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식중독과 유해물질][세균성이질][화학성식중독][식중독 예방법]식중독의 정의, 식중독의 유형, 식중독과 화학성식중독, 식중독과 유해물질, 식중독과 세균성이질, 식중독의 예방법, 식중독의 치료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중독][식중독과 유해물질][세균성이질][화학성식중독][식중독 예방법]식중독의 정의, 식중독의 유형, 식중독과 화학성식중독, 식중독과 유해물질, 식중독과 세균성이질, 식중독의 예방법, 식중독의 치료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식중독의 정의

Ⅲ. 식중독의 유형
1. 세균성 식중독
2.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1) 식물성
2) 동물성
3) 미생물의 독성대사물질
3.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Ⅳ. 식중독과 화학성식중독
1. 우연 또는 과실에 의하여 식품에 가해진 유해물질에 의한 식중독
2. 음식물에 사용하는 기구에서 유래되는 식중독
3.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유래되는 식중독

Ⅴ. 식중독과 유해물질
1. 아우라민(auramine)
2. 로다민 B(rhodamine B)
3. silk scarlet
4. p-nitroaniline
5.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6. 페릴라틴(Peryllartine)
7. 둘신(Dulcin)
8. Cyclamante

Ⅵ. 식중독과 세균성이질
1. 세균성이질균이란
2. 감염 및 전파경로
3. 임상증상
4. 진단 및 치료
5. 관리 및 예방

Ⅶ. 식중독의 예방법
1.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예방
2. 살모넬라 식중독의 예방
3.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의 예방

Ⅷ. 식중독의 치료법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철저히 하여 살모넬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수단이다. 따라서 음식물 제공자나 소비자는 오염우려가 있는 음식물에 대하여 가열조리를 철저히 함과 아울러 조리 후 2차 오염 방지와 함께 증식기회를 주지 않기 위하여 조리식품은 가급적 빨리 먹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의 예방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원료의 오염방지와 함께 충분한 열처리 및 신속한 섭취가 가장 중요하며 부득이 조리식품을 보존하여야 할 경우 5℃이하의 저온에 보관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을 억제하여야 한다.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은 손으로 만든 식품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화농창을 가진 사람이 식품을 제조하거나 조리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식품의 제조조리에 종사하는 사람은 반드시 손을 씻고, 역성비누 등으로 소독하여야 하며 손 닦는 수건 또한 청결하여야 한다. 또한, 감기기운이 있는 종사자는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코나 목에 존재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기침을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머리카락비듬 및 오염된 의복 등도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원으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의 제조조리에 참여하는 사람은 청결한 위생복과 모자를 착용하여야 한다.
Ⅷ. 식중독의 치료법
일반적으로 식중독의 증상으로는 구토, 복통, 설사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질병이 발생했을 때는 탈수증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분공급이 가장 중요하다. 또 필요할 경우 환자를 격리해 치료하고 오염된 물건 등을 별도 관리해야 하며 특히 의사의 진료나 처방 없이 지사제, 해열제, 항균제 등을 함부로 쓰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하지만 여름철 식중독도 주의만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식중독균은 대체로 열에 약하고 저온에서 잘 번식하지 못하므로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고, 남은 음식은 냉장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 날 음식을 피하고 식기를 자주 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야채를 손질할 때도 날고기를 썬 식칼로 다듬지 말고 상추 등을 씻을 때도 한 잎씩 흐르는 물에 씻고 잎 모양이 복잡한 브로콜리 등은 뜨거운 물에서 1분 동안 데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간질환 환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재생 불량성 빈혈환자, 악성 종양 환자, 위장관 질환자, 항암제나 면역 억제제를 복용중인 환자, 제산제나 위산 분비 억제제를 복용중인 환자, 면역 결핍 환자 등은 어패류를 생식할 경우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물론 학교 등 집단급식의 경우는 일반 가정보다 더욱 각별한 주의와 감독이 필요하다. 음식물을 조리, 저장, 배식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음식을 다루기 전 2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포도상구균의 경우 인구의 50%가 손에 보유하고 있으므로 특히 조심해야 한다. 어패류는 반드시 5도 이하에서 냉장 보관한 뒤 섭씨 75도에서 15분 이상 끓여 조리해야 한다.
세균이나 독소가 저온에서는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여름철이면 음식물의 냉장보관을 권한다. 그러나 냉장고에 보관할 때도 쇠고기는 3~5일, 우유는 2~4일, 어패류는 1~2일 이상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식사를 하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조리된 음식은 깨끗한 식기에 담는다.
따뜻한 음식은 60도 이상, 찬 음식은 5도 이하로 유지해 먹는 게 안전하며 먹고 남은 음식이라도 상온에 장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병원성 대장균 O-157은 상온에서 15~20분 만에 두 배로 증식된다. 남은 음식은 빨리 식도록 얇은 그릇에 나눠서 보관하고, 너무 오래됐거나 약간이라도 맛이 간 음식은 가급적 버리는 게 현명하다.
Ⅸ. 결론
1976년부터 1997년까지의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식중독의 환자 발생수가 가장 많았던 것은 1977년 7190건, 또 가장 적었던 해는 1984년 354명이었으나 1980년 이후부터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사건 당 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사건의 규모가 확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상하수도 등의 위생설비의 보급, 개선에 의해 세균성 이질이나 장티푸스 등의 경구 전염병이 환자수가 격감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세균성 식중독의 방지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식중독에 의한 사망자수는 최근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데, 이것은 환자에 대한 조치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온 다습하여 균의 증식이 쉽고, 약간의 부주의로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기 쉬운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
화학물질이 한번 식품에 혼입되면 제거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다음 사항은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또한 식품 첨가물은 허가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기준에 적합하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식품 첨가물은 다른 용도의 화학 물질과 구분하여 보관사용하여야 한다.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윤활제 등 화학 물질은 식품 제조 과정 중에 식품에 혼입 여부를 항상 확인하여야 한다. 화학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오염우려가 있는 용기는 식품의 저장운반에 절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시대를 거슬러서 생각해 보면 조선시대에는 화학성 식중독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산업사회로의 발전을 거듭하면서 각종 화학물질의 사용이 빈번해 지고, 급기야는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서 화학성 식중독의 위험성이 내포된 것이다. 결국 시대가 발전을 거듭하면서 그만큼 우리 생활의 위험 또한 증가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학성 식중독의 경우 중독 되었을 경우 치료가 어렵고 생명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박희옥(2002),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동향에 관한 고찰, 중앙대 의약식품대학원
◇ 심상국 외 3명(2000), 실무식품위생학, 진로연구사
◇ 조서희 외 8명(2007), 주요 식중독균 분리용 선택배지의 타당성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 조태제(2007), 식중독 위기관리 매뉴얼 개발, 한양대학교
◇ 정동관(2008), 식중독발생 노로바이러스, 고신대학교보건과학연구소
◇ 정재근 외 8명(2008), 손 위생에 대한 식중독 원인균 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