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1. 자궁경부 해부, 생리

2. 자궁경부암의 병리 및 병기

3. 원인

4. 증상

5. 진단적 검사

6. 예후와 치료의 선택

7. 자궁경부암의 치료

8. 병기별 치료

9. 치료성과

Ⅲ. 간호사례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진단 목록
번 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날짜
서명
#1
2006.5.22
낯선 환경의 과잉자극과 관련된 수면장애
미해결
#2
2006.5.22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미해결
#3
2006.5.22
금식과 관련된 구강점막 손상
미해결
#4
2006.5.22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미해결
3)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 계획/수행
기대되는 결과
낯선 환경의 과잉자극과 관련된 수면장애
목적: 대상자는 5월 23일 까지 중간에 깨어나지 않고 잠들며 수면이 만족스럽다고 말한다.
1. 대상자는 5월 23일까지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5월 23일 까지 수면 시간이 8시간으로 변화된다.
① 환자의 수면/활동양상을 활력증후 측정 시 사정한다. (취침ㆍ기상ㆍ수면시간, 환경적 요구)
② 수면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취침시간의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다.
ⅰ) 마사지, 체위 취하기, 접촉 등 편안한 방법을 시작/수행한다.
ⅱ) 환자의 일상적 취침시간 유지, 수면 전 신호/지지대와 익숙한 물건을 제공한다. (예 - 읽을 책)
③ 취침 30분전에 우유 한잔을 제공한다.
④ 대상자에게 적어도 취침 2시간 전에 수면에 도움을 주는 운동을 교육 한다.
⑤ 환자/가족과 최적의 수면을 유지하는 안위조치, 수면 증진기법,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의논한다.
⑥ 환자가 취침 전에 긴장된 상황을제거하도록 교육한다.
1. 먼저 일반적인
문제를 진술하게 하
고 그 다음에 좀더
상세한 질문을 하도록 한다.
2. 수면을 방해하는 습관에 비례해 수면에 도움이 되는 습관들을 판단하는 것은 중요하다.
3. 우유에는 수면을
유도하는 자연산 아미노산
l-Tryptophan
이 들어있다.
4. 적어도 취침 2시간 전에 실행할 수
있는 운동은 수면을 증진시킬 수 있다.
5. 환자의 자가 간호는 가족들의 지지로 인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목적: 대상자는 5월 23일 까지 통증 완화를 표현할 수 있다.
1. 대상자는 5월 23일까지 통증을 말로써 표현한다.
2. 5월 23일 까지 통증이 조절되어 대상자의 표정, 행동에서 통증의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
① 환자의 신체적 통증 증상을 활력증후 측정 시마다 사정한다.
② 통증 발생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 하고 약물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③ 환자에게 안위를 증진시키는 간호를 수행한다. (예 - 이완요법)
④ 기분전환 활동을 환자와 함께 계획한다. (예 - 독서, TV시청 등)
⑤ 통증완화를 위해 지시된 열 요법이나 냉 요법을 실시한다.
⑥ 베게나 부목을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적절히 지지
⑦ 처방에 따라 morphine sulfate와 같은 진통제를 투여하고 약물의 작용을 평가하고 기록한다.
⑧ 대상자 및 가족에게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심시킨다.
⑨ PCA교육을 제공한다.
1. 환자는 종종 통증을 표현하거나 설명하지 못하는 수가 있다.
2. 통증을 호소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을 사용하여 호소한다.
3. 통증양상과 지속시간 등을 사정함 으로써 통증의 원인이나 전조가 되는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4. 통증에 따른 적절한 진통제의 제공은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면역 장애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적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에 있다.
1. 대상자는 5월 23일 까지 감염 예방법에 대한 지식을 말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5월 23일 까지 감염 예방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① 대상자에게 감염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② 침습적 시술을 한 부위의 감염 증상을 확인 하도록 한다.
( 배액, 출혈, 악취 )
③ 감염된 자와의 접촉을 피하도록 하고 적절히 손을 씻도록 한다.
④ 머리가 아프고 체온이 상승된 느낌이 들 때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⑤ 매 1~2 시간마다 체위변경과 심호흡으로 기도를 청결히 하도록 한다.
⑥ 감염 시 올 수 있는 여러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⑦ 간 기능이 떨어져 면역 장애가 유발 되어 감염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교육한다.
① 수술 후 환자는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아져 있다.
② 적절한 손 씻기는 감염의 1차적 예방법이다.
③ 감염 시 체온이 상승된다.
4) 간호수행 기록지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SOAPIE)
서명
2006.5.24
#1
①~④
2006.5.24
#2
①~⑨
2006.5.24
#3
①~⑦
Ⅳ. 결론 및 제언
63병동이 부인과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Part의 환자들이 많아 부인과케이스가 없어 걱정을 많이 했었다. 정말 간혹 가다가 난소암 환자분 한 두분 계시는 등 부인과 질환에 대한 공부를 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조차 없는 건 아닐까 걱정도 많이 했다. 그러던 중 자궁경부암으로 인해 Radical hysterectomy수술을 받은 배미옥님을 알게 되서 케이스 스터디를 할 수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앞서 병태생리적인 지식을 통해 알아본 자궁경부암은 초기진단이 어려워 병을 키우기가 십상이다. 내 대상자 또한 그러했지만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를 추후적으로 받는다면 괜찮다고 하니 다행이다. 결론적으로 부인과 질환이라는 한 특수파트의 질환에 대해 깊이 있게 사정하고 실습 시간이 짧아 간호수행측면이 많이 부족했지만, 이론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 거 같다.
Ⅴ. 참고문헌
* Sigma Theta Tau Lamda편/ 간호임상 매뉴얼/ 현문사 / 1997
* 임상간호 실무지침Ⅱ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이은옥, 서문자, 김매자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고효정 외 6인(2003). 모성, 여성 건강간호학. 서울 : 신광출판사
* 이영숙 외 6인(2004). 여성건강 간호학 Ⅰ,Ⅱ. 서울 : 현문사
http://www.amnews.co.kr/cancer-jagoong.html
http://www.medirepo.com/w-cancer/cxca/smccxca/cxcatx.htm
http://healthlink.co.kr/mps/scr/8cervixca.html
http://www.dnai.co.kr/news_han/news_hankuk_16.html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7.1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