟁에서 반파시스트인민전쟁으로 변했다. 이러한 국제적인 상황변동 속에서 국민회의파는 인도가 즉시 독립되는 것이 세계의 진보진영을 강하게 만든다고 보았다. 한편 무슬림연맹은 영국협력방침을 채택했다. 그리고 42년 8월에는 국민회의파가 인도퇴거요구투쟁으로 탄압받고 비합법화되자 파키스탄 독립요구를 확대시켜 나갔다. 반파시스트인민전쟁의 지지와 대영협력방침을 내세운 인도공산당은 42년 7월 합법화되었다. 공산당은 국민회의파와 인도퇴거요구투쟁을 적전자살이라고 규정하고 국민회의파의 민족주의를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국민회의파는 공산당을 영국제국주의의 대리인이라고 반론했다. 전쟁기의 인도정치는 국민회의파·무슬림연맹·공산당의 3당이 충돌하는 가운데 공통으로 대처할 터전을 상실한 것이다. 인도의 장래에 대해서도 무슬림연맹은 무슬림국가 파키스탄을 내세웠고, 공산당은 다민족통일을 기초로 하는 연방국가 구상을 제기했으나, 국민회의파는 힌두무슬림통일을 기초로 하는 연방제를 내세웠다. 그 사태는 독립 후의 국가구성 분쟁으로 나아갔다.
4. 독립 후의 국가건설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 종결부터 47년 8월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까지를 <권력의 이양단계>라고 한다. 47년 8월 15일 인도는 독립국가가 되었다. 또한 파키스탄은 같은 해 8월 14일 독립했다. 신생인도의 여당은 인도국민회의파, 총리는 P.J.네루, 대통령은 R.프라사드가 되었다. 50년 1월 인도는 신헌법을 시행하고, 주권재민의 연방제공화국을 탄생시켰다. 이어서 소선거구제의 제1차 총선거를 실시했으며, 국민회의파는 여당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51년 4월에는 제1차 5개년개획을 세워 토지개혁과 공업화를 추진했다. 55년 1월에는 국민회의파대회에서 인도가 달성해야 할 목표로서 <사회주의형 사회>를 설정했다. 대외적으로는 비동맹정책외교를 내세우고 중국과 평화5원칙을 확인했다. 56년 제2차 5개년개획에서는 공업화계획을 강화하고, 언어별로 주를 재편성했다. 독립인도의 정치사는 57년 제2단계를 맞이했다. 즉 인도공산당이 제2차 총선거에서 케랄라의 제1당이 되어 주정부를 장악했다. 이 정부는 59년 대통령지배가 도입될 때까지 국민회의파 중앙정부가 내세운 혁명을 부분적으로 실행하려 하였으나 국민회의파는 이 <붉은 정권>의 타도에 전력을 기울였다. 대외적으로 국민회의파는 내정불간섭원칙을 포기하였다. 67년 제4차 총선거에서는 국민회의파의 일원적 지배체제가 무너지고, 연방에서는 I.P.간디 총리가 주도하는 국민회의파가 정권을 장악했다. 서벵골과 케랄라에서는 좌파공산당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전선정부가 실현되었다. 또한 타밀나두에서는 드라비다진보연맹이 국민회의파를 대신하여 주정부를 장악했다. 이에 대해 간디총리는 75∼77년 비상사태를 선언하여 인도민주주의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77년 제6차 총선거에서는 국민회의파가 패배하고 인민당이 정권을 잡았다. 그러나 80년 제7차 총선거에서 다시 간디가 총리가 되어 강권정치를 계속하였다. 80년대 펀자브의 시크교도들은 모두 반회의파반중앙정부 입장에 있었다. 정부군은 84년 6월 시크교의 총본산에 무력을 행사했으며, 시크교도들은 10월에 간디총리를 암살하였다. 신임총리에는 장남 R.간디가 취임하였으나, 89년 실시된 총선에서 간디총리의 국민회의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40여 년간 인도를 통치해온 네루일가의 권력독점이 종식되고, 자나타달당을 중심으로 5개 야당연합의 국민전선 지도자인 W.싱내각이 발족되었다. 그러나 싱총리는 집권 11개월 만에 사임하고, 90년 C.셰카르총리가 새 내각을 구성했다. 91년 3월 국민회의당의 간섭과 비협조를 이유로 사임하고, 91년 6월에 P.V.N.라오 국민회의당 총재가 취임했다. 97년 R.간디 암살보고서와 관련해 구르랄 내각이 붕괴되고 98년 총선에서 인도인민당이 최대의석을 획득, 바지파이 총리내각이 출범했다. 99년 13대 총선에서는 인도인민당과 각 지역 군소정당이 제휴한 NDA연합이 승리하여 바지파이 총리가 재집권하였다.
참고문헌
ⅰ. 고홍근·최종찬(2006), 인도 바로 보기, Nerno Books
ⅱ. 김형준(1998), 이야기 인도사, 청아출판사
ⅲ. 강래우(2007), 헬로 인도 세 번째 인도 그리고 첫사랑, Travel Library 02)
ⅳ. 동양사학회, 동양사 개관
ⅴ. 박정석(2007), 카스트를 넘어서, 민속원
ⅵ. 우마 차크라바르티·박제선 옮김(2004), 고대 인도사회와 초기불교, 민족사
ⅶ. 우경윤(2004), 청소년을 위한 세계사 동양편, 두리미디어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4.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