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5건

관상감(觀象監)을 설치하였다. 관상감은 천문 지리(풍수설), 역수(曆數 : 일월 운행의 도수를 계산하여 역서를 만드는 일), 점산(占算), 각루(刻漏 : 물시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다. 관상감의 관리자는 영사(領事 : 정 1 품관으로 영의정이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관상감에 만들어서 측우기를 대 위에 올려놓고 비를 받도록 하는데,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보고한다.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각 도의 감영(監營)에 설치하였다. 처음에 철로 만들었으나, 뒤에 구리로 만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을 편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해요. 또 땅에서 일정 정도 떨어져 있어 빗물이 튀어 들어가지 않게 해주기도 했겠죠. 측우기는 어디에 설치되어 있었을까요?? 측우기는 지금의 기상청과 같은 기관인 관상감과 각 도의 감영(오늘날의도청), 그리고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8.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관상감에서 쓰던 것으로 깊이 306㎜, 안지름 147㎜이었고, 둘째는 대구의 선화당(宣化堂)에 있던 것으로 깊이 217㎜, 안지름 147㎜, 셋째는 함흥에 있던 것으로 깊이 293㎜, 안지름 145㎜이다. 넷째는 공주에 있던 금영측우기로 이것만은 특이하게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06.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관상감에서 쓰던 것으로 깊이 306㎜, 안지름 147㎜이었고, 둘째는 대구의 선화당(宣化堂)에 있던 것으로 깊이 217㎜, 안지름 147㎜, 셋째는 함흥에 있던 것으로 깊이 293㎜, 안지름 145㎜이다. 넷째는 공주에 있던 금영측우기로 이것만은 특이하게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06.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