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의_종류와_주의사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식중독이란?
2.식중독 발생현황
3.식중독 분류
(1)세균성 식중독
①감염형 식중독
‣살모넬라증(Salmonellosis)
‣장염 Vibrio 식중독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②독소형 식중독
‣포도상구균 식중독(Staphycococcus food poisoning)
‣보툴리누스균 식중독(Botulism)
‣웰치균 식중독
(2)자연물에 의한 식중독
①동물성 자연독
‣복어 중독(Swellfis poisoning)
‣패류 중독
②식물성 자연독
‣독버섯 중독
‣맥각 중독
‣감자 중독
‣독미나리 중독
(3)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①유독물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중독
②기구, 용기, 포장, 등에 의한 중독
③첨가물에 의한 중독
④중금속 중독
‣수은(Mercury, Hg)중독
‣Cadmuim(Cd)중독
‣납(Lead, Pb)중독
‣비소(arsenic)중독
(4)최근문제가 되는 식중독
①E.Coli 0157
②캠필로박터 식중독(Campylobacter jejuni)
③리스테이라증(Listera monocytogenes)
④여시니아식중독(Yersinia enterocolitica)
4.식중독의 예방방버
(1)기본원칙
(2)WHO의 식중독 예방 10대 수칙

본문내용

배설물이 호수나 수영장으로 흘러 들어가 아이가 감연 된 경우
ㆍ감염된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경우
예방
ㆍ매우 다양한 식품 및 식재료에서 발견되고 있어 개인위생과 함께 식품의 세척과 가열 등 위생적인 취급이 가장 중요하다.
②캠필로박터 식중독(Campylobacter jejuni)
원인균
ㆍCampylobacter
잠복기
ㆍ2~7일이며 다른 식중독보다 길다.
증상
ㆍ설사가 가장 보편적이며 열, 메스꺼움, 복통 및 구토 신경계 질환인 Guillain Barre Syndrome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사망한다.
감염경로
ㆍ소, 염소, 돼지, 개, 닭, 고양이 등이 보균하고 있으며 대부분 처리되지 않은 우유나 오염된 음용수가 감염원이고 가금류를 비위생적으로 처리해 요리한 음식이 원인인데, 가열이 불완전하거나 재오염된 닭고기를 섭취한 경우로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예방
ㆍ열에 의해 쉽게 파괴되며 상온에서는 다른 세균들과 경쟁해 잘 자라지 못해 몇 일 밖에 생존하지 못하며 냉장온도에서는 성장은 못하지만 생존할 순있고 상온에서의 방치는 큰 영향을 받진 않는다.
③리스테이라증(Listera monocytogenes)
원인균
ㆍListeriosis
증상
ㆍ초기엔 감기증상과 비슷하나 중증으로 진행되면 임산부의 유산을 유발하고 전신적 감염상태인 패혈증을 일으키며 뇌에 침투해 뇌수막염을 일으켜 지각장애 보행이상 등의 신경증상을 나태나며 심장, 간 등 실질이상 병변으로 2차적인 기능장애의 예가 보고되고 있다.
감염경로
ㆍ식품을 통해 유행이 주된 경로로 식육 및 식육가공품, 야채, 유가용품 등이 사람의 리스테리아증 발생에 관련있다.
예방
ㆍ대다수의 유제품을 냉장보관하고 있지만 일단 균에 오염되었다면 안정성을 보장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저온에 저항력이 강해 4℃에서도 증식이 가능해 냉장고를 과신하지 말자.
원인
ㆍ자연계에서 분포된 세균이지만 Yersinia enterocolitica
증상
ㆍ맹장염과 비슷한 복통과 고열을일이키며 설사, 구토, 메스꺼움이 동반되기도 하며 1~2주 내 회복된다.
예방
ㆍ실온에서 가장 잘 자라지만 저온에서 발육하는 특성과 산소 유무에 상관없이 생육 가능한 특성이 있어 냉장, 진공 포장된 식품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열에는 비교적 약해 적절한 가열, 조리에 의해 사멸된다.
잠복기
ㆍ보통 1~7일의 잠복기(길게는 10일미만)
감염경로
ㆍ사람의 대장에서 서식하는균은 아니며 가축이나 야생동물의 장내세균이며 동물의 배설물에서 검출된다. 불안전하게 요리된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등이며 축산폐수에 오염된 지하수의 음용을 통해 감염이 된다.
④여시니아식중독(Yersinia enterocolitica)
※원인균별 호발 부위
4.식중독의 예방방법
(1)기본원칙
①청결
-청결한 손, 청결한 원료, 청결한 조리기구 등 청결이 가장중요하다.
②신속
-원료를 구입해 신속히 조리하거나 식품을 조리하였을 때 장시간 방치하지 말고 신속히 섭취해야 한다.
③냉각 또는 가열
-식중독균은 일반적으로 5℃이하 또는 60℃이상의 온도에서 생육이 억제되므로 냉각하거나 가열해야 안전하다.
(2)WHO의 식중독 예방 10대 수칙
①안전을 위해 가공된 식품을 선택할 것
②철저하게 조리할 것
③조리된 식품은 즉시 먹을 것
④조리된 식품은 조심해서 저장할 것
⑤한번 조리된 식품은 섞철저하게 재가열할 것
⑥날음식과 조리된 식품이 섞이지 않도록 할 것
⑦손은 여러 번 씻을 것
⑧부엌의 모든 표면은 아주 깨끗이 할 것
⑨식품은 곤충, 쥐, 기타 동물들을 피해서 보관할 것
⑩깨끗한 물을 이용할 것
※참고문헌
1)지역사회간호학 2006 수문사
2)공중보건학 김종오 외 2002 청구문화사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22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