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난 완화를 위한 학교-노동시장 이행 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년 취업난 완화를 위한 학교-노동시장 이행 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Ⅱ.최근의 고용상황과 노동시장 환경변화 2
1. 최근의 고용상황 및 전망 2
2. 노동시장의 환경변화 3

Ⅲ. 청년 노동시장의 현황과 문제점 9
1. 청년의 상대적 고실업 및 취업난 9
2. 노동 수요의 구조적인 변화 10
3. 학교와 노동시장의 괴리 12

Ⅳ. 정책방향과 과제 15
1. 선진국의 정책 동향 15
2. 정책 방향 17
3. 정책 과제 18

Ⅴ.결론 22
1. 연구의 요약 22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 22

【참고문헌】 24

본문내용

가조사 실시한다.
다. 노동시장정보와 인적자원개발 정보간 연계 인프라 구축
미국의 노동시장정보시스템은 구인 정보(Job Bank), 구직 정보(Talent Bank)와 함께 직업의 특성 및 전망에 대한 정보(Career InfoNet), 직업훈련 정보ALX(America's Learning Exchange)를 연계하여 취업알선 및 경력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교육훈련 정보(EMI)와 노동시장 정보(LMI)의 연계공유를 통한 합리적인 직업선택 및 경력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연계 정보망의 구축과 함께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제공 및 상담체계와의 보완적인 전달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정규 학교교육을 마치고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청년층은 향후 40여 년간의 노동시장 참여와 더 나은 일자리를 갖고자 부단히 탐색을 하는 계층이다.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청년층은 평생 일자리(career job)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잦은 노동이동과 이에 따른 상대적으로 짧은 근속기간, 불안정한 고용형태, 경기변동에 민감한 취업가능성 및 높은 실업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청년 취업난 완화를 위한 학교-노동시장 이행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최근의 청년 실업 문제가 경기적마찰적 요인만이 아닌 구조적제도적인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발생하였다는 문제 인식에 기초하여 최근의 고용상황과 노동시장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고용청년층 노동시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정책방향과 과제에서는 선진국의 정책 동향을 살펴 봄으로써 경제 위기 이후의 청년이 경험하는 취업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정책과제로 첫째, 산업수요에 따라 교육학과 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는 기반 구축에서는 ① 취업실태 공표제도도입, ② 기업의 교육 만족도 조사실시, ③ 산업 수요를 반영하는 교육과정 편성 유도를 제시하였고, 둘째, 재학생의 근로체험(Work Experience)의 강화에서는 ① 재학생 대상의 기업연수제도(internship) 도입, ② 재학생의 자발적인 근로체험을 위한 제도적인 정비를 제시하였고, 셋째, 학교의 취업관련 기능 강화를 통한 직업선택 지원에서는 ① 학교 취업담당조직의 전담인력 확충 및 기능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② 학교와 직업안정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진로 상담 및 취업지원서비스 제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노동시장 이행 정보 인프라 구축에서는 ① 표준학과분류표 개발, ② 경제활동인구조사개선, ③ 노동시장정보와 인적자원개발 정보간 연계 인프라 구축을 제시하였다.
2. 연구의 한계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정책 동향을 살펴 봄으로써 경제 위기 이후의 청년이 경험하는 취업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정립하고, 청년 취업난 완화를 위한 학교-노동시장 이행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까 염려 되는바,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은 물론 연구내용이 미흡하였음을 밝혀둔다. 향후 조사 범위를 좀더 확대하고, 합리적인 조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한, 후속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청년 취업난 완화를 위한 학교-노동시장 이행 지원체계 구축방안의 발전의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문헌】
강무섭이병희안주엽이정표장원섭진미석(200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
한 이행연구,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금재호(2002. 10), “한국 노동시장의 환경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중앙고용정보원, 고용보험DB
안주엽홍서연(2001),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 : 경제위기 전후의 비교, 한국노 동연구원한국노동경제학회 제3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문, 2001. 11. 10
이병희(2002), 노동시장 이행 초기 경험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미발표논문
이병희(2001),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경력형성, 분기별 노동동향분석 1/4, 한국노동연구원이병희안주엽(2001), 청년 실업의 현황과 원인, 청년실업의 원인과 대책에 관 한 정책토론회 발표문, 한국노동연구원, 2001. 4. 20
장원섭(2001), 미국의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직업과 인력개발 제4권 제4 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병유(2001),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과제, 청년실업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정책토론회 발표문, 한국노동연구원, 2001. 4. 20
통계청(2001). 경제활동인구조사, ; OECD(2000a, p.181)
-----(1999), 2000 사회통계조사결과(교육부문)
-----(2001. 1), 장래인구추계 보도자료
OECD(1998a), “Getting started, settling in : the transition from education to the labor market,” Employment Outlook
OECD(1998b), Education at a Glance
OECD(1998c), “Thematic Review of the Transition from Initial Education to Working Life,” Document DEELSA/ED(98)11
OECD(1999a), Preparing Youth for the 21st Century
OECD(1999b), Preparing Youth for the 21st Century : The Policy Lessons From the Past two Decades, DEELSA/ELSA/ED/CERI/CD(99)1
OECD(2000a), From Initial Education to Working Life : Making Transitions Work
OECD(2000b), Employment Outlook Ryan, P(2001), “The school-to-Work Transition : A Cross-National Perspective,”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XXXIX, March, pp. 34∼92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11.2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