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sthma 천식
1) 원인
2) 증상
3) 치료
* 간호과정
1) 일반적인 정보
2) 간호력
3) 가족력
4) 입원당시상태
5) V/S 변화
6) 신체 사정
7) 약물투여
8) 검사
9) 간호과정
<참고자료>
1) 원인
2) 증상
3) 치료
* 간호과정
1) 일반적인 정보
2) 간호력
3) 가족력
4) 입원당시상태
5) V/S 변화
6) 신체 사정
7) 약물투여
8) 검사
9) 간호과정
<참고자료>
본문내용
간호계획
- V/S을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 열의 증상, 대상자의 행동을 사정한다.
- 지시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
- 시원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 두꺼운 옷은 얇고 가벼운 옷으로 교환한다.
-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간호수행
10/23~25
- 4시간 마다 BT를 체크하였다.
T
10/23 : 18시
37.2
19시
38.0
20시
37.7
10/24: 00시
37.8
4시
37.0
8시
37.0
12시
38.1
16시
37.3
20시
37.0
10/25: 00시
37.3
4시
37.8
8시
37.5
12시
37.0
16시
36.5
20시
36.5
- PRN 으로 Brufen syrup이 처방
- 대상자가 38도 이상일 때 Tepid water sponging
(미온수 마사지)을 했다.
- 대상자의 환의를 벗게 하였다.
- 물을 많이 먹을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10/26일 퇴원할 때까지 36.5로 유지 되었다.
사정
-“숨쉬기가 힘들어요.”
- 쌕쌕거리는 숨소리
- 발작적인 기침
-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간호목표
-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다.
- 기침과 가래가 점차 호전될 것이다.
간호계획
- 호흡양상(호흡수, 호흡 깊이, 호흡음, 흉부견축)을
사정한다.
-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피하게 한다.
- 좌위 또는 반 좌위를 취한다. (숨쉬기 편한 체위 선택)
- 기침이 해결되면 심호흡과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 깊이 숨 쉬는 훈련을 시킨다.
- 필요시 기관지 분비물을 흡인한다.
-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 기관지 확장제 투여 시에는 투여 전후에 혈압, 맥박을
측정하고 혈중 농조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 분무식 기관지 확장제를 줄 때는 무릎에 앉혀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한다.
- 조용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대상자를 혼자 남겨
놓지 않도록 한다. ( 불안은 기관지 경련 유발 할 수 있다.)
간호수행
10/23~26
- RR을 4시간마다 체크했다.
R
10/23 : 8시
42
10/24: 00시
36
4시
32
8시
36
12시
34
16시
30
20시
32
10/25: 00시
30
4시
28
8시
30
12시
26
16시
28
20시
28
- O2: 2 l/min 산소마스크로 흡입 하였다.
- 심호흡과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하고 격려했다.
- 수분 섭취를 교육했다.
- 호흡기 치료: 네뷸라이저를 통해 수시로 하게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기침, 가래가 호전 됐으며 정상적인 호흡을 했다.
10월 26일 (부분 도달)
사정
- IV를 하고 있다.
간호진단
주사 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 대상자는 주사 부위에 일혈 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 IV 삽입 전 또는 관련 물품을 다룰 때는 반드시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 IV 부위는 삽입 전에 반드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 IV 주위에 일혈 반응을 관찰한다.
- IV는 48~72시간마다 교환한다.
- IV 삽입한 날짜, 드레싱 교환일을 드레싱 부위에 기록한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사 부위에 통증이 있거나 부어
오르면 담당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10/23~26
- IV를 하기 전에 손을 씻고 소독하였다.
- Rounding을 할 때마다 주사 부위가 부었는지 관찰하였다.
- IV 삽입한 날짜, 드레싱 교환일을 드레싱 부위에 기록했다.
- IV는 48~72시간마다 교환했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주사 부위에 일혈 증상이 없다. 10월 26일
사정
- 침대에 서서 놀고 있는 모습 관찰
- 침대가 대상자의 키에 비해 너무 높음
간호진단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 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 항상 side rail을 올리게 한다.
- 침대 아래에 보호자 침대를 밑에 배치한다.
