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의 선거제도
Ⅱ.1.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문제점
Ⅱ.2 위성정당의 출현과 문제점
Ⅲ. 20대와 21대 국회의원 선거결과로 바라본 선거제도
Ⅲ.1. 20대와 21대 국회의원 선거결과
Ⅲ.2. 양당 중심제 탈피를 위한 선행과제
Ⅳ. 결론
■ 참고문헌
Ⅱ. 우리나라의 선거제도
Ⅱ.1.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문제점
Ⅱ.2 위성정당의 출현과 문제점
Ⅲ. 20대와 21대 국회의원 선거결과로 바라본 선거제도
Ⅲ.1. 20대와 21대 국회의원 선거결과
Ⅲ.2. 양당 중심제 탈피를 위한 선행과제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축 개헌안이 국민투표에서 69.9%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2023년부터 이탈리아 국회의원의 의석수는 600명으로 2020년 기준 945명에 비해 3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 우리는 이 과정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정치권의 정화를 외친 오성운동(Movimento 5 stelle)은 2010년 이탈리아 광역지방선거에서 첫 모습을 드러낸 정당이다. 대략 11년밖에 되지 않은 정당이 현재 유럽의회 76석 중 8석, 이탈리아 지방의회 897석중 89석, 이탈리아 상원 315석 중 74석과 이탈리아 하원 630석 중 159석을 가진 주류 정당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 「오성운동(M5S)의 직접 의회주의와 사이버크래틱 집중주의」에 따르면, 이탈리아 유권자들이 좌우 골고루 유입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는 기존 정치에 환멸을 느낀 이탈리아 국민이 대안정당을 선택했다는 것이다(정병기, 2020, 103)
뉴질랜드와 이탈리아 모두 국민이 표로 심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기에 선거제도 개편이 가능하였다.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에 따르면, 한국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금의 기득권 세력을 대체할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김누리, 2020, 183) 여기에 덧붙이자면, 기득권 세력을 대체할 새로운 정치 세력을 국민이 지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Ⅳ. 결론
20대와 21대 국회를 기준으로 바라본 현행 선거제도의 문제점과 발전을 위한 선행과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1년 정치권에서‘국민’이라는 단어가 많이 언급되었다. 국민을 언급하며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기성 정당의 모습에서 새로운 혁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2022년 3월 9일 있을 제 20대 대통령선거에서도 여전히 거대 양당의 두 후보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를 국민은 당연하게 바라보고 있다. 선거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당들도 노력해야겠지만, 선행적으로는 국민의 관심과 권력 행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헌법 제 1조 2항은 아래와 같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선거제도를 개혁하기 위한 권력은 입법부에서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입법부를 구성하는 권력은 국민에게 있다. 즉, 입법부에서 제정할 힘을 우리 국민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의 민주주의는 자연스럽게 정착된 것이 아니다. 1960년 3·15의거와 4·19 혁명을 통해서 이승만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개혁을 했으며, 1979년 부마항쟁으로 박정희 정권의 유신 독재에 반대하였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통해서 마침내 전두환 군부정권으로부터 대통령 직접 선거를 얻어내었다. 우리 국민의 민주화를 위한 열망과 희생이 지금의 민주주의를 만들어 낸 것이다. 하지만 이후 우리 국민의 시민운동인 촛불 운동에서는 박근혜 정권의 하야와 탄핵을 요구하였지만, 더 중요한 정치권 전체에 대한 개혁을 이루어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는 문재인 정권의 정권 창출의 무대로 이용당한 것이다. 2021년 4월 7일 실시된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 후보 출마를 위해서‘민주당 선출직 공직자의 중대한 잘못으로 보궐선거를 하게 되면 공천을 하지 않는다’라는 당헌을 전 당원 투표를 하여 찬성 86%로 개정하였다. 국민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한 선거법 개정에서‘위성 정당’이라는 악행으로 무효화시킨 국민의 힘과 당헌을 개정하며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한 더불어민주당에 우리 국민은 여전히 지지하고 있다. 뉴질랜드와 이탈리아의 모습에서 우리는 한 표의 행사가 모여 얼마나 큰 결과물을 가져올 수 있는지 볼 수 있었다. 선거제도 개혁과 더불어 우리 정치권이 진정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게 만들 힘은 우리 국민에게 있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자필 서명 :
참고문헌
『정치학의 이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정치학 전공 교수진, 박영사(2002), 205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김누리, 해냄출판사(2020), 183
김형철(2020),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선거불비례성과 유효정당 수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8권, 2호, 86
김형철(2010), ”뉴질랜드 선거제도 개혁; 과정, 결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비교민주주의연구 5집, 2호, 102-112
정병기. 2020. “오성운동(M5S)의 직접 의회주의와 사이버크래틱 집중주의: 포스트포퓰리스트 정치 운동의 성공과 한계”, 한국정치연구, 29권(2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03
”야3당, 국회서 무기한 농성...“예산안 선거제 개혁안 동시처리”, 연합뉴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10506233, (검색일 2021년 11월 5일)
”여야, 선거제 개혁합의...“1월 국회서 선거제 법안 합의처리” (종합), News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421&sid1=100&aid=0003741656&mid=shm&mode=LSD&nh=20181215143123, (검색일 2021년 11월 6일)
“국민 60% ”비례정당 창당 반대“... 한국당 강세, TK서도 부정적,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30/99016845/1
네이버 국어사전, “위성정당”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6adaa1e1e834cbd8346c305f5a84308
