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다양성 관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 ‧ ‧ ‧ ‧ ‧ ‧ ‧ ‧ ‧ ‧ ‧ ‧ ‧ ‧ ‧2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➀ 광학 현미경(optical microscope)
➁ 해면동물문(Porifera)
➂ 자포동물문(Cnidaria)
➃ 연체동물문(Mollusca)
➄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2. 실험기구 및 재료‧ ‧ ‧ ‧ ‧ ‧ ‧ ‧ ‧ ‧ ‧ ‧4
1) 실험 기구
2) 실험 재료

3. 실험 방법 및 유의점‧ ‧ ‧ ‧ ‧ ‧ ‧ ‧ ‧ ‧ ‧5
1) 실험 방법
2) 실험 시 유의점

4. 결과 및 관찰‧ ‧ ‧ ‧ ‧ ‧ ‧ ‧ ‧ ‧ ‧ ‧ 6
1) 해면동물문(Porifera)
2) 자포동물문(Cnidaria)
3) 연체동물문(Mollusca)
4)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 털군부

5. 고찰 ‧ ‧ ‧ ‧ ‧ ‧ ‧ ‧ ‧ ‧ ‧ ‧‧ ‧ ‧ ‧ ‧9
1) 각 재료의 특징
2) 동물의 34계 문

6. 참고문헌‧ ‧ ‧ ‧ ‧ ‧ ‧ ‧ ‧ ‧ ‧ ‧ ‧ ‧ ‧ ‧ ‧18
- 저자, 연도, 책제목, 페이지, 출판사

본문내용

는 매우 길고 여러 가지 부속기관을 가진다. 가스교환은 주로 촉수를 통해 하는 것 같다. 신경계는 원시적이고 순환계는 폐쇄형이다. 자웅이체이고 생식선은 후체에 1쌍씩 있다. 수정과정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어떤 종에서는 암컷이 관 속에 알을 낳고 이 알이 수정되어 관 속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배(胚)는 관과 함께 채집된다.
추형동물문(Phylum PHORONIDA)
: Phoronida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phoros(가진)와 라틴어의 nidus(집)에서 유래한 것이다. 바다의 모래진흙 속에 군서하고 어떤 것은 꽃말미잘의 관 속에서 공생한다. 종 수는 적어 세계적으로 20종 정도 알려져 있다.
태형동물문(Phylum BRYOZOA) [=외항동물(Ectoprocta)]
: Bryozoa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bryon(이끼)과 zon(동물)에서 유래한 것이다. 주로 바다에 살고 있으나 민물에 살고 있는 것도 있고, 고착하거나 또는 종에 따라 약간 이동하기도 한다. 화석은 오르도비스기 이래로 알려져 있으나 백악기 이후에 알려진 것이 많다. 세계적으로 5,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주로 군체(colony)를 형성하고 착생하며 해조, 바위, 패각에 부착하고 종에 따라 부착장소의 선호도를 나타낸다.
완족동물문(Phylum BRACHIOPODA)
: Brachiopoda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brachion(팔)과 podos(발)에서 유래한 것이다. 오랫동안 이 동물의 촉수관을 연체동물의 발과 유사하다고 생각해 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구멍난 복각(ventral valve)이 로마시대의 등(lamp)처럼 보인다 하여 lamp shell이라고도 한다. 바다에 살고 바위와 다른 동물에 고착하지만 어떤 것은 모래진흙 속에 살며 군체를 이루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3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화석종은 30,000종이나 된다.
화석은 캠브리아기 이래로 알려져 있다.
모악동물문(Phylum CHAETOGNATHA)
: Chaetognatha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chaete(강모)와 gnathos(턱)에서 유래한 것이다. 주로 바다에서 부유하는 동물이지만 때로는 해조 사이에서 사는 것, 다른 동물에 기생하는 것 등이 있다. 주로 요각류와 같은 플랑크톤과 심지어는 작은 물고기까지 잡아먹는 육식성 동물이다. 밤에는 표면 가까이 부유하나 낮에는 보통 200~1,000m의 수심에 산다. 화석은 캠브리아기 이래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65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극피동물문(Phylum ECHINODERMATA)
: Echinodermata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echinos(바다밤송이 또는 고슴도치), derma(피부)와 신라틴어의 -ata(접미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모두 해저에 살고 염분에 예민하여 기수에는 살지 않는다. 바다나리류에는 자루를 가지고 고착생활을 하는 것이 있지만, 그 외 다른 것들은 바위나 모래 속에서 이동을 한다. 또 부유성으로 약간 헤엄치는 것도 있다. 화석은 캠브리아기 이래로 풍부하게 알려져 있으며 약 20,000종의 화석종이 있다.
세계적으로 약 6.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반삭동물문(Phylum HEMICHORDATA)
: Hemichordata라는 명칭은 그리스어의 hemi(반)와 신라틴어의 chordata(척삭을 가진)와 -ata(접미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바다의 얕은 곳에 살고, 모래진흙 속에서 사는 것, 이동성의 것, 다른 동물에 부착하여 사는 것이 있으며 또 부유성의 것도 보고되어 있다. 화석은 오르도비스기 이래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100여 종이 밝혀져 있다.
척색동물문(Phylum CHORDATA)
: 발생 초기의 배에 척색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들은 모두 원구가 항문으로 되고 2차적으로 생긴 입을 가지는 후구동물의 하나이다. 몸은 체절로 나누어진다. 이 분류군의 가장 중요한 분류학적 특징은 소화관 등 쪽에 몸의 지지기관인 막대 모양의 척색을 일생 또는 생활사의 초기에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몸은 좌우대칭이고, 3배엽성으로 체강이 잘 발달되어 있다. 중추신경계는 관상(管狀)이다.
순환계는 폐쇄형이고 심장은 소화관에서 배쪽으로 있다. 소화계는 잘 발달되어 있다. 척색동물문은 미색아문(尾索亞門:멍게류 ·탈리아류), 두색아문(頭索亞門:창고기류), 척추동물아문(脊椎動物亞門)의 3아문으로 분류된다.
미색류는 유생(幼生)에만 척색이 있고 두색류는 일생동안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배나 유생의 시기가 지나면 추골(椎骨)로 된 척주(脊柱)로 대치된다. 학자에 따라 미색동물과 두색동물을 합쳐 원색동물문(原索動物門)으로 하고 척추동물을 독립된 문으로 분류한다. 척색동물은 극피동물과 함께 후구동물의 장체강(腸體腔)동물에 속한다.
6. 참고문헌 (저자, 연도, 책제목, 소제목, 페이지, 출판사)
1) Dayna L. Stocks외 2명, 1972, P15~27, Burgess Publishing Company
2) SAMUEL N. POSTLETHWAIT외 2명, 1976, P27~30, Burgess Publishing Company
3) 박원학 외 6명, 1999, 실험생물학, P317~344, 형설출판사
4) 이종욱, 2005, 동물계통학, P304~406, 형설출판사
5) 한국동물분류학회, 2003, 동물분류학, P117~368, 집현사
6) http://cafe.naver.com/younamlee/3666
7) http://home.cein.or.kr/%7Epig5910/%BB%FD%B9%B0%C0%C7%BA%D0%B7%F9/dongmul-3.htm
8) http://home.cein.or.kr/%7Epig5910/%BB%FD%B9%B0%C0%C7%BA%D0%B7%F9/dongmul-5.htm
9) http://home.cein.or.kr/%7Epig5910/%BB%FD%B9%B0%C0%C7%BA%D0%B7%F9/dongmul-6.htm
10) http://news.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14484&contentno=
11448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3.2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