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과정을 적용한 사례연구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과거병력과 현재의 병력(정신과적 병력)
1)과거력
2)현병력
<조증>
<우울증>
(3) 발달력
(4) 가족력
(5) 현재상태
① 약물치료

2. 자료분석
(1) 의학진단 - Bipolar affective disorder
(2) 질병에 대한 조사

1. 양극성장애 정의
2. 양극성 장애의 원인 및 정신역동
3. 양극성 장애의 종류
4. 조울병(양극성장애)의 치료

◇ 양극성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들 - 기분조절제
◇ Lithium을 복용하는 대상자가 알아야 할 사항

3. 간호과정
#1.생활양식의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2.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3.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본문내용

혼재형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므로, 치료도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한다.
◇ Lithium을 복용하는 대상자가 알아야 할 사항
- 신체가 약에 익숙해지면 보통 손의 진전은 감소된다.
- 위장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해 식사와 함께 복용한다.
- 식이에서 나트륨 농도를 정상수준으로 유지한다.
- 하루에 2,500~3,000㎖의 수분을 매일 섭취해야 한다.
- 소변량을 증가시키는 많은 카페인 섭취는 피한다.
- 과도한 발한, 설사, 소변량 증가가 있을 때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 갑작스런 체중증가, 부종이 있으면 의사나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 Lithium의 독성증상, 즉 지속적인 오심 및 구토, 심한 설사, 걷거나 근육조정의 어려움, 시야 혼탁, 이명이 있을 때는 즉시 보고한다.
- Lithium 농도를 조사하고 혈구검사를 위한 혈액검사를 언제 얼마나 자주 할 것인지에 관해서는 의사나 간호사의 지시에 따른다.
- 마지막 Lithium을 복용한 후에 혈액을 채취해야 한다.
- 약물복용을 잊었을 때는 다음 지침을 따른다.
: 다음 투약이 2시간 이내이면, 놓친 약물 복용하지 않는다. 만일 유지용량을 복용하고 있다면, 다음 투약이 6시간 이내라면 놓친 약을 복용하지 않는다.
3. 간호과정
(1)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①생활양식의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②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③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2)간호과정 적용
#1.생활양식의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주,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S:① “생각이 많아서 잘 수가 없어
② “졸린데 잠을 잘 수가 없어요.”
③ “매일 1~2시간 정도 자는데 깊이 잘 수가 없어요.”
O:① 계속 하품함
② 활동요법 시간에 하품하면서 졸리다고 말함
③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남 (chart observation 함)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 related to)
생활양식의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목표
(goals-objectives,expected outcomes)
수면부족의 신체적 징후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간호계획:
①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② 수면장애 요인을 사정한다.
③ 환자가 수면장애 요인이 되는 걱정거리에 대해 표현하게 한다.
④ 이완요법을 가르친다.
간호중재:
①수면양상을 사정하였다.(밤12시쯤 자서 새벽3~4시쯤에 깬다고 함, 평온한 수면을 취하지 못함)
②수면장애 요인을 사정하였다.(남자친구 문제로 걱정거리가 많다고 함)
③ 환자와의 대화 시 걱정거리에 대해 질문하고 이야기를 들어주었다.
④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가르쳤다.(책읽기, 따뜻한 물마시기, 명상요법)
① 낮잠이나 휴식을 위한 시간설정을 알아본다.
② 걱정거리를 표현함으로써 불안을 덜어주고 수면에 장애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③ 이완요법은 수면을 촉진시킨다.
평가
(evaluation)
폐쇄병동 실습기간이 짧은 관계로(5일) 수면장애가 경감되거나 해결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
#2.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주,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S: 환자: “ 변비가 있어요. 오랫동안 약을 먹어서 그런 것 같아요.
예전에 리튬을 먹었고 부작용을 예방하는 코젠틴을 먹었거든요. ”
환자: “4일에 1번 정도밖에 안나와요.”
O : X-ray상에 장에 대변이 차 있음이 관찰됨.
4일에 한번 배변하는 모습 관찰 됨.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 related to)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
(goals-objectives,expected outcomes)
일주일에 4번 이상 배변을 하며 배변 후에 시원함을 느낀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간호계획:
처방에 따라 물을 마신다.
식사 시 채소와 같은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먹는다.
자기 전에 우유를 마신다.
금기가 아니라면 장마사지를 한다.
매일 일정시간마다 화장실에 앉아있는 연습을 한다.
담당의사의 처방이 있을 경우에만 변비약을 복용한다.
간호중재:
환자에게 변비를 해소할 수 있는 내용을 교육하였다.
(간식으로 우유를 드시고 식사 때는 채소를 많이 드시고 매일 일정시간 마다 화장실에 앉아 계시라고 교육함)
교육한 내용에 대한 실천이 없었고 약물로 인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예방할 수 없다고 애기하시고 약을 먹지 말아야 한다고 하심.
평가
(evaluation)
예전보다 변을 볼 때 덜 힘들게 볼 수 있다고 말씀하심.
이틀에 한번정도 배변하심.
#3.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주,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S: “저는 이를 못 닦아요. 이를 닦으면 달의 신의 저주를 받거든요.”
O: 용모가 단정하지 않은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 related to)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간호목표
(goals-objectives,expected outcomes)
대상자는 가능한 적정 수준의 자가간호를 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간호계획:
①의사결정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②자가간호 활동을 가르치고 보상해 준다.
③책임감과 독립심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기록표를 제공한다.
간호중재:
①식사 후 이를 닦을 수 있도록 직접 치약을 묻혀 주었다.
②이를 닦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③이를 닦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②토큰경제를 이용하여 동기를 제공해 준다.
③점차적으로 알려주어 행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평가
(evaluation)
환자는 식후 하루에 2번 정도 양치하는 모습을 보였고 치아사이에 음식물이 끼어있는 모습은 관찰되지 않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2.1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