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역사와 쓰임
Ⅲ.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연주자세
1. 자세
2. 단소 쥐는 법
3. 손가락의 자세
4. 입술 모양
Ⅳ.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안공법과 주법
1. 단소의 음역
2. 입술 대는 위치
3. 김넣기
4. 평취법(平吹法)
5. 역취법(力吹法)
6. 동일음 중복시의 주법
7. 굴리기 주법
8. 농현법
Ⅴ.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악보 독보법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장식음과 표현부호
1. 장식음
2. 표현 부호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관련 제언
1. 연주기능상의 주의할 점
2. 자주 연주되는 단소 연주곡
참고문헌
Ⅱ.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역사와 쓰임
Ⅲ.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연주자세
1. 자세
2. 단소 쥐는 법
3. 손가락의 자세
4. 입술 모양
Ⅳ.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안공법과 주법
1. 단소의 음역
2. 입술 대는 위치
3. 김넣기
4. 평취법(平吹法)
5. 역취법(力吹法)
6. 동일음 중복시의 주법
7. 굴리기 주법
8. 농현법
Ⅴ.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악보 독보법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장식음과 표현부호
1. 장식음
2. 표현 부호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관련 제언
1. 연주기능상의 주의할 점
2. 자주 연주되는 단소 연주곡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소의 악보 독보법
정간보에서 1정간은 1박을 나타내므로, 2정간은 2박이 된다. 그리고 한 정간 안에 두 개 이상의 음이 있을 경우에는 율명의 위치에 따라 음길이가 달라진다. 또한 음을 분할하는 방법에 따라 2분법과 3분법으로 나누어진다. 한 정간이 6음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부호를 써서 나타낸다.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장식음과 표현부호
1. 장식음
서양 음악은 화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국악은 가락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가락은 장단과 더불어 우리 음악을 구성하는 2대 요소가 된다. 이러한 가락은 또한 장식음에 의해 그 성격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단소는 악기가 작고 구멍이 5개뿐이지만 단소만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많은 장식음을 정간보에 전부 기보할 수 없으므로 여러 가지 약속된 장식 부호로 대신 표시하게 된다. 장식 부호는 본음을 앞에서 꾸며주는 것과 뒤에서 꾸며주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2. 표현 부호
장식음에 의한 아름다운 선율선과 함께 우리 음악적인 멋을 한껏 느끼게 해주는 것이 우리 음악적인 표현이다. 표현 부호를 통해 표현 능력이 확립됐을 때 비로소 우리 음악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단소에 입문한 초보자 이 얼마 안 가서 금방 싫증을 느끼고 단소를 멀리하는 이유는 물론 소리내기가 힘들다는 점도 있지만 표현 부족에서 오는 결과로 단소에 흥미를 잃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소의 독특한 표현 방법들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내와 끈기를 갖고 꾸준히 연습에 임해야 한다.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관련 제언
1. 연주기능상의 주의할 점
①취구의 위치 선정을 바르게 할 것
②호흡을 고르고 길게(복식호흡)
③입김은 입술 가운데로 둥글게 낼 것
④막아야할 지공을 완전히 막을 것
⑤지공은 손끝의 둥근 부분을 가볍게 누를 것
⑥몸에 힘이 들어가서 취구나 단소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⑦음역(순취, 평취, 역취)에 따른 입김의 세기를 맞출 것
2. 자주 연주되는 단소 연주곡
영산회상 중 상령산, 쇠령산, 타령·요천순일지곡(청성곡) 등
참고문헌
권오성, 한민족 음악론, 학문사
박범훈(1992), 국악기이해, 서울 : 세광출판사
반혜성(1999), 전통음악 이론, 두남 출판사
손태룡 저(2003), 한국의 전통악기, 영남대학교출판부
이강숙(1990), 음악의 이해, 서울 : 민음사
조성래(2001), 알기쉬운 단소 교본, 한소리
정간보에서 1정간은 1박을 나타내므로, 2정간은 2박이 된다. 그리고 한 정간 안에 두 개 이상의 음이 있을 경우에는 율명의 위치에 따라 음길이가 달라진다. 또한 음을 분할하는 방법에 따라 2분법과 3분법으로 나누어진다. 한 정간이 6음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부호를 써서 나타낸다.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장식음과 표현부호
1. 장식음
서양 음악은 화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국악은 가락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가락은 장단과 더불어 우리 음악을 구성하는 2대 요소가 된다. 이러한 가락은 또한 장식음에 의해 그 성격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단소는 악기가 작고 구멍이 5개뿐이지만 단소만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많은 장식음을 정간보에 전부 기보할 수 없으므로 여러 가지 약속된 장식 부호로 대신 표시하게 된다. 장식 부호는 본음을 앞에서 꾸며주는 것과 뒤에서 꾸며주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2. 표현 부호
장식음에 의한 아름다운 선율선과 함께 우리 음악적인 멋을 한껏 느끼게 해주는 것이 우리 음악적인 표현이다. 표현 부호를 통해 표현 능력이 확립됐을 때 비로소 우리 음악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단소에 입문한 초보자 이 얼마 안 가서 금방 싫증을 느끼고 단소를 멀리하는 이유는 물론 소리내기가 힘들다는 점도 있지만 표현 부족에서 오는 결과로 단소에 흥미를 잃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소의 독특한 표현 방법들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내와 끈기를 갖고 꾸준히 연습에 임해야 한다.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관련 제언
1. 연주기능상의 주의할 점
①취구의 위치 선정을 바르게 할 것
②호흡을 고르고 길게(복식호흡)
③입김은 입술 가운데로 둥글게 낼 것
④막아야할 지공을 완전히 막을 것
⑤지공은 손끝의 둥근 부분을 가볍게 누를 것
⑥몸에 힘이 들어가서 취구나 단소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⑦음역(순취, 평취, 역취)에 따른 입김의 세기를 맞출 것
2. 자주 연주되는 단소 연주곡
영산회상 중 상령산, 쇠령산, 타령·요천순일지곡(청성곡) 등
참고문헌
권오성, 한민족 음악론, 학문사
박범훈(1992), 국악기이해, 서울 : 세광출판사
반혜성(1999), 전통음악 이론, 두남 출판사
손태룡 저(2003), 한국의 전통악기, 영남대학교출판부
이강숙(1990), 음악의 이해, 서울 : 민음사
조성래(2001), 알기쉬운 단소 교본, 한소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