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원작 작가 ‘소동’
3. 감독 장예모
4. 5세대 감독의 특징
Ⅱ 홍등 개요
1.등장인물
2.줄거리
Ⅲ 홍등의 서사구조
1. 시간적 배경의 의미
2. 공간적 배경의 의미
3. 서사구조를 통한 감독의 의도
4. 1920년대 중국에서의 처첩제의 양상
Ⅲ 영화의 요소
1.색
검은색의 상징
붉은색의 상징
색의 대비
네 여인의 의상 색채
2.카메라촬영기법
3.배경음악
Ⅳ 영화 전반의 감독의 의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1. 연구 목적
2. 원작 작가 ‘소동’
3. 감독 장예모
4. 5세대 감독의 특징
Ⅱ 홍등 개요
1.등장인물
2.줄거리
Ⅲ 홍등의 서사구조
1. 시간적 배경의 의미
2. 공간적 배경의 의미
3. 서사구조를 통한 감독의 의도
4. 1920년대 중국에서의 처첩제의 양상
Ⅲ 영화의 요소
1.색
검은색의 상징
붉은색의 상징
색의 대비
네 여인의 의상 색채
2.카메라촬영기법
3.배경음악
Ⅳ 영화 전반의 감독의 의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비중을 두었을 것이다.
첸가에는 적어도 주인첸과 한 명의 본부인, 그들 사이의 자녀가 둘, 둘째 부인인 쭈어윈과 그녀의 두 자녀, 셋째 부인인 메이산, 넷째가 된 송리엔, 하녀 이엔얼과 송씨, 발안마인, 집사 등등, 세로로는 3대에 걸쳐 있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후원 시스템 또한 만만치 않은 대가족 체제이다. 가족이 사는 주택 역시 그에 걸맞게 대규모이며, 그 집을 움직이는 규율 또한 셋째 부인(물론 이 경우 호칭상으로는 부인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첩이라고 불러야 옳을 것이다.) 메이산의 간통을 처벌한 데서 보듯이 엄격하다. 더구나 구식 남편과 구식 부인들로 구성된 단일 문화적 요소에 신세대 지식인이 새로이 첩으로 들어가서 만들어지는 형태의 부부관계도 아마 일반적인형태의 부부관계는 아닐 것이다. 이 때문에 갈등의 소지를 미리 안고 있었다고 할 터인데, 그것은 이미 중화민국 시대의 사회학자인 陳東原이 지적한 바와 같다. 즉 그는 "남편을 이해할 수 없는 처와 옛날 식으로 결혼을 한 부부는 불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라던가, "대학 출신의 남자가 시골 출신의 여자와결혼하는데서 비극이 시작되었다"라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거꾸로 <홍등>에서 보는 것처럼 구식으로 사는 가족 내에 신식의 여성이들어간 경우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더구나 셋째 첩으로 들어간 사실은 그만큼 갈등의 소지가 더 많았음을 예언해준다.
Ⅵ.맺음말
장예모 감독의 초기 영화에는 대부분‘페미니즘’의 성격이 짙게 드러난다.
여기서 페미니즘이라고 단정지은 이유는 봉건적 페혜를 다른 대부분의 영화가 관객의 시선을 주로 남자 인물의 시선과 일치하게끔 구조화되는 것을 볼 수 있지만,위에서 열거한 영화들은 여성을 시점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즉 그이 영화는 봉거사회의 굴레 때문에 고달픈 삶을 영위하다 끝내 죽음 또는 펴명과 같은 극단적 비극을 맞이하게 되는 여성에게 있어 결말은 늘 가해자인 남성의 동정어린 시선쯤으로 처리되고, 따라서 관객들 역시 남성의 시선에서 여주인공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뭇 영화와는 확연히 다르다.
