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제 2 장 종말론의 개념
제 1 절 종말론의 명칭
제 2 절 종말론의 의미
제 3 절 종말론의 내용
제 3 장 육체적 죽음
제 1 절 죽음의 성질
제 2 절 죽음의 원인
제 3 절 신자의 죽음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요 약
제 2 절 제 언
참고문헌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제 2 장 종말론의 개념
제 1 절 종말론의 명칭
제 2 절 종말론의 의미
제 3 절 종말론의 내용
제 3 장 육체적 죽음
제 1 절 죽음의 성질
제 2 절 죽음의 원인
제 3 절 신자의 죽음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요 약
제 2 절 제 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히 12:23; 계 21:27.
죽음은 신자들에게 있어서 종말이 아니라 완전한 생활의 시작이다. 고영민 역, ibid., p. 28.
그들은 쏘는 것과 두려움에서 자유하게된다. 성 경, ibid., 고전 15:55, 57; 히 2:15.
신자들의 사망은 형벌의 죽음이 아니라 징계이며 성 경, ibid., 롬 8:1,2, 고전 15:55.
적극적인 면으로 사망은 하나님께서 성도들의 성화를 위하여 택하신 방편이기 때문이다. 성 경, ibid., 고전 15:26.
외적으로 볼때 사망은 인생의 정말 같으나 신앙으로 볼때는 마지막이 아니라 완전한 생명을 가지고 그리스도와 같이 생활하려고 들어가는 관문이다. 그르므로 신자들에게는 사망이 종말이 아니라 완전한 생명의 시작인 것이다. 성 경, ibid., 빌 1:21; 벧전 4:12-13; 히 12:33; 고전 15:55; 계 21:27; 살후 1:7; 딤후 4:7-8.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요 약
종말론은 기독교에 특정지어서 있는 것은 아니다. 종말론은 모든 것의 마지막에 일어날 것들에 대하여 다룬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고 자유의지를 주셨다. 아담의 선택에 의해 인간은 타락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한 죄과는 죽음에 이르게 된다.(롬 6:23). 종말론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백성에대한 성화의 과정을 다룬다. 육체적인 죽음에 의해영원한 형벌을 받게될(행 24:15, 고전 15:42), 자들과 구별하여 하나님과 연합할수있는 준비를 하게 하신다.
신학적으로 말한다면, 죽음은 삶과 분리해서 생학할 수 없다. 오히려 죽음은 하나의 삶의 현장이로, 삶의 이쪽 측면으로, 시간안에서 당면하는 종말에 반응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죽음은 스스로 영원에 이르는 문이 된다. 죽은음 영원에 대한 도전이 되고 죽음은 우리의 삶을 통해 약속된 은총과 우리가 지상에서 가진 삶의 시간과 성취의 시간 사이에 어떤 시간적인 거리를 의미한다.
육체적인 죽음은 단순한 육체적 죽음에 대한 것에서 떠나서 하나님의 특별은 은총을 통한 “죄에서 해방시켜”(롬 6:22), 주심으로 영생의 축복을 주시기(롬 6:22), 위한 하나님의 은혜인 것이다.
제 2 절 제 언
개인적 종말론이라는 큰 제목을 만들고서 성경에 입각하여 진술할수 있을 것인가? 에대한 질문을 먼저 던저 보았다. 개인적 종말론을 연구함에있어 먼저 하나님에 대해서는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는 느끼고 실감하기에 앞으로 더 많은 박사 및 연구원들 또한 신학도들의 시간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종말론 부분에 있서서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것까지만 즉 하나님께서 알게 하고자 하시는 부분 이외에는 인간은 더 많은 것을 알 수가 없다. 그러기에 하나님과 많은 교재가 필요하며, 성경을 연구하는 자세로 바른 종말론에 관한 관을 갖을수 있도록 연구에 정진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단행본
이현갑, 기독교 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91.
정종호, 조직신학, 서울, 도서출판 한글, 1993.
황승룡, 조직신학(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이건호, 핵심조직신학(전7권 합본), 서울, 바실래출판사, 2005.
2. 성경류
1) 성 경, 개역 성경, 서울, 대한성서공회, 1956,
3. 번역서
고영민 역, 뻘콥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92..
고영민 역, 하지조직신학 제3권 종말론,(서울, 기독교문사, 1985.
라보도 김달생, 바른신학, 서울, 바른산앙사, 1992.
3. 원 서
Augustinus, "On the Rebuke and Grace", in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죽음은 신자들에게 있어서 종말이 아니라 완전한 생활의 시작이다. 고영민 역, ibid., p. 28.
그들은 쏘는 것과 두려움에서 자유하게된다. 성 경, ibid., 고전 15:55, 57; 히 2:15.
