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개념, 소규모학교(작은학교) 원인, 소규모학교(작은학교) 특기적성교육, 소규모학교(작은학교) 협동교육, 소규모학교(작은학교) 수준별교육과정, 소규모학교(작은학교) 수업정보화와 제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개념, 소규모학교(작은학교) 원인, 소규모학교(작은학교) 특기적성교육, 소규모학교(작은학교) 협동교육, 소규모학교(작은학교) 수준별교육과정, 소규모학교(작은학교) 수업정보화와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개념

Ⅲ.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원인
1. 교육 내적 요인
2. 교육외적 요인

Ⅳ.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특기적성교육
1. 특기 적성 교육의 방침
2. 특기 적성 교육 활동시 고려할 점
1) 시간 운영
2) 장소 활용
3) 교사 조직
4) 프로그램 선정
5) 집단 편성

Ⅴ.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협동교육
1. 목적
2. 방침
3. 문제점

Ⅵ.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수준별교육과정

Ⅶ.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수업정보화
1. 시설면
2. 수업정보화 기기 사용 능력 신장면
3. 수업정보화 자료 구축면
4.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면
5. 기타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나 자료가 1회에 그쳐 소규모 학교에서의 적용에 애로가 많았다.
다. 학생들의 학습의욕이 낮아 상태로 수준별 교수-학습에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다.
라. 수준별 소집단(심화보충과정) 편성에 있어서는 학생과의 상담에도 불구하고 보충과정 소집단 학생들이 열등감과 소외감을 느껴 부작용이 나타났다.
마. 심화보충과정의 학습 요소 및 학습 과제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아울러 수준별 교수-학습에 대한 질 높은 교사 연수가 요구되었다.
바. 수준별로 차별화 된 학생들의 수업 내용에 대한 평가가 기본 학습 내용에 대한 평가로 치우치게 되어 학생들이 심화 학습을 기피하고 학습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Ⅶ. 소규모학교(작은학교)의 수업정보화
농촌 소규모 학교에 적합한 수업정보화 모델 탐색을 주제로 한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1차년도 실태 분석과 2차년도 실태 분석 및 최종 실태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변화 모습은 다음과 같다
1. 시설면
(1). 수업정보화를 위한 시설 환경 조성에 특히 노력한 결과, 소규모 학교에 알맞은 형태의 수업정보화실을 구축할 수 있었다.
(2). 전 교실에 인터넷망과 교사용 및 모둠 학습용 컴퓨터를 설치하여 교실에서도 정보 활용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마련하였다.
(3). 교사들이 학습 자료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각종 기자재를 설치하였다.
(4) 전자 도서실의 구축으로 자료의 검색과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5) 가정에서도 컴퓨터 보유율이 1차년도 5.9%에서 48%로 향상되었다.
2. 수업정보화 기기 사용 능력 신장면
(1). 교사의 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해 집중 연수와 컴퓨터 숙련자와 미숙련자 간의 1:1 연수를 통해 교사들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2). 특기적성 교육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컴퓨터 기능 교육은 이 시간을 이용하고, 교사는 정보화 활용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어 교사들의 업무 분담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3). 특기적성교육의 결과, 고급반(5,6학년) 15명 중 7명이 워드프로세서 3급에 합격하였으며, 중급반(4,5학년) 15명 중 12명이 컴퓨터 인정 시험에 합격하여 대외적으로 컴퓨터 능력을 인정받았다.
3. 수업정보화 자료 구축면
(1). 다양한 인터넷 학습 도우미를 도입함으로써 아동들의 컴퓨터 및 통신 활용 기능과 웹 서비스 이용 능력을 크게 신장시킬 수 있었다.
(2). 상운 홈페이지 및 상운 인트라넷의 구축으로 자료 검색 및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 수 있었다.
(3). 소규모 학교에서는 교사들의 인력 부족으로 다양한 학습 자료를 구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기 구축된 다른 사이트의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풍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4.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면
(1). 인터넷 사용 능력이 신장됨으로써 학생이 스스로 학습 정보를 탐색하여 학습에 활용하는 자기주도적 정보 활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2). 기존의 주제해결학습 일변도의 학습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WBI 학습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다.
(3). 인터넷, e-mail, 채팅 등 다양한 방법과 파워포인트, 실물화상기, OHP, 캠코더 등 수업정보화 기교재를 사용하여 학습 자료의 제작 및 활용이 가능해졌다.
(4). 여러 가지 인터넷 자료를 탐색하여 본시 학습에 알맞은 학습 자료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5. 기타
(1). 소규모 농촌 환경에 알맞은 학교 기반 시설과 학습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본 시범학교 운영 중 일반화가 가능한 몇 가지 자료를 개발할 수 있었다.
(2). 정보화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크게 바뀌었으며, 가정의 정보화도 점차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Ⅷ. 결론 및 제언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 나라에서는 최근까지도 소규모 학교교육의 장점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소규모 학교교육의 문제는 학교를 그대로 존속시키면서 다양한 개선방법을 도입하려는 노력은 전혀 하지 않은 채 방치된 상태에서, 현행 소규모 학교교육은 문제가 많으므로 학교를 없애거나 통합함으로서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통폐합을 통해서 소규모 학교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 아니라 도서벽지에서 문화적 결핍은 두말할 것도 없고 교육적 배려에서도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들을 어떻게 하면 각자의 거주지에서 보다 양질의 교육을 할 것인가 진지하게 모색할 때이다. 문제의 원인이 투자를 하지 않고 방치된 결과에서 비롯되었으므로 이제는 투자를 통해서 개선해 보자는 것이다. 통폐합보다는 소규모 학교를 존속시키면서 학생들의 시각에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자는 것이다.
교육의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이고 정치경제와도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소규모 학교교육의 일부 문제들은 거시적으로 사회 전체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인 협조를 통하여, 그리고 제도적 개선을 통하여 해결할 부분도 있고, 승진, 보수 그리고 근무여건의 개선이나 학교 환경의 개선 및 복식 교육과정의 운영, 사회성 신장을 위한 소규모 학교 간 협력학습 체제의 구축 등과 같은 문제는 교육부나 시도 교육청의 노력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도 있다. 반면, 일부 문제는 주어진 여건 속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및 학교의 노력으로 개선되어 질 부분도 있다. 후자의 대표적인 예가 대 지역 사회 관계 개선, 소인수 학교에서의 복식교육과정의 운영, 학생지도 방법의 개발, 그리고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등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문헌
* 강순원, 작은 학교가 살아야 교육이 산다, 우리교육, 1994
* 김재춘, 수준별 교육 과정의 이해, 교육 과학사, 1999
* 권기춘, 농촌 소규모학교의 통합방향 모색, 영남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농림수산정보센터, 농림수산정보화사업 추진계획, 1994
* 농림수산정보센터, 농어민 정보 이용 실태 및 수요조사, 1995
* 변영계·김광휘,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2000
* 이관춘, 생명가치구현을 위한 영국의 대안교육 : Schumacher 학회의 작은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제6권 제2호, 1996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