<홍등>에스는 줄곧 가부장 사회의 가장인 첸주어천의 얼굴을 분명히 드러내지 않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등장하여 대사는 하지만 의도적으로 정확한 형상은 보여주지 않는다. 이는 상징의 극치를 이루기 위해서인데, 그가 특수한 사람이 아니라, 당시 그만한 정도의 계급이나 위치의 사람이 모두 그러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영화에서 장예모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분명 가부장적인 사회의 모순점에 대한 비판이지만, 정작 비판을 받아야 할 대상은 뒤로 물러나 있고, 화살은 애꿎은 여인네들에게, 그것도 철저하게 의도적이고 잔인하게 꽂힌다. 진 씨 가문 지붕위의 밀실이 이것을 극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언제부터인지조차 모르는 오랜 세월동안 무수한 여인네들이 가문의 규율을 어겨따는 이유로 그 곳에 생매장을 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저 쉬쉬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처첩들의 갊과 또한 그런 끔찍한 현실 속에서도 서로 첸주어천 에게 총애받기 위해 속고 속이는 그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장예모 감독이 표현하는 직접적이고도 의도적인 인물조형 방식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네 명의 처첩의 성격을 통해 다음과 같이 중국 당 사회의 특정 계층으로 비유할 수 있다. 첫째 부인은 오랜 세월동안 진 씨 가문에서 몸을 담아 오면서 낡은 이습에 익숙해져 버린 인물로 속세를 달관한 종교인에 비유할 수 있다. 둘째 부인은 주위 인물들에게 선심을 얻기 위해 감언이설에 능한 인물로 정치 구술가에 비유할 수 있다. 셋째 부인은 풍류와 유희를 즐기며 속박을 싫어하며 은밀하게 자유연애를 즐기는 인물로 예술가에 비유할 수 있다. 넷째 부인은 대학을 다닌 적이 있고 , 젊고 열정적이며 , 단순하고 현실적인 인물로 지식인에 비유할 수 있다. 위의 방식으로 비유해 볼때, 지배계급의 상징물로 등장하는 진대인은 당시 중국사회의 지배층을 ,하녀 옌얼은 사회적 신분상승을 위해 투쟁하는 인물로서 일반 민중에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홍등에서는 여주인공들의 성격으로 당시 시대상황을 비판하며 한 작가 및 감독의 의도를 엿볼 수 있으며 ,동시에 진시 가문에 상존하는 전통체제와 관습에서 자본주의 체제에 들어선 90년대 중국의 모습을 연상 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사회 지배층에서 지속되어 온 낡고 잘못된 관습의 피해자인 종교인,정치가,예술가,지식인들이 아직 인습의 무거운 부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여전히 기존의 전통적 사고방식에 얽매여 기득권을 유지하고 ,자기이익만 챙기는데 급급한 당시 중국의 현실을 잘 대변해주고 있는 것이다.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 표현하려는 것에 대해 직접 정곡을 찌르지 않고 주로 여성의 시간,성격을 통해 어필했다는 점, 그래서 일부다처제의 가부장사회에서도 오히려 특정 남성의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고, 여성을 위주로 사건을 전개한 점은 그가 특정한 위치에 있는 인물이 아니라, 권력을 가진 불특정 다수의 남성들을 겨냥함으로써 부패한 기득권층을 상징화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초기작은 이렇게 중국의 현실과 이성을 주요체제로 삼은으로써 과거에 대한 철저한 폭로와 고발을 의도한 것들이 대부분으로 , 이는 암울했던 시대의 사회상을 여성의 섬세한 시간을 벌어 고발하려고한 장예모 감독의 의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논문>
조수성 저, 1997, <<90년대 중국여성의 지위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타 중국연구소
정영호,2005<< 영화 <紅燈>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권력 욕망>>,중국어문학연구회
백현주,2003<<처첩성군과 대홍등고고괘 의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신선미,2006<<장이머우 영화의 색채미학>>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서적>
클로디 브로이엘 지음, 1985, <<중국의 혁명과 여성해방, 하늘의 절반>>, 동녘
후지이 쇼조 지음, 김양수 옮김, 2001, <<현대중국, 영화로 가다>>, 지호
슈테판 그라머 지음, 황진자 옮김, 2000, <<중국영화사>>, 이산
이종희 지음, 2000, <<중국 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
첸가에는 적어도 주인첸과 한 명의 본부인, 그들 사이의 자녀가 둘, 둘째 부인인 쭈어윈과 그녀의 두 자녀, 셋째 부인인 메이산, 넷째가 된 송리엔, 하녀 이엔얼과 송씨, 발안마인, 집사 등등, 세로로는 3대에 걸쳐 있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후원 시스템 또한 만만치 않은 대가족 체제이다. 가족이 사는 주택 역시 그에 걸맞게 대규모이며, 그 집을 움직이는 규율 또한 셋째 부인(물론 이 경우 호칭상으로는 부인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첩이라고 불러야 옳을 것이다.) 메이산의 간통을 처벌한 데서 보듯이 엄격하다. 더구나 구식 남편과 구식 부인들로 구성된 단일 문화적 요소에 신세대 지식인이 새로이 첩으로 들어가서 만들어지는 형태의 부부관계도 아마 일반적인형태의 부부관계는 아닐 것이다. 이 때문에 갈등의 소지를 미리 안고 있었다고 할 터인데, 그것은 이미 중화민국 시대의 사회학자인 陳東原이 지적한 바와 같다. 즉 그는 "남편을 이해할 수 없는 처와 옛날 식으로 결혼을 한 부부는 불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라던가, "대학 출신의 남자가 시골 출신의 여자와결혼하는데서 비극이 시작되었다"라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거꾸로 <홍등>에서 보는 것처럼 구식으로 사는 가족 내에 신식의 여성이들어간 경우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더구나 셋째 첩으로 들어간 사실은 그만큼 갈등의 소지가 더 많았음을 예언해준다.
Ⅵ.맺음말
장예모 감독의 초기 영화에는 대부분‘페미니즘’의 성격이 짙게 드러난다.