신자들의 사망은 형벌의 죽음이 아니라 징계이며 성 경, ibid., 롬 8:1,2, 고전 15:55.
적극적인 면으로 사망은 하나님께서 성도들의 성화를 위하여 택하신 방편이기 때문이다. 성 경, ibid., 고전 15:26.
외적으로 볼때 사망은 인생의 정말 같으나 신앙으로 볼때는 마지막이 아니라 완전한 생명을 가지고 그리스도와 같이 생활하려고 들어가는 관문이다. 그르므로 신자들에게는 사망이 종말이 아니라 완전한 생명의 시작인 것이다. 성 경, ibid., 빌 1:21; 벧전 4:12-13; 히 12:33; 고전 15:55; 계 21:27; 살후 1:7; 딤후 4:7-8.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요 약
종말론은 기독교에 특정지어서 있는 것은 아니다. 종말론은 모든 것의 마지막에 일어날 것들에 대하여 다룬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고 자유의지를 주셨다. 아담의 선택에 의해 인간은 타락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한 죄과는 죽음에 이르게 된다.(롬 6:23). 종말론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백성에대한 성화의 과정을 다룬다. 육체적인 죽음에 의해영원한 형벌을 받게될(행 24:15, 고전 15:42), 자들과 구별하여 하나님과 연합할수있는 준비를 하게 하신다.
신학적으로 말한다면, 죽음은 삶과 분리해서 생학할 수 없다. 오히려 죽음은 하나의 삶의 현장이로, 삶의 이쪽 측면으로, 시간안에서 당면하는 종말에 반응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죽음은 스스로 영원에 이르는 문이 된다. 죽은음 영원에 대한 도전이 되고 죽음은 우리의 삶을 통해 약속된 은총과 우리가 지상에서 가진 삶의 시간과 성취의 시간 사이에 어떤 시간적인 거리를 의미한다.
육체적인 죽음은 단순한 육체적 죽음에 대한 것에서 떠나서 하나님의 특별은 은총을 통한 “죄에서 해방시켜”(롬 6:22), 주심으로 영생의 축복을 주시기(롬 6:22), 위한 하나님의 은혜인 것이다.
제 2 절 제 언
개인적 종말론이라는 큰 제목을 만들고서 성경에 입각하여 진술할수 있을 것인가? 에대한 질문을 먼저 던저 보았다. 개인적 종말론을 연구함에있어 먼저 하나님에 대해서는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는 느끼고 실감하기에 앞으로 더 많은 박사 및 연구원들 또한 신학도들의 시간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종말론 부분에 있서서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것까지만 즉 하나님께서 알게 하고자 하시는 부분 이외에는 인간은 더 많은 것을 알 수가 없다. 그러기에 하나님과 많은 교재가 필요하며, 성경을 연구하는 자세로 바른 종말론에 관한 관을 갖을수 있도록 연구에 정진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단행본
이현갑, 기독교 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91.
정종호, 조직신학, 서울, 도서출판 한글, 1993.
황승룡, 조직신학(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이건호, 핵심조직신학(전7권 합본), 서울, 바실래출판사, 2005.
2. 성경류
1) 성 경, 개역 성경, 서울, 대한성서공회, 1956,
3. 번역서
고영민 역, 뻘콥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92..
고영민 역, 하지조직신학 제3권 종말론,(서울, 기독교문사, 1985.
라보도 김달생, 바른신학, 서울, 바른산앙사, 1992.
3. 원 서
Augustinus, "On the Rebuke and Grace", in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추천자료
- 바울의 종말론적 윤리
- 사도바울 요약 및 감상평 11 - 제21장 바울과 종말: 바울 신학의 종말론적인 구조와 천년왕국...
- [바울과 서신서 연구] - 자유주의, 종말론적 해석, 구원사적 해석, 유대교의 세계, 로마서
- 성인학습론 제2장 학습환경과 학습개념
- 청소년복지론 - 학교 폭력의 개념, 유형, 원인, 특성과 문제, 실태와 대책
- 교회론과 종말론
- 윌슨의 도덕성요소와 도덕교육론(개념분석법)
-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제론이 무엇이며, 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왜 사회복지에서 법제론...
- 사회복지법제론 중간고사 요약(사회복지법의 개념, 사회법의 등장과 원리, 영국과 독일의 사...
- [간호이론B형]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주요 개념, 대상자 1인을 선정하여...
- [수업매체론] 수업매체의 개념과 기능, 수업매체 종류(유형)
- ★ 호텔서비스론 -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호텔서비스의 특성과 고객만족 방안, 고객만족경영,...
- [교육정책론] 교육정책의 개념(정의)과 성격, 교육정책 형성과정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