- 침대에서 넘어질 때 난관에 부딪치지 않도록 베개를 이용해 난관 옆에 둔다.
간호수행
10/23~26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했다.
- 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했다.
- side rail을 올리게 했다.
- 대상자 침대 아래에 보호자 침대를 밑에 배치했다.
- side rail 주위에 베개를 두게 했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퇴원 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았다.
10월 26일(완전도달)
사정
- 대상자와 부모가 걱정을 함
- 건강관리요원, 물품, 처치에 대해 울음으로 반응
간호진단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대상자는 막연한 불안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 모르는 것에 대한 위협 감소와 부모와 대상자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침착하고 조용하게 돌보는 태도로 간호사의
능력을 확인시킨다.
-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만일 원한다면
부모의 무릎에 앉힌다.
- 행위를 설명하며 대상자에게 접근한다.
- 대상자와 머무르면서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곧 이완될 것이라 설명한다.
- 믿을 수 있도록 처치 시 고통을 인정하고 필요 때마다
언제나 누군가 온다는 확신을 준다.
- 잠자는 것이 걱정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찰한다는
확신을 준다.
- 행위가 왜 필요한지 명확하게 설명한다.
간호수행
10/23~24
-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했다.
- 대상자와 머무르면서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곧 이완될 것이라 설명했다.
- 믿을 수 있도록 처치 시 고통을 인정하고 행위를
설명하면서 대상자에게 접근했다.
- 행위의 필요성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공포와 불안이 감소됐다.
- 좀 더 이완된 자세와 표정을 하였으며,
건강관리요원, 물품, 중재에 대한 신체적 거부를 감소했다.
10월 24일 (부분도달)
<참고자료>
아동 간호 진단과 중재 p.68~91
아동 간호학 p.1069~1089 제 32장 호흡 기능 장애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2004
- V/S을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 열의 증상, 대상자의 행동을 사정한다.
- 지시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
- 시원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 두꺼운 옷은 얇고 가벼운 옷으로 교환한다.
-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간호수행
10/23~25
- 4시간 마다 BT를 체크하였다.
T
10/23 : 18시
37.2
19시
38.0
20시
37.7
10/24: 00시
37.8
4시
37.0
8시
37.0
12시
38.1
16시
37.3
20시
37.0
10/25: 00시
37.3
4시
37.8
8시
37.5
12시
37.0
16시
36.5
20시
36.5
- PRN 으로 Brufen syrup이 처방
- 대상자가 38도 이상일 때 Tepid water sponging
(미온수 마사지)을 했다.
- 대상자의 환의를 벗게 하였다.
- 물을 많이 먹을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10/26일 퇴원할 때까지 36.5로 유지 되었다.
사정
-“숨쉬기가 힘들어요.”
- 쌕쌕거리는 숨소리
- 발작적인 기침
-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간호목표
-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다.
- 기침과 가래가 점차 호전될 것이다.
간호계획
- 호흡양상(호흡수, 호흡 깊이, 호흡음, 흉부견축)을
사정한다.
-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피하게 한다.
- 좌위 또는 반 좌위를 취한다. (숨쉬기 편한 체위 선택)
- 기침이 해결되면 심호흡과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 깊이 숨 쉬는 훈련을 시킨다.
- 필요시 기관지 분비물을 흡인한다.
-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 기관지 확장제 투여 시에는 투여 전후에 혈압, 맥박을
측정하고 혈중 농조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 분무식 기관지 확장제를 줄 때는 무릎에 앉혀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한다.
- 조용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대상자를 혼자 남겨
놓지 않도록 한다. ( 불안은 기관지 경련 유발 할 수 있다.)
간호수행
10/23~26
- RR을 4시간마다 체크했다.
R
10/23 : 8시
42
10/24: 00시
36
4시
32
8시
36
12시
34
16시
30
20시
32
10/25: 00시
30
4시
28
8시
30
12시
26
16시
28
20시
28
- O2: 2 l/min 산소마스크로 흡입 하였다.
- 심호흡과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하고 격려했다.
- 수분 섭취를 교육했다.
- 호흡기 치료: 네뷸라이저를 통해 수시로 하게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기침, 가래가 호전 됐으며 정상적인 호흡을 했다.