여기서 페미니즘이라고 단정지은 이유는 봉건적 페혜를 다른 대부분의 영화가 관객의 시선을 주로 남자 인물의 시선과 일치하게끔 구조화되는 것을 볼 수 있지만,위에서 열거한 영화들은 여성을 시점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즉 그이 영화는 봉거사회의 굴레 때문에 고달픈 삶을 영위하다 끝내 죽음 또는 펴명과 같은 극단적 비극을 맞이하게 되는 여성에게 있어 결말은 늘 가해자인 남성의 동정어린 시선쯤으로 처리되고, 따라서 관객들 역시 남성의 시선에서 여주인공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뭇 영화와는 확연히 다르다.
<홍등>에스는 줄곧 가부장 사회의 가장인 첸주어천의 얼굴을 분명히 드러내지 않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등장하여 대사는 하지만 의도적으로 정확한 형상은 보여주지 않는다. 이는 상징의 극치를 이루기 위해서인데, 그가 특수한 사람이 아니라, 당시 그만한 정도의 계급이나 위치의 사람이 모두 그러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영화에서 장예모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분명 가부장적인 사회의 모순점에 대한 비판이지만, 정작 비판을 받아야 할 대상은 뒤로 물러나 있고, 화살은 애꿎은 여인네들에게, 그것도 철저하게 의도적이고 잔인하게 꽂힌다. 진 씨 가문 지붕위의 밀실이 이것을 극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언제부터인지조차 모르는 오랜 세월동안 무수한 여인네들이 가문의 규율을 어겨따는 이유로 그 곳에 생매장을 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저 쉬쉬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처첩들의 갊과 또한 그런 끔찍한 현실 속에서도 서로 첸주어천 에게 총애받기 위해 속고 속이는 그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장예모 감독이 표현하는 직접적이고도 의도적인 인물조형 방식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네 명의 처첩의 성격을 통해 다음과 같이 중국 당 사회의 특정 계층으로 비유할 수 있다. 첫째 부인은 오랜 세월동안 진 씨 가문에서 몸을 담아 오면서 낡은 이습에 익숙해져 버린 인물로 속세를 달관한 종교인에 비유할 수 있다. 둘째 부인은 주위 인물들에게 선심을 얻기 위해 감언이설에 능한 인물로 정치 구술가에 비유할 수 있다. 셋째 부인은 풍류와 유희를 즐기며 속박을 싫어하며 은밀하게 자유연애를 즐기는 인물로 예술가에 비유할 수 있다. 넷째 부인은 대학을 다닌 적이 있고 , 젊고 열정적이며 , 단순하고 현실적인 인물로 지식인에 비유할 수 있다. 위의 방식으로 비유해 볼때, 지배계급의 상징물로 등장하는 진대인은 당시 중국사회의 지배층을 ,하녀 옌얼은 사회적 신분상승을 위해 투쟁하는 인물로서 일반 민중에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홍등에서는 여주인공들의 성격으로 당시 시대상황을 비판하며 한 작가 및 감독의 의도를 엿볼 수 있으며 ,동시에 진시 가문에 상존하는 전통체제와 관습에서 자본주의 체제에 들어선 90년대 중국의 모습을 연상 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사회 지배층에서 지속되어 온 낡고 잘못된 관습의 피해자인 종교인,정치가,예술가,지식인들이 아직 인습의 무거운 부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여전히 기존의 전통적 사고방식에 얽매여 기득권을 유지하고 ,자기이익만 챙기는데 급급한 당시 중국의 현실을 잘 대변해주고 있는 것이다.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 표현하려는 것에 대해 직접 정곡을 찌르지 않고 주로 여성의 시간,성격을 통해 어필했다는 점, 그래서 일부다처제의 가부장사회에서도 오히려 특정 남성의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고, 여성을 위주로 사건을 전개한 점은 그가 특정한 위치에 있는 인물이 아니라, 권력을 가진 불특정 다수의 남성들을 겨냥함으로써 부패한 기득권층을 상징화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초기작은 이렇게 중국의 현실과 이성을 주요체제로 삼은으로써 과거에 대한 철저한 폭로와 고발을 의도한 것들이 대부분으로 , 이는 암울했던 시대의 사회상을 여성의 섬세한 시간을 벌어 고발하려고한 장예모 감독의 의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논문>
조수성 저, 1997, <<90년대 중국여성의 지위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타 중국연구소
정영호,2005<< 영화 <紅燈>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권력 욕망>>,중국어문학연구회
백현주,2003<<처첩성군과 대홍등고고괘 의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신선미,2006<<장이머우 영화의 색채미학>>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서적>
클로디 브로이엘 지음, 1985, <<중국의 혁명과 여성해방, 하늘의 절반>>, 동녘
후지이 쇼조 지음, 김양수 옮김, 2001, <<현대중국, 영화로 가다>>, 지호
슈테판 그라머 지음, 황진자 옮김, 2000, <<중국영화사>>, 이산
이종희 지음, 2000, <<중국 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