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방어의 개념)미사일 방어의 개념과 북한의 미사일 위협의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사일 방어의 개념)미사일 방어의 개념과 북한의 미사일 위협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미사일 출현배경과 구조 및 원리
1. 미사일의 출현배경
2. 미사일 구조 및 원리

Ⅱ.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배경과 북한의 미사일 위협
1.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배경
2. 북한의 미사일 개발 현황
3. 북한 미사일의 능력과 위협

Ⅲ. 미사일 방어의 개념과 추세
1. 미사일 방어의 개념
2. 미사일 방어의 형태
3. 미사일 방어의 세계적 추진추세
4. 세계 각국의 미사일 방어
5. 한국의 미사일 방어
6. 패트리엇 미사일

참고자료

본문내용

탕으로 핵과 관련된 북한의 미사일 위협을 분석한 내용, 장준익, 『북한 핵 미사일 전쟁』(서울: 서문당, 1999).
2000년 예비역 공군장교인 윤기철의 전구미사일을 중심으로 미사일 방어에 관한 개념과 추진현황을 정리한 책자, 윤기철, 『전구미사일 방어』(서울: 평단문화사, 2000).
한국 국방연구원과 고성윤, “북한의 미사일의 위협과 주변국 대응전략,” 국방논집, 제3권 2호(1994); 이재욱, “북한 의 미사일 위협과 아군의 대응방향,” 국방정책연구, 제50호(2000 겨울); 김병용 엄종성, “탄도 미사일 방어체계 특징과 우리의 방향,” 국방정책연구, 제69호(2005 가을); 김태우, “북한의 미사일 시위가 남긴 문제점,” 주간국방논단, 제1112호, 2006. 8. 4.
육군의 방공장교들이 이성렬, “한국적 공중 및 미사일방어(KAMD) 체계 구축에 관한 제언,” 방공포병, 제8호(2003 가을); 권세진, “미사일방어(MD) 체제 추진과 대응방향,” 방공논단, 제9호(2001).
발표한 논문 등이 존재하지만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시험을 실시할 때마다 북한의 의도에 대한 분석과 미국의 요격가능성에 대한 소개만 요란하였지 한국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미사일 방어의 개념과 방향을 제시하려는 노력은 나타지 않았다.
6.패트리엇 미사일
미사일 잡는 미사일로 유명한 미 패트리엇 미사일은 1981년부터 배치됐지만 1991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촉발된 걸프전 때 이라크 스커드 미사일을 요격하는 장면이 TV로 생중계되면서 걸프전의 스타로 알려졌다. PAC-1, PAC-2, PAC-3로 계속 개량되면서 여러 유형이 있어 비전문가가 보면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패트리엇이란 명칭은 ‘Phased Array Tracking Radar to Intercept On Target(목표물을 요격하는 추적 위상 배열 레이더)’의 준말이다. 이름처럼 레이더가 미사일 체계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패트리엇의 레이더는 AN/MPQ-53이라고 불리는데 직사각형으로 생긴 평면에 5000여개의 자그마한 송수신기를 배치한 수동형 위상배열 레이더다. 뱅글뱅글 360도를 돌아가면서 목표물을 탐지하는 일반적인 회전형 레이더와는 다른 형태다. 날아오는 100여개의 목표물을 추적 및 식별할 수 있고, 최대 9발의 패트리엇 미사일을 유도해 목표물에 명중시킬 수 있다.
패트리엇 미사일의 특징 중 하나는 미사일 유도에 TVM(Track-Via-Missile), 즉 미사일 경유 추적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발사된 미사일의 앞부분에 장착된 레이더 탐색기를 통해 목표물의 정보를 수집해 지상의 AN/MPQ-53 레이더로 목표물 정보를 보내면, 교전통제소에서는 이를 분석한다. 이어 교전통제소는 미사일 유도를 위한 계산을 한 뒤, 가장 효과적인 유도지령을 다시 미사일에 보내 목표물을 명중시킨다. 이런 방식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목표물에 대해 유용하다고 한다.
패트리엇을 유명하게 만든 걸프전은 패트리엇 미사일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걸프전 당시 TV를 통해 생중계된 패트리엇의 요격은 백발백중인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낮았다. 한때 요격률이 97%에 달한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50~70% 미만 수준이었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걸프전을 통해 미국은 탄도미사일 탄두를 확실하게 파괴하지 않으면 큰 부수적 피해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실제로 패트리엇에 요격된 이라크 탄도미사일 파편이 미군기지와 시가지에 떨어져 인명피해가 생겼다. 특히 생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를 장착한 탄두는 확실히 파괴되지 않으면 미사일 요격의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이에 따라 탄도미사일 탄두와 직접 충돌해 파괴하는 ‘히트 투 킬(Hit to Kill)’ 방식의 PAC-3 미사일이 등장했다. PAC-3 미사일에는 이전의 PAC-1·PAC-2 미사일과 달리 탄두에 폭발력을 가진 폭약이 장착돼 있지 않고 대신 금속 산탄들이 들어 있다. 요격 고도는 15~20㎞ 수준이다. 종전 미사일에 비해 소형화돼 PAC-1·PAC-2가 발사대 1기에 4발의 미사일이 장착된 데 비해 PAC-3 미사일은 그 4배인 16발의 미사일이 들어갈 수 있다. PAC-3 미사일은 지난 2003년 이라크전에 처음으로 실전 투입돼 이라크 탄도미사일 여러 발을 요격하는 데 성공했지만 피아식별 장치 이상으로 아군 항공기를 실수로 격추하기도 했다.
한국 공군이 보유 중인 패트리엇 미사일은 독일군이 사용하던 중고 PAC-2 GEM 플러스형이다. PAC-2 GEM 플러스형은 원래 항공기 요격용이었던 PAC-2 미사일의 탄도미사일 요격 성능을 향상시킨 것인데 항공기 요격이 주 목적인 만큼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군에선 요격률이 70%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실제로는 40% 미만일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공군은 원래 패트리엇 PAC-3 미사일을 도입하려 했지만 예산문제 때문에 중고 PAC-2 미사일을 도입해 결정 당시에도 논란이 많았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이 커짐에 따라 미사일은 PAC-2형이지만 사격통제 장비 등은 최신형인 PAC-3형으로 개량하는 사업이 추진돼 왔다. 하지만 이를 통해서도 북 탄도미사일을 제대로 요격할 수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결국 이번에 PAC-3 미사일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참고자료
공군대학. 전구미사일 방어. 1999.
공군본부. 탄도미사일 위협과 각국의 TMD 구상. 1999. 10.
국방대학원. 세계안보정세종합보고. 1993. 12.
국방부. 2006 국방백서. 서울 : 국방부, 2006.
국방부. 2008 국방백서. 서울 : 국방부, 2008.
국회도서관.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한눈에 보기. 국회도서관, 2009. 4.
권용수. 미사일 위협과 방어체제. 서울 : 국방대학교, 2003.
박휘락 · 권용수, 한국의 미사일방어 추진방향. 서울 : 국방대학교, 2008.
외교통산부. 군축 비확산 편람. 2007.
윤기철. 전구미사일 방어. 서울 : 평단문화사, 2000.
장준익. 북한 핵 · 미사일 전쟁. 서울 : 서문당, 1999.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4.11.30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7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