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식중독의 정의
2.식중독의 특징
1) 증상 및 치사율
2) 잠복기
3) 식품 감염량
3. 식품 매개 식중독 종류
1) 세균성 식중독
(1) 감염형 식중독
(2) 독소형 식중독
2) 바이러스 식중독
(1) 노로바이러스
(2) 아스트로 바이러스
(3) 로타 바이러스
3) 자연독 식중독
4) 화학성 식중독
(1) 식품첨가물
(2) 환경오염 물질
(3) 잔류농약
5) 원충성 식중독
4. 식중독 발생현황
□ 최근동향
□ 향후 전망
1)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2) 월별 식중독 발생 현황
3)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현황
4) 시설별 발생 현황
5) 원인식품별 발생 현황
5. 국내·외 식중독 관리 현황
1) 우리나라의 식중독 관리 체계
2) 외국의 관리 현황 및 예방대책
6. 식중독 관리 및 규정
1) 식중독 관리 관련 규정
2) 자율적 대처방안
□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 PL 법 (Product Liability Act)
결 론
본론
1.식중독의 정의
2.식중독의 특징
1) 증상 및 치사율
2) 잠복기
3) 식품 감염량
3. 식품 매개 식중독 종류
1) 세균성 식중독
(1) 감염형 식중독
(2) 독소형 식중독
2) 바이러스 식중독
(1) 노로바이러스
(2) 아스트로 바이러스
(3) 로타 바이러스
3) 자연독 식중독
4) 화학성 식중독
(1) 식품첨가물
(2) 환경오염 물질
(3) 잔류농약
5) 원충성 식중독
4. 식중독 발생현황
□ 최근동향
□ 향후 전망
1)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2) 월별 식중독 발생 현황
3)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현황
4) 시설별 발생 현황
5) 원인식품별 발생 현황
5. 국내·외 식중독 관리 현황
1) 우리나라의 식중독 관리 체계
2) 외국의 관리 현황 및 예방대책
6. 식중독 관리 및 규정
1) 식중독 관리 관련 규정
2) 자율적 대처방안
□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 PL 법 (Product Liability Act)
결 론
본문내용
은 완전 자유화, 개방화하기에 이르렀으며, 매년 증가되는 수입품의 양적 팽창으로 21C 우리나라 전 국민의 총 섭취열량의 약 50% 이상을 수입품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식품문제가 곧 국내 문제화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식품안전이 중시되는, 자국의 소비자 보호를 우선시 하는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개정된 제조물책임(PL)법에 의하여 식품부문의 안전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인식이 요구된다.
1. PL의 개념
제조물책임(PL)이란 제조물의 결함으로 손해가 발생하여 생명, 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를 입은 자에게 제조업자가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하는 책임을 말한다. 현행 민법에서는 손해배상 요건이 제조자의 고의나 과실 책임인 반면 PL법에서는 무과실 책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책임이 됨에 따라 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제품의 결함을 입증하면 쉽게 피해에 대한 구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 PL기준에 의한 식품 결함 구분
1) 제조상의 식품결함
제조업자는 제조물에 대하여 제조, 가공상의 주의 의무의 이행여부에도 불구하고 제주물이 원래 의도 한 설계와 다르게 제조, 가공됨으로써 안전하지 못한 경우에 나타나는 결함이다. 이는 제조상 투입되는 원재료, 부재료의 투입 잘못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와 제조 공정상의 품질관리 부실, 제조 후 보관, 보존 등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유형이다.
2) 설계상의 식품결함
제조업자가 합리적인 대체 설계를 하였더라면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설계를 적용하지 아니하여 당해 제조물이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 나타나는 결함이다.
3) 설명, 경고상의 식품결함
이 결함을 제조업자가 합당한 설명, 지시, 경고의 표시를 하였더라면 당해 제조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의 결함을 말한다.
3. 제조물책임법의 영향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제조물의 안전성 강화
소비자의 신속한 피해구제
분쟁해결촉진
기업의 경쟁력 강화
사회보장제도의 보완효과
사회적 후생의 증대
자원배분의 효율성 제고
제조원가의 부담
인력자원의 낭비
신제품 개발의지 저하
및 개발 부담과 지연
기업 이미지 실추
제품가격상승
모기업의 요구증가로
인한 중소기업의 불리함
4. PL법에 대한 대응활동
° PLP(Product Liability Prevention)
: 제조물책임에 대한 예방을 위한 대응책이며, 제품의 설계, 생산 및 판매에 이르는 각 단계에서 없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 PLD(Product Liability Defense)
: 제조물책임방어로 구체적으로 문서의 작성 및 기록의 보관, 계약상의 주의 등 사고 발생 후에 소송 대비를 위한 것이다.
° PS(Product Safety)
: 개발 제조 판매에서 사용 서비스 폐업에 걸쳐 모든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PL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상의 대책으로서 사용자(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제품을 공습하기 위한 활동이다.
1) 제조물책임에 대한 홍보 및 전문교육의 활성화
2) PL보험의 가입
3) PL센터 설치운영
4) 식품리콜제도
5) 품질, 안전시스템의 체계 구축
6) 표시, 경고상의 결함대책
7) 최소유효기간과 최소소비기간 구별
결 론
이상으로 식품매개 식중독의 정의 및 종류와 국내외 발생 관리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 등은 원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식생활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수입식품이 증가하면서 식중독 발생 원인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아직 세균성 식중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세균성 식중독 발생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상당한 연구와 보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됨에 따라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등에 의한 식중독은 계속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균성 식중독이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집단 발병률은 증가하는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자주적인 위생관리제도인 HACCP적용의 활성화와 PL법의 도입은 불가피하다. 또한 제도들의 확산보급을 위하여 우리의 식품제조판매 환경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는 일을 정부 차원에서 주도하고 그 실효성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여건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의 안전성건전성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기술적이고 선진화된 자세로 대처할 때, 비로서 식품위생관리의 목적하는 바가 이룩될 것이다.
