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문화재, 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퇴계태실]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동문화재, 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퇴계태실]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안동문화재와 지정문화재
1. 하회탈 및 병산탈
2. 징비록
3. 류성룡 종손가문적
4. 양진당
5. 충효당
6. 류성룡 종손가유물
7. 하회별신굿 탈놀이
8. 병산서원
9. 북촌댁
10. 원지정사
11. 빈연정사
12. 류시주가옥
13. 옥연정사
14. 겸암정사
15. 남촌댁
16. 주일재
17. 안동하회마을
18. 하동고택

Ⅲ. 안동문화재와 도산서원

Ⅳ. 안동문화재와 하회마을

Ⅴ.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참고문헌

본문내용

밖에 터를 잡던 시기와 같은 때에 하회에 와서 살기 시작한 게 아닌가 생각된다. 안씨는 하회에 들어와 35대까지 내려왔다는 것만 보아도 그 역사가 유구했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마을 근처에 안씨 묘소들이 산재해 있으며 삼십년 전까지 한 집이 남아 있다가 떠난 뒤로 지금은 한집도 남지 않았다.
\'안씨들이 피를 천석이나 했다\'는 말도 전한다. 부용대로부터 부계 쪽으로 만 여 평이나 광활하게 펼쳐진 농토에서 수확된 것으로 추정된다.
풍산 류씨들이 입촌 하여 점차로 번성하게 되자 허씨들이 먼저 한두 집 떠나고 이어서 광주 안씨들이 뒤를 이었다. 그리하여 하회마을은 류씨 집성촌으로 자리 잡으면서 대촌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고 보여 진다. 풍산 류씨들이 하회에 자리를 잡으면서 얼마 안 되어 벼슬길이 열렸다. 중종대에 입암 류중영은 과거에 급제한 뒤 벼슬이 관찰사에 이르렀고, 이분이 두 아들을 두었는데 바로 겸암 류운룡(1539~1601)과 서애 류성룡(1542~1607) 선생이다.
하회는 옛부터 삼백여 대촌이라 불려왔다. 이것은 하회 1, 2동을 합해서 부른 말이다. 갑술년(1934) 대홍수에 유실되어 현지는 본동에 120여호에 류씨는 70여호 정도이다.
Ⅴ. 안동문화재와 퇴계태실
퇴계태실은 온혜초등학교 근처에 있는데, 퇴계선생께서 나신 곳입니다. 퇴계태실이 보존되어 있다.
퇴계선생은 진성이씨인데 퇴계선생으로 인해 진성이씨는 안동의 최고명문가로 떠오르게 된다.
진성은 오늘날 청송군 진보면이며, 진성이씨의 시조는 휘(고인의 이름을 높여 휘라고 한다)가 \'석\'이며, 퇴계선생의 6대조가 된다. 시조로부터 퇴계선생까지 이어지는 진성이씨의 가계를 설명해보면,
석 -> 자수(송안군) -> 운구(공조참의), 운후 형제로 이어지며, 다시 운후 -> 정(선산부사) -> 우양, 흥양, 계양의 3형제로 이어진다.(우양 후손은 \'주촌파\', 흥양 후손은 \'강천파\'라고 한다.)
다시 계양 -> 식, 우(송재) 형제가 나오며, 식 -> 해(대사간, 대사헌, 관찰사), 황(퇴계선생) 등 6형제가 됩니다.(즉 진사를 지낸 식은 바로 퇴계선생의 부친이 된다. 식의 후손을 \'온혜파\'라 하며, 퇴계의 숙부가 되시는 우는 참판과 관찰사를 지냈는데 그 후손은 \'송재파\'라 한다.)
이렇게 보면 퇴계선생 가계는 역사는 오래되지 않지만 단기간에 명문으로서 기반을 다진 가문이고, 특히 퇴계선생께서는 학문과 환로에서 숙부와 중형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퇴계선생은 집안의 스승 외에도 인근에 사시던 선배인 농암 이현보(어부가를 지은 분)와 친교하였다고 한다.
퇴계종택은 온혜리에서 동쪽으로 지방도를 따라 가면 나온다.(정확한 지명은 알지 못하나 아마 상계가 아닌가 생각되며, 하회처럼 큰 마을이 아니라 퇴계선생종택만 따로 있다)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온혜천이 종택 옆으로 흐르고 있는데, 현재의 종택은 퇴계선생 사후에 퇴계선생께서 사시던 곳에서 약 30미터될까? 산쪽으로 위치를 옮겨 후손에 의해 건립된 것이라 한다.
종택에는 높다란 솟을대문에 \'퇴계선생구택\'이란 글씨가 선명히 쓰여 있고, 퇴계선생의 높으신 학덕에 어울리게 집안 전체에서 기품과 권위가 느껴진다.
참고문헌
김홍기(2008), 문화재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방침의 변천과 경관변용에 관한 연구 : 안동하회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송승규(1998), 안동의 문화재,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서수용(1996), 안동의 문화재 : 지정문화재 편, 영남사
안상학(2000), 안동의 문화와 문화재,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안동시(2007), 안동문화재대관
이명희(2005), 지역사 학습을 위한 문화재 활용 방안 :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