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예술가의 초상 완벽한 해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젊은 예술가의 초상 완벽한 해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주관성이 부각되는 사회적 변화시기에 작가 자신의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작업 자체도 바람직한 것으로 받들이지 않는 것이다. 사회의 기존 가치관을 공격하며 대신 개인의 주관적 가치를 새롭게 제시하고 작가 자신이 작품에 도덕적 메시지를 제시하는 자체를 부정하는것에서 모더니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획을 그었다.
2.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사용된 아이러니 (irony) 수법을 예로 들어가며 설명하시오. 또한 이러한 기법이 모더니즘 문학에서 어떤 중요성을 갖고 있는지 설명하시오.
1장에서 Stephen은 나약한 신체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돌란 신부에게 매질을 당했을 때 그의 자아는 가장 약해지지만, 그러나 이 부당한 매질에 대해 교장에게 항의함으로서 잃었던 자아를 되찾게 된다. 그러나 2장에 가면 이렇게 얻은 승리가 허구였음이 밝혀진다. 즉 아버지와 선생님과의 대화에서 그의 행위가 웃음거리로 올려지는 것을 보면서 그는 다시 자아가 상실되게 된다.
2장 역시 마찬가지이다. 가정환경이 안 좋아지자 그는 현실에서 도피해 환상의 세계에 빠져들게 되고, 이때 탐독했던 몽테크리스토 백작에서 메르세데스의 이미지를 현실에서 찾고 싶어한다. 마침내 그는 창녀의 품에 안기게 되고 2장은 이때의 환희로 끝난다. 그러나 3장에서 이것은 죄가 되어 Stephen이 다시 자아상실에 빠지게 하며, 결국 그가 고해성사를 하고 기독교에 귀의하는 계기가 된다. 이 소설에서는 이처럼 자아추구를 위한 대상이 오히려 동일한 이유로 극복의 대상이 되는 순환적인 고리가 이어지면서 나타나는 끊임없는 Irony가 순환된다. 즉 Stephen은 이렇게 점차 더 큰 아이러니를 경험하게 되고 이런 경험을 통해 그의 가치관의 중심은 영웅소설의 영웅에서,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소설주인공으로, 다음에는 기독교로 이동해가며 그의 기존 가치를 해체해나가며, 결국 이로 인해 그는 예술가로서의 소명을 일깨워준다. 이렇게 이 소설은 한 인간이 중심의 부재를 인식하며 종래의 가치를 해체 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는 앞 시대의 모든 역사적 산물을 거부하고 나선 모더니즘 문학의 성격과 일맥상통한다. 모더니즘 작가들은 전통적 가치를 부정하는 대신 각자 주관적으로 체득한 개인적 비전을 구원의 메시지로 탐색해 나갔으며, 이 소설의 Stephen역시 그를 둘러싼 기존의 가치관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예술적 소명을 찾아 망명을 하게 된다..
3. 이피퍼니(epiphany) 수법을 모더니즘 작가들은 자주 사용한다. 이 수법이 조이스의 작품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는 무엇인지를 자세히 기술하시오.
이 용어는 본래 종교적 개념으로 "현시 Revelation또는 manifestation"의 뜻을 갖는다. 소설에서는 세속적이고 평범한 일상적 사건에서 어느 순간 갑자기 초월적 존재가 지상에 일순간 형체를 드러내 삶의 진실을 깨닫는 순간이며, 이러한 계시의 순간이 나오도록 작품을 구성해 가는 방식이 이피퍼니(epiphany) 수법이다. 즉 시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성을 초월하여 의미 있는 어느 한 순간을 창조하는 방식이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epiphany"는 개성적이고 자아의 분명한 인식이며 주인공의 독특한 개성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스티븐이 예술가로서의 자기 소명을 깨닫게 되는 epiphany는 주로 소, 물, 여자, 새등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의 이미지는 원형적 속죄양의 모티브를 전달하기 위해 나온다. 속죄양의 의미는 민족의 타락을 신성한 동물을 대신하여 죽임으로 정화와 보상을 획득하는 것인데, 아일랜드의 타락한 미래의 전화와 재생을 위해 스티븐 스스로가 예술이라는 종교에 바쳐지고, 희생적인 제물인 "sacrifical cow"가 된다. 스티븐이 sacrificial cow로서 자기 소명을 깨닫게 되는 제4장에서 main epiphany를 전환점으로 해서 미성숙과 성숙을 나타내기 위해 소의 현현적 이미지에 대해 부정적 어조와 긍정적 어조를 대치시켜 묘사하고 있다.
물의 이미지는 소설 초반의 부정적 이미지들(더러운 물이 내려갈 때의 "suck"의 소리, 스티븐이 wells에 밀려 square ditch에 빠질 때의 차고 끈적거리는 물의 느낌)이 후반부에 가면 긍적적 이미지들(스티븐이 산책중 Dollyment와 바다사이를 왔다 갔다 하다가 seaward로 향하는 장면, 그는 인간의 가장 깊은 무의식의 원형으로 상징되는 바다로 향하며 깊은 내면에 있는 예술가로서의 역할을 추구한다. 여기서 스티븐은 정신적인 재생을 얻는다)로 바뀌어 간다는 것이다.
여자의 이미지는 살펴보자면 부정적 색채의 여자이미지 (Mercedes는 주인공 Edmond Dantes의 사랑을 거절하고 다른 곳으로 시집을 가 버린 부정적 색채의 배반적 여자 이미지로 나타난다. Emma Clery의 멋진 드레스와 허리띠 등의 감각적인 것에 굴복하는 스티븐의 모습, 홍등가의 여자)에서 긍정적 이미지(해변의 소녀를 바라보고 있을 때 stephen의 영혼은 바다와 하늘사이로 선회하는 새들처럼 비상의 무아경 속에 치솟는다. 그리고 그녀의 이미지가 그의 영혼 속으로 빠져 들어가 삶을 변형, 재창조하게 한다.)로 바뀌어 간다.
새의 현현적 이미지를 살펴보면 처음의 부정적 이미지(독수리 등장 새에 대한 공포, 축구공을 heavy bird와 같다고 이야기한다, 사창가 돌아다닐 때 창녀들이 부르는 소리인 'pigeon'은 미성숙을 상징한다.)에서 긍정적 이미지(태양을 향해 바다 위를 나는 'hoak-likeman'은 목표에 대한 예언이며 예술가의 상징이다. 원형적 창조자인 Daedalus에 대한 상징이며, 소명과 영혼의 비상을 일으키는 현현적 이미지가 된다.)로 바뀐다.
즉 조이스는 소를 통해 자기 소명을 깨닫게 되고, 바다를 통해 정신적인 재생을, 소녀를 통해 창조의 소명을, 새를 통해 소명과 영혼의 비상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즉 epiphany가 스티븐의 외부적인 이름의 의미를 밝게 하여 그의 예술가로서의 소명을 깨닫고 정신적인 재생을 경험해 내적 소명감을 드러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가격5,000
  • 페이지수57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5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