참고문헌
1) 최근의 식품안전관련 이슈와 정책대안 (보건복지포럼)
2) 식품의약품 안전청
www.kfda.go.kr
3) 식품안전정보서비스
www.foodnara.go.kr
4) 최근 집단식중독 발생현황과 단체급식소의 위생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Guidelines on the Right Practice of Sanitary Control in the Food Service Institutions from Trends of Recent Food Poisoning Outbreaks (울산대학교)
5) 식품 매개 식중독의 원인 및 국내, 외 발생현황 = Pathogenic agents and outbreak of foodborne diseases at home and abroad
6) 식품 안전성 확보 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rategy improving food safety
7) 국내·외 식중독 발생 및 관리동향
(2008.4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8) 제조물책입(PL)법 도입에 따른 식품부문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 = Safety in Articles of Food conform to the
Product Liability Act Introduction
9) 식중독 예방과 식품안전관리 방안
=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Food Safety Control
10) 식품의 안전성 확보와 HACCP 제도 =Guidelines for HACCP System in Food
1. PL의 개념
제조물책임(PL)이란 제조물의 결함으로 손해가 발생하여 생명, 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를 입은 자에게 제조업자가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하는 책임을 말한다. 현행 민법에서는 손해배상 요건이 제조자의 고의나 과실 책임인 반면 PL법에서는 무과실 책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책임이 됨에 따라 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제품의 결함을 입증하면 쉽게 피해에 대한 구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 PL기준에 의한 식품 결함 구분
1) 제조상의 식품결함
제조업자는 제조물에 대하여 제조, 가공상의 주의 의무의 이행여부에도 불구하고 제주물이 원래 의도 한 설계와 다르게 제조, 가공됨으로써 안전하지 못한 경우에 나타나는 결함이다. 이는 제조상 투입되는 원재료, 부재료의 투입 잘못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와 제조 공정상의 품질관리 부실, 제조 후 보관, 보존 등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유형이다.
2) 설계상의 식품결함
제조업자가 합리적인 대체 설계를 하였더라면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설계를 적용하지 아니하여 당해 제조물이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 나타나는 결함이다.
3) 설명, 경고상의 식품결함
이 결함을 제조업자가 합당한 설명, 지시, 경고의 표시를 하였더라면 당해 제조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의 결함을 말한다.
3. 제조물책임법의 영향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제조물의 안전성 강화
소비자의 신속한 피해구제
분쟁해결촉진
기업의 경쟁력 강화
사회보장제도의 보완효과
사회적 후생의 증대
자원배분의 효율성 제고
제조원가의 부담
인력자원의 낭비
신제품 개발의지 저하
및 개발 부담과 지연
기업 이미지 실추
제품가격상승
모기업의 요구증가로
인한 중소기업의 불리함
4. PL법에 대한 대응활동
° PLP(Product Liability Prevention)
: 제조물책임에 대한 예방을 위한 대응책이며, 제품의 설계, 생산 및 판매에 이르는 각 단계에서 없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 PLD(Product Liability Defense)
: 제조물책임방어로 구체적으로 문서의 작성 및 기록의 보관, 계약상의 주의 등 사고 발생 후에 소송 대비를 위한 것이다.
° PS(Product Safety)
: 개발 제조 판매에서 사용 서비스 폐업에 걸쳐 모든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PL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상의 대책으로서 사용자(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제품을 공습하기 위한 활동이다.
1) 제조물책임에 대한 홍보 및 전문교육의 활성화
2) PL보험의 가입
3) PL센터 설치운영
4) 식품리콜제도
5) 품질, 안전시스템의 체계 구축
6) 표시, 경고상의 결함대책
7) 최소유효기간과 최소소비기간 구별
결 론
이상으로 식품매개 식중독의 정의 및 종류와 국내외 발생 관리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 등은 원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식생활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수입식품이 증가하면서 식중독 발생 원인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아직 세균성 식중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세균성 식중독 발생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상당한 연구와 보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됨에 따라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등에 의한 식중독은 계속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균성 식중독이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집단 발병률은 증가하는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자주적인 위생관리제도인 HACCP적용의 활성화와 PL법의 도입은 불가피하다. 또한 제도들의 확산보급을 위하여 우리의 식품제조판매 환경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는 일을 정부 차원에서 주도하고 그 실효성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여건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의 안전성건전성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기술적이고 선진화된 자세로 대처할 때, 비로서 식품위생관리의 목적하는 바가 이룩될 것이다.
참고문헌
1) 최근의 식품안전관련 이슈와 정책대안 (보건복지포럼)
2) 식품의약품 안전청
www.kfda.go.kr
3) 식품안전정보서비스
www.foodnara.go.kr
4) 최근 집단식중독 발생현황과 단체급식소의 위생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Guidelines on the Right Practice of Sanitary Control in the Food Service Institutions from Trends of Recent Food Poisoning Outbreaks (울산대학교)
5) 식품 매개 식중독의 원인 및 국내, 외 발생현황 = Pathogenic agents and outbreak of foodborne diseases at home and abroad
6) 식품 안전성 확보 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rategy improving food safety
7) 국내·외 식중독 발생 및 관리동향
(2008.4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8) 제조물책입(PL)법 도입에 따른 식품부문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 = Safety in Articles of Food conform to the
Product Liability Act Introduction
9) 식중독 예방과 식품안전관리 방안
=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Food Safety Control
10) 식품의 안전성 확보와 HACCP 제도 =Guidelines for HACCP System in Foo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