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case (추간판 탈출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항
2. 병력
3. 입원시 신체 사정

Ⅲ. Disease Description
[ 추간판 탈출증 ]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 경추 추간판 탈출증(Cervical Disc Herniation) ]
1. 추간판 탈출증의 분류
2. 임상소견
3. 진단
4. 내과적 관리
5. 외과적 관리
6. 합병증

Ⅳ. 약물

Ⅴ. 특수 검사 및 결과

Ⅵ. 입원 후 처치 및 간호


Ⅶ.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1. 부동과 관련된 배변양상변화
#2. 질병 및 수술과 관련된 통증

본문내용

통증이 있을 시에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즉시 통증조절을 하고 통증의 원인을 사정, 통증에 따르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1. 11월 8일-11월 9일, 6am, 2pm, 8pm에 V/S을 Check하였다.
2. V/S ck시마다 대상자의 통증의 부위를 사정하고 숫자 통증사정척도를 이용하여 목 및 팔과 손의 통증정도를 사정하였다(통증사정척도는 0~10까지의 숫자척도를 이용하였으며 0은 통증이 없는 상태, 10은 극심한 통증을 나타냄)
3. 2시간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고 등마사지를 시행하였으며 간호사가 없을 시에도 시행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그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4. 대상자에게 TV시청이나 라디오, 책, 방문객과의 대화, 긍정적인 사고나 상상 등의 기분전환 활동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5. 매 2시간마다 대상자의 병실을 환기시키고 악취나 소음, 과도한 빛 등의 자극요인을 사정하고 제거하였다.
6. 11월 8일 7pm에 대상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여 Newfenac 90mg/3ml 1앰플을 IM으로 1회 투여하고 30분 후에 대상자의 통증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7. 대상자에게 심상요법, 이완요법 및 심호흡의 방법을 설명한 후 대상자가 스스로 방법을 설명해보게 하며, 이를 자주 시행하도록 격려하였다.
8. 대상자에게 하루 1-2회 Warm Bath를 시행하도록 보호자를 교육하고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심한 통증이 있을 시에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1. 11월 8일-11월 9일, 대상자는 정상적인 Vital Sign의 범위를 유지하였다.
날짜
시간
B.P
T
P
R
11월 8일
6am
130/80
36.0
72
20
2pm
140/90
36.2
60
20
8pm
120/80
36.3
62
20
11월 9일
6am
120/70
36.2
75
20
2pm
130/90
36.5
85
20
2. 대상자는 수술부위의 심한 통증을 11월 8일 10시경에 1회 호소한 후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3. 대상자는 11월 9일에 “수술하고 나니까 팔이랑 손은 조금 덜 저린 것 같네, 멍한 느낌도 덜하다”라며 팔과 손의 저린감각이 완화됨를 말로 표현하였다.
4. 11월 9일에 대상자는 부동으로 인한 불편함을 “가만히 누워만 있는데 안 불편할 리가 있나”라고 말로 표현하고 지속적인 요통을 호소하였다.
5. 대상자의 숫자 통증사정척도 점수가 점차 낮아지기는 하였으나 3점 이하로 감소하지는 않았다.
11월 8일
0-1-2-3-4-5-6-7-8-9-10
11월 9일
0-1-2-3-4-5-6-7-8-9-10
6. 대상자는 심상요법과 심호흡의 방법과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긍정적인 사고와 방문객과의 대화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였다.
3. 질병과 관련된 호흡기능장애
Cervical Nerve에서 Phrenic Nerve가 나오기 때문에 이 부위의 추간판 탈출증은 호흡기능에 장애를 줄 수 있다.
4. 수술 및 통증과 관련된 객담배출의 어려움
Herniated Cervical Disc로 인해 목부위에 OP를 받은 대상자이다. 전신마취나, atropine투여 등의 요인으로 객담의 양이 증가할 수 있고 목부위의 통증으로 인해 객담배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다.
Ⅷ. 결론
Herniated Cervical Disc로 neck pain과 방사되는 팔과 손의 numbness를 호소하면서 Anterior Interbady Fusion OP를 받은 대상자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4일간 대상자의 전반적인 안위를 관찰한 결과 배변양상에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이에 따라 배변양상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간호를 제공하도록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복부팽만감 등 변비에 뒤따르는 증상은 완화되었으나 근본적인 문제인 변비는 빠르게 해결되지 않아 결국 Medication으로 조절하였다. 비약물적인 간호중재를 행하고자 하였으나 그 효과에 있어서 부족한 점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은 화학적으로 만들어진 물질로 인체에 유익한 것 만은 아니며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비약물적인 간호중재를 더욱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하고 적절히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추어져야겠다.
OP day부터 3일간 대상자의 통증을 관찰한 결과 점차 통증의 정도는 감소되었으나 설정한 목표만큼 감소되지 못하였으며 통증이 감소됨에 반해 ABR로 인한 불편감이 증가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디스크 수술 후의 환자는 수술 부위를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 부위에 직접 맛사지를 시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경우 대부분 Medication으로 통증을 조절하게 된다고 담당 간호사 선생님께 들었다. 하지만 Medication의 효과는 일시적이므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대상자에게 통증의 지각을 감소시키고, 주의를 환기시키며,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기르도록 격려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완요법, 심상요법 등 비약물적인 조절방법을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수시로 시행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좋은 방법 중 하나라 할 수 있겠다. ABR로 인해 불편감이 야기되는 대상자이므로 체위변경으로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으나 이때에는 조금스럽게 행해야 해져야 하며 전반적인 안위를 증진시킴으로써 대상자의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사정하고 전반적 안위를 섬세하게 Care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겠다.
비약물적인 간호중재가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에 대부분 약물로 중재하게 된다. 능동적인 간호활동의 영역은 비약물적인 간호중재라 생각된다. 따라서 약물로 대상자의 문제에 접근하기 전에 좀더 효과적인 간호중재활동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안위를 증진시키도록 해야 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어야겠다고 생각되었다.
< 문헌참고 >
서문자 외 (2004), 성인간호학 Ⅲ, 현문사
유해영 (2004),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Ⅰ, 현문사
E. Branwald외 (2003), Harrison's 내과학, MIP
유해영 (2004), Morsby 의학간호학대사전, 현문사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7.0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2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