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간호학 CASE ( 호흡기 내과 케이스 )- 폐렴(Pneumonia) 대상자 CAS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간호학 CASE ( 호흡기 내과 케이스 )- 폐렴(Pneumonia) 대상자 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CASE STUDY *

1. 대상자의 건강력
1) 입원동기
2) 주호소
3) 가족력

2.대상자의 건강양식
[ 교 환 ]
① 순환
② 심장
③ 신체 통합성
④ 산소공급

3.신체검사

4.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 및 특수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5. 약물

6. 간호진단
#1.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본문내용

민반응(발진, 두드러기), 신장(드물게는 급성신부전, 때때로 BUN 및 크레아티닌의 수치 상승, 핍뇨, 단백뇨 등의 신장애), 혈액계(용혈성 빈혈, 때때로 과립구 감소 등), 간장(때때로 ALT, AST, ALP, 빌리루빈 등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음), 소화기계(발열, 복통, 대장염, 설사, 구토 등), 호흡기계(발열, 기침, 간질성 폐렴 등), 균교대증(구내염 등), 비타민 결핍증(K,B 결핍증상), 중추신경계(경련), 기타(저혈압, 혈관염, 두통, 주사부위의 동통 정맥염, 오한).
6. 간호진단
#1.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숨 쉬기가 힘이 들어”, “목이 쉬쉬 거려”
-객관적 자료: 호흡할 때 숨을 다소 깊게 들이 마시는 경향이 있음.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숨을 자주 고르는 모습.
◇목표
-궁극적 목표: 호흡을 힘이 들지 않게 정상적으로 하며,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세부적 목표: 객담의 양과 농도가 감소한다.
◇계획 및 수행
-대상자의 호흡수, 호흡음, 호흡 깊이, 호흡곤란의 호소 여부, SPO₂정도를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객담의 농도와 양을 관찰하여 그 양상을 사정한다.
-기관지 확장제(Ventolin)를 사용하여 폐의 확장을 돕는다.
-객담용해제(Muteran)를 사용하여 객담의 양과 농도를 줄인다.
-필요시에 대상자에게 산소를 공급(1L/min)한다.
-객담이 나올 경우, 삼키지 않고 뱉어낼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호흡 곤란 호소 시, 숨을 깊게 들이쉬고 내쉬게 한다.
-누워있을 때 호흡곤란이 있을 경우, 머리 쪽의 침상을 약간 들어 호흡에 좋은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평가
-가래가 아직은 나오나, 그 양과 농도가 줄었다(5/4; 가래가 계속 나온다고 호소→5/8; 가래가 많이 줄었다고 말하심 & 5/1; 가래가 시큼하고 노란색→5/8; 가래의 노란색이 옅어졌고 시큼한 맛이 없어졌다고 하심).
-호흡곤란의 호소가 많이 줄었다(5/4오전중; ventolin의 D/C, 5/4오후중~5/8일; 산소투여 일시적인 중지).
#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몸에 힘이 없고, 열이 나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체온이 38.3℃까지 올라가고, 열로 인한 chilling이 관찰됨.
* 4/30; 37.6℃[9am]→ 38.3℃[1am]→ 38.0[4pm]
* 5/1; 37.6℃[6am]→ 37.3℃[9am]
◇목표
-궁극적 목표: 체온을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세부적 목표: 높아진 체온을 떨어뜨리고, 대상자가 열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계획 및 수행
-대상자의 체온을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체온의 증감에 대한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환자에게 Ice bag을 적용한다.
-staff의 처방에 따라 항생제(cefolatam)를 투여한다.
-staff의 처방에 따라 해열제(APH-Acetaminophen)를 투여한다.
-힘든 운동을 제한하고 휴식을 하게하며, 편한 환경을 제공한다.
◇평가
-Ice bag과 APH의 적용 후, chilling이 없어지고 대상자가 열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의 체온이 떨어져 정상체온으로 유지되었다.
4/30; 37.6℃(9am),38.3(1am) → 5/4; 36.7℃(9am)
* 추가로 사정할 수 있는 진단명: 질병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참고문헌◆
이두연 저 / 알기쉬운 가슴 외과학(2006) / Q line
전시자 외 / 성인간호학(2005) / 현문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 / 호흡기학(1994) /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우주 엮음 / 의학대사전(2001) / 아카데미 서적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1.29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