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전문대문헌정보과]문헌정보학과 전문대문헌정보과, 문헌정보학과 전문직, 문헌정보학과 글쓰기, 문헌정보학과 사서전문성, 문헌정보학과 외국문헌번역, 문헌정보학과 서지학, 문헌정보학과 도서관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헌정보학][전문대문헌정보과]문헌정보학과 전문대문헌정보과, 문헌정보학과 전문직, 문헌정보학과 글쓰기, 문헌정보학과 사서전문성, 문헌정보학과 외국문헌번역, 문헌정보학과 서지학, 문헌정보학과 도서관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문헌정보학과 전문대문헌정보과

Ⅲ. 문헌정보학과 전문직

Ⅳ. 문헌정보학과 글쓰기

Ⅴ. 문헌정보학과 사서전문성

Ⅵ. 문헌정보학과 외국문헌번역

Ⅶ. 문헌정보학과 서지학

Ⅷ. 문헌정보학과 도서관문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제서지 등이 있다.
서지학의 기본교재가 부족한 것도 문제다. 이는 선학이 학문적 내용을 고집한 결과로 보이지만, 초학자를 위한 교재는 필요하다. 초학자를 위한 것인 만큼 교재는 쉽고 재미있게 만들어야 하며, 영상과 음성위주로 전환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교수방법도 피교육자에게 호응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학문적이면서 실질적인 방법 등을 활용하여 피교육자가 참여하는 강의방법이 필요하다.
또 하나 서지학도로서 반드시 명심하여야 할 점은 새로운 연구영역의 개척이다. 고문헌과 문화유산을 사장시키지 않고 오늘날의 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접목시켜주는 작업은 서지학도의 임무다. 정보가치가 높다고 하면서 현대적 이용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이는 공염불이 될 것이다. 고서도 언젠가는 DATA BASE를 구축하여야 하며 자동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번역·현토작업 등과 함께 현대적 정리는 물론이요, 색인·초록·주제서지 등 현대서지의 개발을 통하여 고문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한국서지학의 특징인 활자나 종이와 묵즙 등은 과거 사실의 연구에만 그치지 말고, 현대 더 나아가 미래의 인류생활에까지 실제로 응용할 수 있도록 접목시켜야 한다. 전통문화의 많은 부분이 과거에는 찬란하였지만 오늘날에는 도태되어 가는 부분이 서지학 영역에도 있다. 자랑스러운 우리의 것을 더욱 빛내기 위하여 현대생활에의 응용방법까지 개발하여야 한다. 이렇게 과거에서부터 현대 서지학까지 그리고 지역서지학에서 주제 서지학까지 영역을 개발함으로써 서지학의 새로운 발전 전기도 마련하고, 문헌정보학 내의 타 전공과도 공통분모를 확대시켜나가면서 공감대와 협력의 기반을 넓혀야 한다.
Ⅷ. 문헌정보학과 도서관문화
이제 도서관 문화는 문화의 정의에 부합하는가, 도서관 문화는 문화의 구성 요소를 갖추었는가, 도서관 문화는 전승되고 통합되고 변동되는가를 논의할 차례이다.
오늘날 정치, 경제, 사회, 교육, 과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 및 그 하위 분야에 문화라는 단어를 붙여서 쓰는 경향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기업 문화, 대학 문화, 청소년 문화, 화장실 문화 등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과 같이 빠른 속도로 사회가 변화하고 발전하는 상황에서 도서관 문화를 논의한다는 일 자체는 주목할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서관계 및 문헌정보학계에서 이에 관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구 성과 역시 전무한 실정이다. 그 결과 도서관 문화를 논의한다거나 도서관 문화를 대학의 강좌로 삼으려 할 때 다루어야 할 내용과 범위 및 접근 방법 등이 무엇인지 참으로 당황스럽다고 아니 할 수 없다.
도서관은 인간의 지적 산물의 하나인 문헌을 선별하여 그것을 수집, 조직, 축적, 검색 및 제공하여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서관은 사회 구성원들의 문헌 요구 및 문헌 관리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조직된 사회 조직이기 때문에 전술한 일련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행동 양식과 생활양식이 동원된다.
단정적으로 말하면 지적 소산이라고 정의되는 문헌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함으로써 도서관 문화는 형성되고 계승, 발전된다. 문헌을 수집하여 제공한다는 도서관 기능상의 초기 단계를 간단히 살펴보자.
도서관은 지적 활동의 결과로 생산된 문헌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하여 의사결정론과 도서관의 설립 목적을 이론적 토대로 삼는다. 이러한 지적 활동은 사회 구성원들의 문헌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첫 번째 조치임과 동시에 행동 양식이다. 도서관은 수집된 문헌에 국가 혹은 국제 수준의 표준화된 규칙을 적용하여 記述編目 및 主題編目을 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문헌 파일과 목록 파일을 편성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 컴퓨터를 비롯한 기계 장치를 활용하느냐의 여부는 오직 수단과 방법일 뿐이다. 국가 혹은 국제 수준의 표준화된 규칙의 적용은 원활하고 효과적인 書誌統整과 도서관 협동을 이룩함으로써 사회 구성원들의 문헌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문헌 및 정보의 共有를 유도하고 촉진한다. 이 일은 문헌의 수집과 제공 및 문헌 이용자의 권리를 보장한다는 도서관의 기본 철학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므로 도서관 문화는 문화의 정의에 부합한다.
문헌정보학의 기초 이론에서 다루는 바와 같이 도서관은 그 기본 철학을 실천하기 위하여 장서, 시설, 인력, 예산 등 여러 자원을 확보하고 교육학, 사회학, 경영학, 컴퓨터과학, 심리학 등 관련 학문 분야의 이론을 援用한다. 이 자원들이 하나의 체제를 이루고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도서관은 문헌 봉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도서관 문화는 문화의 구성 요소를 갖추었다.
도서관의 기본 철학을 실천하고 문헌 이용자의 권리를 보호, 확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는 納本法, 도서관 협동, 국제 표준 서지 기술법(ISBD), CIP 데이터, 국가 단위 정보망, 세계 과학 기술 정보망(UNISIST),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서지의 편찬 활동, 문헌의 자동 색인 및 분류, 전자 도서관, 하이퍼미디어, 멀티미디어, SDI 서비스, SCI,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검색 기법,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재교육과 사서의 양성, 도서관 홍보 기법, 도서관사의 편찬, 국가 단위의 도서관 협회 및 국제도서관협회 연맹, 도서관의 지적 자유, 도서관 헌장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도서관 문화의 전승과 통합 및 변동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도서관 문화의 창달에 기여한 도서관인들의 소중한 업적들이다.
참고문헌
○ 강숙희(2012),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서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 김희란(2000), 문헌정보학의 실천성 : 성격, 한계, 전망, 부산대학교
○ 소시중(1999), 전문대학 문헌정보과와 교과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 윤동원(2008), 한국의 서지학 연구동향, 국립중앙도서관
○ 윤정옥(2010), 도서관 문화 콘텐츠의 조직과 접근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 이수상(1997), 한국 문헌정보학의 성립구조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