(검색일 2021년 11월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 현황”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 현황”
http://info.nec.go.kr/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헌법 1조”
https://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7%8C%EB%B2%95/%EC%A0%9C1%EC%A1%B0
뉴질랜드와 이탈리아 모두 국민이 표로 심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기에 선거제도 개편이 가능하였다.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에 따르면, 한국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금의 기득권 세력을 대체할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김누리, 2020, 183) 여기에 덧붙이자면, 기득권 세력을 대체할 새로운 정치 세력을 국민이 지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Ⅳ. 결론
20대와 21대 국회를 기준으로 바라본 현행 선거제도의 문제점과 발전을 위한 선행과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1년 정치권에서‘국민’이라는 단어가 많이 언급되었다. 국민을 언급하며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기성 정당의 모습에서 새로운 혁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2022년 3월 9일 있을 제 20대 대통령선거에서도 여전히 거대 양당의 두 후보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를 국민은 당연하게 바라보고 있다. 선거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당들도 노력해야겠지만, 선행적으로는 국민의 관심과 권력 행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헌법 제 1조 2항은 아래와 같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선거제도를 개혁하기 위한 권력은 입법부에서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입법부를 구성하는 권력은 국민에게 있다. 즉, 입법부에서 제정할 힘을 우리 국민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의 민주주의는 자연스럽게 정착된 것이 아니다. 1960년 3·15의거와 4·19 혁명을 통해서 이승만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개혁을 했으며, 1979년 부마항쟁으로 박정희 정권의 유신 독재에 반대하였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통해서 마침내 전두환 군부정권으로부터 대통령 직접 선거를 얻어내었다. 우리 국민의 민주화를 위한 열망과 희생이 지금의 민주주의를 만들어 낸 것이다. 하지만 이후 우리 국민의 시민운동인 촛불 운동에서는 박근혜 정권의 하야와 탄핵을 요구하였지만, 더 중요한 정치권 전체에 대한 개혁을 이루어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는 문재인 정권의 정권 창출의 무대로 이용당한 것이다. 2021년 4월 7일 실시된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 후보 출마를 위해서‘민주당 선출직 공직자의 중대한 잘못으로 보궐선거를 하게 되면 공천을 하지 않는다’라는 당헌을 전 당원 투표를 하여 찬성 86%로 개정하였다. 국민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한 선거법 개정에서‘위성 정당’이라는 악행으로 무효화시킨 국민의 힘과 당헌을 개정하며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한 더불어민주당에 우리 국민은 여전히 지지하고 있다. 뉴질랜드와 이탈리아의 모습에서 우리는 한 표의 행사가 모여 얼마나 큰 결과물을 가져올 수 있는지 볼 수 있었다. 선거제도 개혁과 더불어 우리 정치권이 진정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게 만들 힘은 우리 국민에게 있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자필 서명 :
참고문헌
『정치학의 이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정치학 전공 교수진, 박영사(2002), 205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김누리, 해냄출판사(2020), 183
김형철(2020),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선거불비례성과 유효정당 수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8권, 2호, 86
김형철(2010), ”뉴질랜드 선거제도 개혁; 과정, 결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비교민주주의연구 5집, 2호, 102-112
정병기. 2020. “오성운동(M5S)의 직접 의회주의와 사이버크래틱 집중주의: 포스트포퓰리스트 정치 운동의 성공과 한계”, 한국정치연구, 29권(2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03
”야3당, 국회서 무기한 농성...“예산안 선거제 개혁안 동시처리”, 연합뉴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10506233, (검색일 2021년 11월 5일)
”여야, 선거제 개혁합의...“1월 국회서 선거제 법안 합의처리” (종합), News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421&sid1=100&aid=0003741656&mid=shm&mode=LSD&nh=20181215143123, (검색일 2021년 11월 6일)
“국민 60% ”비례정당 창당 반대“... 한국당 강세, TK서도 부정적,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30/99016845/1
네이버 국어사전, “위성정당”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6adaa1e1e834cbd8346c305f5a84308
(검색일 2021년 11월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 현황”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 현황”
http://info.nec.go.kr/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헌법 1조”
https://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7%8C%EB%B2%95/%EC%A0%9C1%EC%A1%B0
추천자료
- 호주의 정당제
- [한국의 정치][인터넷과 정치][미디어정치][인터넷정치][인터넷을 통한 정치참여][한국정치]...
- [권력체제][권력][독일 권력체제 사례][북한 권력체제 사례][중국 공산당 권력체제 사례][한...
- [지역갈등][지역감정][영호남][경상도][전라도]지역갈등(지역감정)의 원인, 지역갈등(지역감...
- [법경제학][저작권][디지털방송정책][코즈정리]저작권의 법경제학, 디지털방송정책의 법경제...
- [선거보도][후보검증][선거보도 문제점][바람직한 선거보도][선거보도의 개선과제]선거보도의...
- 제3세계 민주혁명의 원동력과 공고화의 과제
- 한 중 일 3국의 FTA (Free Trade Agreement) (FTA란?, FTA의 추진배경, FTA의 기능, FTA의 건...
-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과제와 전망
- 여성정치할당제의 찬성의견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