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실학사상의 발생배경과 실학주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받는 가정교육모친학교
㉡ 아동기(7~12) : 국어학교(無償義務的이며, 모국어로 교수) ⇒ 초등학교에 상당
㉢ 소년기(13~18) : 라틴어 학교 ⇒ 중등학교에 상당
㉣ 청년기(19~24) : 대학(고등교육)
⑷ 자연의 법칙에 따른 교육방법
① 교육은 유소년 때에 시작하며 연령단계와 능력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② 아동은 규칙적으로 등교해야 한다.
③ 개별교수보다는 학급교수가 좋다.
④ 아동에게 필요한 것만 가르쳐라.
⑤ 법칙을 가르치기 전에 실레를 들어 가르쳐야 한다.
⑥ 단계별 학습과 학년별 학습을 해야 한다.
⑦ 교육내용을 충분히 이해시킨 뒤에 기억시켜야 한다.
⑧ 친절설득유쾌흥미가 강제와 고역에 대신해야 한다.
⑨ 학습을 철폐하더라도 체벌하지 말라.
Ⅳ. 실학주의의 교육적 영향
1. 근대교육 개혁의 기점으로서의 역할
자연주의 교육에로의 연결 : 실학주의 교육사상가들이 관심을 가졌던 자연계의 법칙과 합자연의 사상은 루소에 수용되어 자연주의 교육으로 발전
직관 교육의 시작 : 언어 이전에 직관을 내세우는 코메니우스의 직관 교수는 루소를 거쳐 페스탈로치에 이어졌으며 더 나아가 현대 시청각 교육이론으로까지 발전하게 됨
근대국민교육제도와 통일학교사상으로 발전 : 코메니우스의 실학주의 교육은 모든 사람들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했는데, 이는 근대국민교육제도와 통일학교 사상으로 발전하게 됨
2. 실과학교의 발달
1) 독일 프랑케 학원, 경제수학 실과학교, 실과 김나지움
헤르만 프랑케의 ‘프랑케 학원’: 코메니우스의 실학주의와 종교적인 면을 강조하여 만들어진 최초의 학교. 프랑케는 라틴어 학교인 프랑케 학원의 교육과정에 ‘여가활동’이라는 항목으로 실과 교육을 실시
헤케르의 ‘경제수학 실과학교’: 독일 최초의 실과학교로 1747년 프랑케 문하인 헤케르가 베를린에 설립. 이 학교는 신흥 시민계급의 요구에 응하여 그 교육과정을 독일어, 프랑스어, 역사, 지리, 산술, 기하, 역학, 건축학 등의 실과로 구성함
실과 김나지움 : 이러한 실과 학교는 독일의 주요 상업도시에 확산되어 19세기 후반에는 실과 김나지움, 실과고등학교로 발전
2) 영국 아카데미
영국에서의 실과의 도입은 국교도의 여러 학교에서 배제되었던 비국교도의 손으로 시작. 비국교도가 17, 18세기에 새롭게 만든 ‘아카데미’는 전통적 학교와 마찬가지로 고전의 학습을 중시하였지만, 영어를 중시하여 모든 과목을 영어로 교수했으며, 근대 외국어 외에 자연과학, 수학, 측량술, 속기술 등의 실과 또한 대대적으로 도입
3) 미국 펜실베니아 아카데미
1751년 프랑클린이 필라델피아에 설립했던 미국 최초의 아카데미. 근대 외국어, 기하학, 대수학, 상업산술, 측량술, 천문학, 역학, 물리학 등 순수한 실용적인 제 과목을 가르침
※ 참고문헌
정호표김병희(2001), 《교육사상사》, 교육과학사
최정웅조용태(2002), 《교육의 철학과 역사》, 교육과학사
한규원이항재(1996),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김봉수(1992), 《서양교육사》, 학문사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7.0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2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