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선생의 모든 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선생의 모든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활동
 (1)정약용의 출생과 그 배경
 (2)다산의 청년시절
 (3)西學과의 만남
 (4) 벼슬길의 다산
 (5) 유배생활과 학문에 대한 열정
 (6)고향에 돌아와서

2. 정약용의 사상사
 (1)철학사상
 (2)사회·정치·경제적 사상
 (3)자연과학사상
 (4) 법 사상

3. 결 어

본문내용

는 三農 정책을 주장하고 나섰다. 삼농은 便農, 厚農, 上農을 뜻하는데, 편농이란, 농사를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고, 후농이란, 농민들에게 더 많은 이익을 주기 위한 정책이고, 상농이란, 농민들의 신분적 대우를 개선할 정책을 뜻한다.
편농정책의 첫째는 수확량의 증가를 위해 논밭에 종자를 세우는 기준과 규격을 제시하고 농기계를 사용하여 농민들의 노동력을 절감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농민들로 하여금 우량종자를 계통적으로 선정하도록 하여 곡식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셋째로는 관개수리 사업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후농 정책의 첫째는 관료들의 농민들에 대한 파렴치한 착취를 금지할 것, 둘째는 지방별 특산물의 장려를 권장 하는 것이다.
상농정책의 첫째는 과거제도를 개선하여 놀고먹는 자들을 없앨 것, 둘째로 상공업 분야에서 나타나는 무질서한 현상 당시에 상공업은 자본가들의 부질서한 투자와 이기적인 이익추구에 의해 빈민들의 폐해가 심각하였다.
을 퇴치하는 것이다.
다산의 자연과학적 사상을 이야기함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바로 수원성 축조와 관련한 擧重機의 발명이다. 다산은 수원성을 쌓는 기술과 건설기계들에 관한 서적들을 광범히 조사연구한 후 설계, 건설 재료, 시공 기술 등의 문제들을 당시의 각종 기계들에 대한 백과사전 격인 중국도서 [奇器圖說]을 참고하여 해결하였다. 이 때에 다산은 [기기도설]의 내용을 전부 수렴하지 않고 이치에 맞지 않은 부분은 수정하여 [甕城圖說] 성을 쌓을 때 성문앞에 세우는 하아리 모양의 둥근 2중 성벽에 대한 설명글이다.
, [砲樓圖說] 성벽에 치성을 만들고 치성위에 위치에 맞게 여러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설명한 글이다.
등의 책을 집필하였다.
거중기는 위에 4개, 아래에 4개의 도르래를 연결하고 아래 도르래 밑으로 물체를 달아매고, 뒤 도르래의 양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끈을 연결하여 이 끈을 물레에 감아 물레를 돌림에 따라 도르래에 연결된 끈을 통해 물체가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했다. 당시, 거중기의 사용으로 인명피해의 방지와 경제적인 효율성 실제 거중기로 인해 수원성 축조의 예산이 4만냥이나 절약되었다고 함.
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였다.
그는 의학에도 관심을 보였다. 의술을 발전시키고 백성들의 삶에 널리 유포시켜 그들의 고통을 덜며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하였고, 치료사업에 일상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는 우선 종두술을 우리나라에서 확립하고 보급하기 위해 朴齊家와 더불어 문헌연구와 실험들을 수차 진행하여 성공하였다. 다산은 항상 조선의 생약과 민간요법에 관심을 갖고 연구 하였으며 의사가 없어 무당에만 의존하고 있는 백성들을 위해 의서인 [村病或治]를 저술하였다. 또한, 가축들의 전염병에도 관심이 있어 당시 농민들에게 있어 家寶와도 같았던 소(牛)의 전염병이 돌고 있을 때 치료법에 대한 상세한 처방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다산은 자연과학의 연구에 있어서도 유교적 ‘民本主義’ 사상에 입각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기 위하여 헌신하였다.
(4) 법사상(法思想)
茶山의 法思想의 근본은 民本主義에 있다. 國體와 政體論, 基本權 思想, 刑罰論 등 모든 곳에서 그의 민본주의적인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위에서 논한 바와 같이 國家의 統治構造體制와 관련하여 백성을 권력의 被지배자의 위치에 군림하게 하는 권력구조에 대해 비판하고 이를 시정하기를 권하고 있다. 인간은 理性을 가진 동물로서 ‘사람위에 사람 없고, 사람아래 사람 없다.’는 平等思想을 기초로 인간의 尊嚴性을 인정하는 기본권 사상을 드러내고 있다.
法治主義를 이상으로 하여 법학교육의 중요성을 직시하여 法律專門家의 양성을 촉진하고 백성들에게 법에 대한 교육을 실행하기를 주장하였다.
刑事法과 관련하여 현대적 의미와 부합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罪刑法定主義를 비롯한 근대의 刑法思想에 접근하고 있다. 故意와 過失을 구별하여 과실은 不可罰로 취급하자는 등, 법의 解釋에 있어서 유연함을 보인다.
法哲學과 관련하여서는 儒敎적 원리에 입각하여 禮와 法을 같은 것으로 보는 禮法一致思想을 전개하였다. 예는 일종의 自然法으로써 근본적으로 법에 內在하고 법은 그것을 사회실정에 맞게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법은 사회실정에 변화에 따라 改正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3.결 어 (結 語)
茶山 丁若鏞은 한국 근대의 격변기 속에서 백성들에게 해를 끼치고 있던 封建社會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物心兩面으로 노력하였고, 나아가 內外的으로 요구되는 변화의 거센물결을 극복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에 봉착했던 인물이었다. 더욱이 봉건주의적인 당시 사회에서 民主主義思想의 측면에서 재조명하려는 입장에서 보면 民主的 思想家로서 그의 사상은 크게 돋보인다. 그는 정치·사회·경제 등에 걸쳐 방대한 양의 저술을 하였거니와, 그 중에서도 그의 정치사상에는 인권과 민권을 위한 민주적 측면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또한, 다산의 사상을 통해 서구로부터의 외래적 전파에 의해서만이 아닌 한국사회 내부로부터 내재적으로 형성되고 있던 민주주의사상의 發展經路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朝鮮 말기의 혼란한 사회상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확립하려 했던 그의 意志 및 努力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학문의 연구를 통한 지식의 擴充은 사회에 올바로 還元되는 것에 의의가 있는 것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다방면에 能通하고 뛰어난 融通性을 겸비하고 민중을 위한 정치를 力說하는 그를 감히 ‘民衆을 代辯하는 萬物博士’라고 불러 본다.
*참고 문헌*
<정다산 연구>(한마당, 과학원 청학연구소편, 1989)
<실학의 철학>(예문서원, 한국사상사연구회, 1996)
<茶山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형효, 심경호, 장승구, 최진덕, 배병삼. 1998)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삼인, 윤사순 지음, 1998)
<茶山 정약용>(성균관대학교출판부, 금장태 지음, 1999)
<한국 실학 사상사>(다운샘, 한국철학사연구회 지음, 2000)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서광사, 장승구 지음, 2001)
<다산경학의 현대적이해>(한국철학사연구회,2004)
<韓國法思想史>(서울대학교출판부, 催鍾庫 , 2004)

키워드

정약용,   다산,   실학,   실학자,   정조,   성리학,   애민사상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3.30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5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