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가족치료]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법과 사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조적 가족치료]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법과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발달
2.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1) 가족구조와 가족규칙
2) 가족 하위체계
3) 경계선
4) 가족 항상성(family homeostasis)
5) 삼각관계(triangulation)
3. 구조적 가족치료 전략 및 개입
1) 증상에 대한 도전기법
2) 가족구조에 대한 도전 기법
3) 가족의 실체에 대한 도전기법
4.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5. 구조적 치료기법과 과정
1) 치료 기법
2) 치료 과정
6. 구조적 가족치료의 사례
1) 사례 1
2) 사례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있다. 전체적으로 각 하위체계 간에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보이는 분리된(Disengaged family) 가족양상을 보인다.
(5) 가족도표(family map) : 위의 가족진단을 가지고 구조적가족치료이론의 기호를 사용하여 가족도를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6) 치료목표를 설정해보면, a)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킨다. b) IP - 부 - 모 와의 관계를 탈삼각관계화 한다. c) 형제간의 개별화를 촉진시킨다.
(7) 치료과정
◆ 초기과정
① 먼저 부모 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간의 경계를 명료화시키기 위해 IP-부모를 개입시켰다. IP의 부는 IP의 빈번한 외박과 학교 결석에 대해 꾸짖으며, 모는 타이른다. IP는 부가 말할 때마다 비웃는 한 미소를 지었다. 필자는 가족상호작용의 실연(Enactment)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IP부에게 “자녀가 이렇게 웃는 것이 좋으냐?”고 물음에 IP부는 화를 심하게 냈고, 모는 IP를 타일렀다. 이때 연구자는 “저를 의식하지 말고 웃는 행동이 그칠 때까지 계속해서 말하라”고 부모에게 지시했다.
② 가족전체를 개입시킴으로써 부부관계, 부모관계, 형제관계를 관찰하였다. IP의 부는 “지금까지 외박과 결석을 안 하겠다는 말이 도대체 몇 번째냐, 더 이상 속아 넘어 갈 수가 없다”고 말했고, IP의 모는 계속해서 눈물을 보이고 있었으며 언니는 IP의 행동에 대해 창피하고 지쳤다고 말하며, 동생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반면에 IP는 “왜 나만 못살게 구느냐, 집에 들어가고 싶은 마음이 생겨야 들어가지. 집에 들어가면 엄마, 아빠 싸우는 것만 보는데 들어가고 싶겠어?”라면서 말대꾸를 했고, 심한 저항을 보였다. 필자는 상호보완(Complementarity)의 기법을 사용하여 가족 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즉 IP가 외박과 결석을 했을 때 가족들이 어떠하게 대하는지를 계속 물어보면서 가족원들이 솔직하게 말할 수 있도록 했다.
◆ 중반기
① 부모, IP, 언니, 동생을 개입시켜 부-언니, 모-동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 속에서 IP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IP는 “우리 아버지는 언니 편만 들고, 우리 엄마는 동생 편만 든다”면서 가족 내에서 소외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냈고, 형제들과의 갈등을 표현했다. 또한, “엄마와 거의 매일 싸우는데 화를 내고 나면 미안하다. 그런데 나도 모르게 또 화를 내게 된다”면서 모에 대한 죄책감과 미안함을 표시했다. 필자는 IP가 모에 대해 미안함과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칭찬해주면서 “네가 어머니에 대해 미안함도 느끼는구나”라는 말을 하면서 IP룰 격려했고, 현실도전기법(Reality challenging)을 사용하여 “부모들이 언니나 동생 편만을 드는 것이 아니라, 네가 올바른 행동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해주면서 왜곡된 현실을 변화시키고자 했다.
(2) IP-부모. 언니와 동생을 개입시켜 부모 하위체계와 형제하위체계 간의 상호교류형태(Transactional pattern)를 파악하였다. IP는 “아버지가 너무 공부하라고만 하고, 가정에 소홀하면서, 엄마랑 싸우는 것이 너무 싫다. 엄마랑 자주 싸우는 것 보는 것도 이제 지겹다. 그래서 집에 들어오기 싫다.”면서 갈등을 표현했고, IP부는 “엄마 아빠의 문제는 엄마아빠에게 맡겨라. 그리고 너희들 앞에서 자주 싸운 것은 미안하게 생각한다 ”고 말하면서 치료에 협조를 해왔다. 필자는 IP의 부에게 매일 30분씩 IP와 자녀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갖도록 과제를 주었고, IP가 어떤 말을 해도 치료를 목적으로 다 들어주라고 지시했으며, 자녀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상의했고, IP가 청소년기를 잘 넘기기 위한 사회화 과정에 등에 대해 교육(Education)시켰다.
◆ 후반기
① IP와 전체 가족을 개입시킴으로서 변화된 부모하위체계와 형제 하위체계를 파악하였다. IP는 “이제부터 다시 새롭게 시작해야겠다” 면서 울음을 보였고, 부는 “자녀들 앞에서의 싸움을 피하고 가정에 좀더 신경을 쓰겠다”고 했으며, 모도 “내가 너무 아이들 입장을 생각하지 않은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며, IP에 대해 또 자녀들을 위해 각자의 역할을 잘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하였다. 필자는 IP의 가족문제를 현실에 맞게 다른 관점에서 보도록 인식시켰고, IP의 부모에게도 “부모문제도 중요하지만, 청소년기에 있는 자녀에 대해 관심을 맞추어 보도록”권면하였다. 또한 부와 IP를 포함한 자녀들과의 함께 하는 시간들로 인해 IP의 언니도 “동생에게 너무 소홀히 하며, 장녀로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이 창피하다”고 말했으며, 동생 또한 “누나한테 미안하다”고 말함으로 형제하위체계가 좋아졌다.
(8) 평가
이 가족은 두 부부가 이혼의 위기에서 부부하위체계간의 경직된 경계를 보이고 있는 분리된 가족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자는 부모하위체계 간의 제휴를 통해, 부부하위체계를 변화시키고자 하였으나, 부부간의 투사가 강한 이유로 변화를 초래하지 못한 것이 아쉬우나, 가족구성원들의 현실인식에 대한 변화는 이 사례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라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권석만, 우울증, 이상심리학 시리지 2, 학지사, 2003.
김성일, 청소년 문제행동의 예방을 위한 자녀지도의 기본원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김소은,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을 통해 본 군인 가족치료, 서울여대 기독교대학원 논문, 2001.
김용태, 가족치료 이론, 학지사, 2000.
김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진영, 가치의 내면화 문제를 중심으로 본 세대간의 관계와 가족상담, 한국목회상담학회지, 창간호, 2001.
박중수, 한국문화에서 가족 목회상담, 한국학술정보(주), 2011.
송성자, 한국문화와 가족치료, 법문사, 2001.
신정아, 위기가족 청소년의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1.
이동희, 현대 군사 제도론, 일조각, 1977.
정정숙, 기독교교육학, 도서출판 베다니, 2000.
조현, 여성의 우울증, 계측 문화사, 2009.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