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 통합보육을 위한지원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통합보육의 개념

2.장애아동 복지와 교육에서의 통합

3.통합보육의 사례

4.장애아 통합보육을 위한지원방법

5.결어

#참고

본문내용

다. 장애아들이 받는 물리치 료, 놀이치료, 감성치료 등 치료비 대부분이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한다.
또 장애아는 보험회사에서 내놓은 건강, 상해보험 상품에 가입할 수 없어 엄마들은 항상 아이에게 무 슨 사고라도 생길까 노심초사해야 한다.
#상급학교 진학,멀기만 하다! 1994년 전면 개정된 특수교육진흥법은 의무교육기간 중에 는 누구 라도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 장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전학,입학,차별의 형태는 빈번히 나타나는 것이 현실이다.
올해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실시한 '장애인 교육차별 실태조사' 를 보면, 장애학생의 55%가 일반학교 입학을 거부당한 경험이 있으며 일반학교에 다니고 있는 장애아의 55.8%가 학교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초등학교에 입학을 해도 상급학교로의 진학의 길은 멀다. 전교조 특수교육위원회 자료에 따르면,2003년 전국 특수학급은 4천102개 이다.
이 중 초등학교에 3천119개, 중학교에 712개, 고등학교에 1 87개가 설치돼 있어 장애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갈수록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은 바늘구멍이 되고 있는 것이 다. 부산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장수호 국장은 '고등교육의 차별은 장애인들이 직장을 가 질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고 결국 장애인이 정 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하기 힘들게 만들고 영원한 아이로 전락시킬 수밖에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5.결어
많은 사람들이 모두 왜 이렇게 열심히 일하고 부를 축적하고 이사를 다니고 하는가? 대부분의 경우 "아이들을 잘 키우려고" 라고 대답한다. 그런데 공부 잘 하고 일류대 가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아이는 행복할까? 또 만약 그 아이에게서 장애아가 태어나면 그 때 모든 행복이 무너지는가? 그렇게 아슬아슬하게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것인가? 특수교육과 복지정책에의 투자에 대해 의문을 갖는 사람들에게 이것이 일종의 보험이라고 대답하고는 한다.
어떤 사람의 삶도 질병, 장애, 죽음 등 인력으로 피하고 싶은 것들을 피하고 그려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원하지 않는다고 가리면 가려지는 것도 아니다. 당연히 존재함을 인정하고, 그 어려움을 나누고 극복해가면서 진정한 삶의 기쁨과 의미도 깊이 새겨지는 경험을 한다. 여러 가지로 부족한 민우를 돌보고 배려하는 자신들의 부모와 선생님을 보며 자라는 비장애아이들은 본인이 세상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을 때에도 같은 배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고, 또 같은 배려를 주위에 나눌 수 있는 성숙하고 아름다운 인간으로 성장할 것을 확신한다.
#참고
1. jisikin.co.kr/tt/9513
2. cafe.daum.net/dream7979
3. blog.daum.net/jx-007
4. 한라일보, 2010.1.29 김치훈 기자
5. 서초구, 장애아 통합보육지원사업 실시 |작성자서초여우
6. nyjtoday.com/news
7. 주간시흥, 2007.11.27
8. 부산일보 2004.8.3, 나눔의 현장 속으로, 7. 장애인 통합교육 ㉻ 문제와 대안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1.10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3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