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고분의 성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고분의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⑴ 선행연구 검토
⑵ 문제제기

Ⅲ. 조사현황
⑴ 유적 조사현황
⑵ 출토 유물

Ⅳ. 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
⑴ 5∼6세기 영산강유역의 동향
⑵ 전방후원형 고분과 피장자의 성격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전남지역을 통치했다고 확대 해석하는 경우가 있으나, 왜인이 대거 이주해온 고고학적 자료가 없으므로 이런 가정은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岡內三眞編, 1996, 『韓國の 前方後圓墳』雄山閣.
국립광주박물관, 1996, 『광주 명화동고분』
東朝, 1995, 「榮山江流域の慕韓」『展望考古學』考古學硏究會40周年記念論文集, 考古學硏究會.
박순발, 1998, 「4-6세기 영산강유역의 동향」『백제사상의 전쟁』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박순발, 2000, 「백제의 남천과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재편」『한국의 전방후원분』충남대학교출판부.
박순발, 2001,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과 식륜」『한·일고대의 문화교류』국립전주박물관.
박중환, 1997, 「광주·전남지역 장고형고분의 분구에 대하여」『호남고고학보』5, 호남고고학회.
박천수, 1998,「韓國の墳丘墓-湖南地域を中心として-」동아시아분구묘연구회발표문.
박천수, 2001,「三國·古墳時代における韓·日交涉」『和歌山市博物館特別展圖錄』和歌山市博物館.
박천수, 2001,「전방후원분 출현 전후 영산강유역」『고대 한일문화교류의 새로운 이해』
朴天秀, 平成13年,「三國·古墳時代における韓·日交涉」『渡來文化の波』, 和歌山市立博物館.
백승충, 2000, 「6세기 전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백제연구』31,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北條芳隆, 1999, 「전방후원분의 전개와 그 다양성」『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성낙준, 1993, 「전남지방 장고분의 축조기획에 대하여」『역사학연구』12, 전남대학교 사학회.
小栗明彦, 2000, 「전남지방 출토 埴輪의 의의」『백제연구』32,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신경철, 1999, 「고대의 낙동강과 영산강」『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우재병, 2000,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 출토 원통형토기에 관한 시론」『백제연구』31,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이영철, 2001, 『榮山江流域 甕棺古墳社會의 構造 硏究』,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호, 2001, 「5-6세기 영산강유역 고분과 그 변천에 대하여」『영·호남의 고대묘제-낙동강·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박물관.
이정호, 1996, 「전방후원형고분의 연구사 검토」『호남고고학보』4, 호남고고학회
임영진, 1997, 「영산강유역의 이형분구 고분 소고」『호남고고학보』5, 호남고고학회.
임영진, 1999, 『복암리고분군』전남대학교박물관.
임영진, 2000, 「영산강유역 석실봉토분의 성격」『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새로운 조명』역사문화학회·전라남도.
田中俊明, 2000, 「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고분의 성격」『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새로운 조명』역사문화학회·전라남도.
주보돈, 1999, 「백제의 영산강유역 지배방식과 전방후원분 피장자와 성격」『한국의 전방후원분』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최성락, 1999, 「전방후원형고분의 연구현황과 과제」『박물관연보』8, 목포대박물관.
土生田純之, 1999, 「한일 전방후원분 비교검토-석실구조와 장송의례를 중심으로-」『한국의 전방후원분』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河上邦彦, 2000, 「일본 전방후원분과 횡혈식 석실」『백제연구』31,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그림 1〉 전방후원형 고분 분포도
〈그림 2〉 왜와 한반도의 전방후원형 고분
고분명
조사형태
관 련 문 헌
해남 방산리 신방 고분
지표조사
실측조사
시굴조사
최성락 1986, 「선사유적·고분」, 『해남군의 문화유적』, 목포대박물관.
강인구 1987, 『무기산과 장고산-측량조사보고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중환 2001, 『해남 방산리 장고산고분 시굴조사보고서』, 광주박물관.
해남 용두리 고분
지표조사
실측조사
최성락 1986, 「선사유적·고분」, 『해남군의 문화유적』, 목포대박물관.
강인구 1987, 「해남 말무덤 유적조사 개보」, 『삼불김원용교수정념퇴임기념논총1』, 일지사
영암 자라봉 고분
지표조사
발굴조사
서성훈·성낙준 1986, 「영암지방의 고분」, 『영암군의 문화유적』, 목포대박물관.
강인구 1992, 『자라봉고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영광 월산리 월계 고분
지표조사
국립광주박물관 1989, 「영광지방의 고분」, 『영암 와우리옹관묘』.
임영진 1993, 「영광군의 고고학유적2」, 『영광군 문화유적학술조사』, 전남대박물관.
광주 월계동 1·2호분
발굴조사
임영진 1994, 「광주 월계동의 장고분 2기」, 『한국고고학보』31.
임영진·조진선 1995, 『광주 월계동장고분·쌍암동고분』, 전남대박물관.
광주 명화동 고분
발굴조사
박중환 1996, 『광주 명화동고분』, 국립광주박물관.
고창 칠암리 고분
실측조사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00, 『고창의 분구묘-분포 및 실측조사보고서-』
함평 죽암리
장고산 고분
지표조사
실측조사
최성락·이정호 1993, 「선사유적·고분」, 『함평군의 문화유적』, 목포대박물관.
성낙준 1993, 「전남지방 장고형고분의 축조기획에 대하여」, 『역사학연구』12, 전남대사학회.
함평 예덕리
신덕 고분
발굴조사
국립광주박물관 1992,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발굴조사보고』, (유인물)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
지표조사
최성락·이정호 1993, 「선사유적·고분」, 『함평군의 문화유적』, 목포대박물관.
고창 칠암리 고분
실측조사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00, 『고창의 분구묘-분포 및 실측조사보고서-』.
※ 이 밖에도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고분에 대한 지표조사 및 측량조사가 이루어져, 전방후원형 고분의 측량도가 모두 작성되었다
) 임영진·조진선, 2000, 『전남지역 고분 측량보고서』, 전라남도·전남대학교박물관.
.
〈표 1〉 전방후원형 고분의 조사현황
〈그림 3〉 해남 방산리 신방고분 평면도 및 출토유물
〈그림 4〉 해남 용두리고분 평면도
〈그림 5〉 광주 월계동 1·2호분 평면도 및 출토유물
〈그림 6〉 광주 명화동 고분 평면도 및 출토유물
〈그림 7〉 함평 신덕 고분 평면도
〈그림 8〉 함평 죽암리 장고산 고분 평면도
〈그림 9〉 영암 태간리 자라봉 고분 평면도 및 출토유물
〈그림 10〉 영광 월계 고분 평면도
〈그림 11〉 함평 마산리 표산고분 평면도
〈그림 12〉 고창 칠암리 고분 평면도
〈그림 13〉 담양 제월리 월전 고분 평면도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0.06.04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