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pneumoni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렴 pneumon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및 클로스트리듐 다이피셀에 의해 야기된 항생물질 관련 위막성 대장염(경구투여로 치료)
드물게 쇽, 설사, 구역, 구토, 어지러움, 이명, 청력저하, 빌리루빈, AST, ALT, ALP의 상승, 드물게 LDH, γ-GTP, LAP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 BUN, 크레아티닌 상승 등의 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 호흡곤란, 맥관통, 정맥염
6)대상자의 치료계획
치료명
치료 목적
치료경과 및 현 상태
환자간호
RUL cavity를 줄여주고 fever를 호전시키는 치료.
MRSA에 준해서 반코바이신 1.0G을 투여해 RUL 염증을 치료하고 열 조절을 한다.
5/18 고열과 흉통발현 기침
EDBC
ICE BAG KEEP
5/22 R/O MRSA 로 보고 반코마이신 투여 후 WBC.감소 관찰되며 FEVER, 기침, 흉통 사라짐.
지속적인 반코 투여로 약과 관련된 부작용과 iv site수시로 확인
5/29 cavity 입원당시보다 호전보임.
6/5 FEVER와 기침 등 조절되면서 일상생활 잘 하고 있다. 반코마이신은 기본 4주 투여계획으로 치료중이다.
7)간호과정 적용(우선순위 선정하여 3개 제시)
자료수집
<주관적> “귀찮아서 혈압 안 잴꺼니까 그냥 가.”
<객관적> 38도 이상 열나면서 오한과 식은땀을 번갈아가면서 관찰됨.
항상 힘없이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고열과 관련된 피로
간호목표
정상체온을 유지하여 피로를 줄인다.
간호중재
피로를 조절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인식한다.
체온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피로와 질병의 경과, 활동 수준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대상자는 스스로 수분섭취의 필요성을 안다.
(고체온시에는 수분 증발이 심함으로 수분섭취는 전해질 균형에 중요하다.)
적절한 치료요법을 수행해 대상자의 피로를 덜어준다.
간호평가
항생제 변경 전.후 BT 변화가 서서히 호전보이며 열이 호전되면서 피로감을 덜 표현 했다.
자료수집
<주관적> “기침할 때마다 가슴이 아파.”
<객관적> 기침 시에 얼굴을 자주 찡그리며 고통스러워 함.
가슴이 아프다며 손은 항상 통증부위를 감싸며 비스듬히 누워있음.
간호진단
기침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대상자는 편안한 느낌과 통증의 완화를 표현한다.
간호중재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통증부위, 특성, 지속시간, 동반되는 다른 증상)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기침의 원인이 되는 기관지분비물을 제거한다.
대상자에게 수분을 공급 해 준다.
대상자에게 통증의 부위를 지지해 준다.
간호평가
고열이 호전되면서 기침도 차츰 좋아지기 시작했으며 그 후 동반되는 통증도 서서히 감소되었다.
자료수집
<주관적> “밤에 자다가 기침을 해서 자주 깨요. ”
<객관적> 하품하는 모습 자주 보임.
낮잠 자는 모습 보이나 기침을 하며 깨는 모습 자주 관찰 됨.
간호진단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간호목표
기침이 완화되고 잠에서 깨는 횟수가 줄어든다.
간호중재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수명양상을 사정한다.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준다.
잘 잤다는 느낌을 표현하게 한다.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정해진 시간에 수면을 취한다.
충분한 수분을 공급한다.
간호평가
기침의 횟수가 줄어들고 깼다가도 금방 다시 수면을 취하는 모습 관찰됨.
8)대상자의 퇴원교육 및 추후관리
교육내용 및 간호
교육매체 및 기타
약물복용
진해, 거담제 투여
(1)절대 금연 하도록 교육한.
(2)폐렴을 앓고 난 후 피로, 허약감, 우울증 등이 지속될 수 있다고 환자에게 알린다.
(3)피로, 갑작스러운 추위나 더위, 과도한 음주 등 폐렴에 대한 저항을 낮추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4)인플루엔자 예방주사를 매년 맞도록 권유한다.
식이
영양을 잘 섭취하고 적당한 휴식을 취하여 자연 방어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운동
무리한 운동은 피하도록 하며 가벼운 조깅이나 걷는 운동을 하도록 한다.(유산소 운동 권장)
병원방문
퇴원 후 1주일 후에 외래 방문하여 x-ray, lab f/u
9) 영상의학 결과(X-ray and CT)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1),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925p~1124p
최공옥 외(2003), 건강사정, 현문사
김강금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94p, 97p, 125p, 183p, 254p, 234p
유해영(2003), 최신 임상간호메뉴얼(제7판), 현문사
http://www.kimsonline.co.kr/

키워드

호흡기 질환,   폐렴,   PN.,   pneumonia,   폐렴case,   case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