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SS최종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 론

1)PPSS(전자인사정보시스템)

2)PPSS의 추진현황

3)인사정책과 시스템

2.본 론

1)도입배경과 필요성

2)전자관리인사시스템의 특징

3)선진국의 도입사례

①HP의 사이버 인사정보시스템 사례

②M의 AT&T, IB사이버 오피스

③National Semiconductor HRIS의 구축사례

4)PPSS의 기대효과

5)서비스내용

6)기존 인사프로그램과 PPSS와의 비교분석


3.결 론

1)앞으로의 계획

본문내용

는 PC-based)
* 일상적인 프로그램은 NT환경으로도 별무리없으나 전국의 공무원과 일반인들을 위한 인사행정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는 대량의 네트웍 부하를 견딜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며,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NT서버로는 한계가 있음
UNIX
* 왼쪽과 같은 사정으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는 UNIX 서버의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음
* PC-based 방식으로는 부처전체 또는 전공무원을 대상으로 자료집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
기능측면
MIS 위주
MIS 확장 + DSS 추가
통 합 성
인사와 급여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분리되어 있어 통합성이 부족함
인사전반의 업무가 단일시스템으로 통합운영됨
네트워크
기관 서버간의 연계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고 단독사용자용이 많음
각 기관의 서버와 중앙의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계되어 자료전송
설계개발
현행 업무 프로세스 위주로 설계개발
BPR 실시후 설계 개발을 하기 때문에 기존 프로그램의 부분적 수정으로는 곤란하고 전면적 개정이 불가피하여 새로개발
업무범위
인사+급여
인사+급여+복무+복리후생 등
법제도
측면의
지 원
현행 법제도하에서 제한적인 업무지원(인사시스템)
서류 인사기록카드의 폐지 등 법제도를 개선보완하여 제도적으로 뒷받침함으로써 실질적인 업무효율성 제고
* BPR을 실시하여 업무수행방식 전면 재설계
사용대상
인사담당자
급여담당자
인사담당자
급여담당자
공무원본인
서무담당자
관리자(과장국장실장...)
기관장(인사권자)
일반국민
지원업무
서류작업과 병행하여 시스템을 통한 업무처리
복무출장 등 일부기능 미지원
급여업무는 완성도가 높으며,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다만, 인사 프로그램과 완전하게 연계되지 못함)
NT 서버에서 시스템을 운영중인 일부 부처에서는 Web을 통하여 개인 인사자료, 급여명세표 등을 조회하는 기능제공(PC에서 시스템을 운영중인 대부분의 부처는 불가)
서류중심의 업무처리로 인한 중복작업을 배제하고, 단순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 함(인사급여담당자는 C/S로, 나머지는 Web을 통하여 업무처리)
인사급여 뿐만 아니라 근무상황통계검색업무를 대폭 강화
사용자 계층과 권한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
(개인신상정보, 급여명세표, 평정작업, 승진후보자명부, 연말정산 예상 및 결과, 교육신청 및 이수결과, 출장, 근무상황, 초과근무지정 등에 대하여 Web 상으로 업무처리. 관리자에게 별도로 부서원 신상정보, 통계 등을 제공)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Version-Up시 GCC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이 Download하여 Up-Grade 실시
중앙 Server로부터 자동 Version-Up되므로 개별적인 Download 작업 불필요
구 분
GCC 표준인사급여 시스템
인사정책지원시스템(PPSS)
자료공유
측 면
근본적으로 인사시스템과 급여시스템이 별개로 운영되므로 동일한 자료를 공유하지 못하고 별도로 입력관리해야 하는 비효율 발생
각 기관이 독자적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의 데이터베이스나 네트워크상의 연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구축
주로 PC 기반으로 소속기관별로 운영(자치단체 등에서는 소속과별로 급여프로그램을 설치운영하는 곳이 많음)
기본적으로 인사자료를 인사내의 여러 업무뿐만 아니라 급여, 복무, 통계 등에서 공유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자료의 이중입력에 따른 중복작업 및 자료의 불일치 등을 방지하여 신뢰도를 높임
UNIX Server 기반으로 부처전체가 전산자원을 공동이용
같은 부처내에서는 모든 자료의 공유가 가능(인사기록카드의 교환, 부본, 사본의 관리가 불필요)
타부처로의 전보시에도 기존자료를 모두 자동이관 가능
사용환경
2년여의 사용으로 사용자들이 사용환경에 친숙함
신규적용으로 적용초기에 적응을 위한 준비기간 필요
3.결론
1) 앞으로의 계획
현재 전자인사관리시스템 추진과정은 3단계에 왔다고 볼 수 있다.
1단계는 업무분석과 업무재설계를 통해 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닦는데 주력하였다. 이 부분은 앞의 추진경과에서 나타났듯이 일반직을 중심으로 한 기본시스템 개발을 끝내고 시범적용을 거쳐 지속적인 안정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2단계는 개발된 시스템을 각 부처에 보급하고 운용환경을 구축하여 업무에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은 2002년에는 31개 중앙행정기관에 구축되었고, 2003년 8월부터 2004년 5월까지 16개 중앙행정기관에 구축함으로써, 전 중앙행정기관에 대한 확산을 마무리하였다. 시스템 구축은 주로 서버장비와 상용소프트웨어 및 개발된 전자인사관리시스템을 설치하고 인사기록을 입력하여 실제 인사업무에 활용되도록 하는 일들이 포함된다. 이 단계에서는 각 부처의 인사ㆍ급여담당자에 대한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고 운영자 지원 센터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시점인 3단계는 ‘실용도를 어떻게 높이느냐', ‘활용성을 어떻게 높이느냐'하는 활용가치를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또 앞으로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유지보수하고 고도화하는 데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그동안 시스템을 어떻게 잘 만들지에만 힘을 기울였지 유지보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역할과 범위를 정하지 못했다. 실용주의적 측면에서 어떻게 관리를 할지, 유지보수 조직은 어떤 조직으로 운영할지, 장기계획을 가지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정보의 유통과 관리 인프라 차원에서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유통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개인의 정보보호, 전자적 신원확인 등을 위한 전자서명 이용 확산을 통해 온라인 행정서비스 이용 기반을 구축하고, 정부 내 통합전산환경을 단계적으로 구축을 하고 시스템 운영ㆍ관리 및 개인정보의 보호조치 등에 필요한 법과 제도를 계속해서 정비해야 할 것이다.
전자인사관리시스템 등 전자정부의 구현은 단순한 행정의 전산화가 아닌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국민을 진정으로 고객으로 인식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업무혁신을 이루는 것이 전자정부인 것이다. 전자정부는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야 할 21세기형 정부이고, 치열한 국가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3.0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