10월 26일 (부분 도달)
사정
- IV를 하고 있다.
간호진단
주사 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 대상자는 주사 부위에 일혈 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 IV 삽입 전 또는 관련 물품을 다룰 때는 반드시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 IV 부위는 삽입 전에 반드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 IV 주위에 일혈 반응을 관찰한다.
- IV는 48~72시간마다 교환한다.
- IV 삽입한 날짜, 드레싱 교환일을 드레싱 부위에 기록한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사 부위에 통증이 있거나 부어
오르면 담당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10/23~26
- IV를 하기 전에 손을 씻고 소독하였다.
- Rounding을 할 때마다 주사 부위가 부었는지 관찰하였다.
- IV 삽입한 날짜, 드레싱 교환일을 드레싱 부위에 기록했다.
- IV는 48~72시간마다 교환했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주사 부위에 일혈 증상이 없다. 10월 26일
사정
- 침대에 서서 놀고 있는 모습 관찰
- 침대가 대상자의 키에 비해 너무 높음
간호진단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 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 항상 side rail을 올리게 한다.
- 침대 아래에 보호자 침대를 밑에 배치한다.
- 침대에서 넘어질 때 난관에 부딪치지 않도록 베개를 이용해 난관 옆에 둔다.
간호수행
10/23~26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했다.
- 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했다.
- side rail을 올리게 했다.
- 대상자 침대 아래에 보호자 침대를 밑에 배치했다.
- side rail 주위에 베개를 두게 했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퇴원 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았다.
10월 26일(완전도달)
사정
- 대상자와 부모가 걱정을 함
- 건강관리요원, 물품, 처치에 대해 울음으로 반응
간호진단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대상자는 막연한 불안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 모르는 것에 대한 위협 감소와 부모와 대상자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침착하고 조용하게 돌보는 태도로 간호사의
능력을 확인시킨다.
-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만일 원한다면
부모의 무릎에 앉힌다.
- 행위를 설명하며 대상자에게 접근한다.
- 대상자와 머무르면서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곧 이완될 것이라 설명한다.
- 믿을 수 있도록 처치 시 고통을 인정하고 필요 때마다
언제나 누군가 온다는 확신을 준다.
- 잠자는 것이 걱정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찰한다는
확신을 준다.
- 행위가 왜 필요한지 명확하게 설명한다.
간호수행
10/23~24
-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했다.
- 대상자와 머무르면서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곧 이완될 것이라 설명했다.
- 믿을 수 있도록 처치 시 고통을 인정하고 행위를
설명하면서 대상자에게 접근했다.
- 행위의 필요성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공포와 불안이 감소됐다.
- 좀 더 이완된 자세와 표정을 하였으며,
건강관리요원, 물품, 중재에 대한 신체적 거부를 감소했다.
10월 24일 (부분도달)
<참고자료>
아동 간호 진단과 중재 p.68~91
아동 간호학 p.1069~1089 제 32장 호흡 기능 장애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2004
추천자료
[간호][환자간호]안수술과 백내장수술환자의 간호, 제왕절개수술환자의 간호, 기분장애환자의...
산재법상 최근 문제시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한 직업병 연구 - 직업성 폐암, 직업선 천식, 중...
[위암케이스]위암에대한 모든것(위암문헌고찰,위암케이스,위암간호과정,위암치료,위암원인,위...
기관지천식 최강 ppt
기관지 천식 (Asthmatic bronchiolitis) case study
기관지 천식 (Bronchial athma) 진단중재
천식 role play 대본
응급실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SAH(지주막하 출혈), 복부팽만, 뇌졸중, 충수돌...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정신간호학 실습] 양극정상 장애 (biopolar disord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주증상...
폐렴, 폐렴정의, 폐렴분류, 폐렴병태생리, 폐렴빈도, 폐렴위험요인, 폐렴증상, 폐렴치료, 폐...
[2016/09]급성인두편도염
케이스 (APT 정의/원인, APT 증상/... Paranoid schizophrenia, 편집형 정신분열병 문헌고찰, 정신분열병, 편집형 정신분열병 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