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국가들의 체제전환정책이 남북한 경제통합에 주는 시사점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남북한 경제통합의 전제와 체제전환 관련 논의

Ⅲ. 동유럽 국가들의 경제체제 전환정책
1. 배경과 특징
2. 경제체제 전환정책의 유형과 내용
3. 평가

Ⅳ. 남북한 경제통합에 주는 시사점
1. 동유럽의 경제체제 전환정책의 유형별 적용가능성

Ⅴ.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주지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또한 동유럽의 경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 기간동안은 생산 및 투자 감소, 물가폭등, 실업증가와 같은 체제전환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전환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통일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인 바,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조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일부 동유럽 국가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안정화정책이 지나치게 총수요억제 위주로 전개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정책조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는 경제개혁의 果實이 기존의 기득권층에게 분배됨으로써 개혁이 후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는 경제성장과 안정화정책의 상충을 완화하기 위하여 폴란드에서와 같은 적절한 소득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남북한 경제통합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재 실현가능한 부문부터 단계적으로 경제협력을 모색하는 유연한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지속적인 남북경협의 확대는 중요한 방안으로서, 이를 법적.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남북한 당국회담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물론 남북한 경제통합은 과도기적으로 이질적 체제의 통합에 따른 각종 부작용과 막대한 통일비용의 부담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남북한간의 상호보완적인 경제구조를 고려할 때 중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이러한 경제통합이 남북한 경제에 활력을 줄 것이며, 또한 거대한 내수시장을 창출하게 될 것이다. 분단으로 인한 많은 제약요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인력자원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이룩했던 남북한 모두의 경험을 고려해 볼 때, 경제통합을 통해 남북한이 단일경제공동체를 형성하면 동북아 지역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북한 경제통합은 궁극적으로 통일로 향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규판. 1994. 『동구 주요국의 국유기업 사유화 정책 및 제도』. 조사보고 94-01. 서울: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 『체크 편람』.
. 1994. 『폴란드 편람』.
. 1995. 『헝가리 편람』.
. 1996. 『불가리아 편람』.
. 1996. 『루마니아 편람』.
. 1997. 『슬로바키아 편람』.
박제훈. 1997. 「이행기경제의 체제전환」. 한국비교경제학회 編, 『비교경제체제론』:98∼135면. 서울:박영사.
정갑영. 1993. 『동구개혁의 진전과 경제협력 확대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 93-38.
한국은행. 1992. 『동구 경제개혁의 과제 및 진전현황』. 조사연구자료 92-12.
. 1996. 『주요 체제전환국 민영화 현황 및 특징』. 조사연구자료 96-16.
. 1997. 『동유럽국가의 경제개혁 경험』. 조사연구자료 97-12.
한정철. 1998. 「중.동구 주요국의 부실채권 처리현황과 시사점」. 『계간 대외경제정책연구』. 1998년 여름호(통권 3호): 219∼255면. 서울: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홍유수. 1992. 『동구 경제개혁의 유형과 성과』. 정책연구 92-19. 서울:대외경제정책연구원.
Calvo, Guillermo A. and Jacob A. Frenkel. 1991. From Centrally-Planned to Market Economies: The Road from CPE to PCPE. IMF WP 91-17. (February)
EBRD. 1995∼1998. Transition Report.
Gerard Caprio, Jr., and Ross Levine. 1994. Reforming Finance in Transition Socialist Economies. Vol.9. No.1. (January)
Harvlik, P. 1996. Stabilization and Prospects for Sustainable Growth in Transition Economics. in Economics of Transition: Structural Adjustments and Growth Prospects in Eastern Europe. UK: Edward Elgar.
Fischer, S. 1993. The Role of Macroeconomic Factors in Growth.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32.
IMF. 1991. Annual Report on Exchange Arrangements and Exchange Restrictions.
Kornai, J. 1992. The Socialist System :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Oxford.
Milanovic, B. 1989. Liberalization and Enterpreneuship:Dynamics of Reform in Socialism and Capitalism. New York.
. 1992. Privatization Options and Procedures. in The Transition from Socialism in Eastern Europe. edited by Arye L. Hillman and Branko Millanovic. World Bank.
Podkaminer, L. 1999. "Ten Lessons from a decade of transition." WIIW Monthly Report, 1999, 4. Vienna.
Rybczynski, T.M. 1991. "The Sequencing of Reform. Microeconomics of Transition in Eastern Europe".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Vol.7.
Sachs, J. 1995. "Reforms in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Union in the Light of the East Asian Experience". Journal of the Japanese and International Economies. (December).
WIIW. 1998∼1999. Monthly Report.

추천자료

  • 가격1,9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0.05.1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