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만화에 나타나는 일본미술의 영향력과 기법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만화에 나타나는 일본미술의 영향력과 기법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본만화의 역사
1 일본만화의 시작
2 일본만화의 영향력

Ⅲ 일본만화와 호쿠사이 만화와의 양식적 비교
1 가츠시카 호쿠사이
1) 우키요에 판화
2) 호쿠사이 만화
2 그 외 미술품들

Ⅳ 일본만화와 일본 전통미술과의 정신적 유사성
1 유희성과 해학성
2 선정성과 폭력성
3 장식성과 탐미성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도판목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릭터 연출에서도 일본만화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법칙을 따르고 있다. 서양권에서는 일본 특유의 구성이 드러나는 만화영상을 일컬어 \'재패니메이션(Japanimation=Japan+Animation)\'이라 부르기도 하며 점점 일본만화에서 볼 수 있는 표현방식을 도입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월트디즈니의〈라이온 킹(The Lion King)〉은 데즈카 오사무의〈정글대제(ジャングル大帝)〉에서 사자의 원형을 따와 동일하게 표현되었고, 일본만화광으로 알려진 영화감독 제임스 카메론(James Francis Cameron)은 영화〈터미네이터 2(Terminator 2)〉에서‘T-1000’이라는 캐릭터를 일본만화〈바벨 2세(バビル2世)〉의 로뎀에서 빌려 왔다. 한국만화애니메이션 학회,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p. 45.
그만큼 일본만화는 만화뿐 아니라 세계 영상매체에서도 지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만화의 표현기법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 만화의 원형적인 규칙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Ⅲ 일본만화와 호쿠사이 만화와의 양식적 비교
1 가츠시카 호쿠사이
가츠시카 호쿠사이는 근대 일본만화의 터를 닦은 \'만화의 아버지\'라 불릴만한 뛰어난 화가이다. 에도 출생인 그는 어린 시절부터 눈에 보이는 것은 무엇이든 그려낼 정도로 재능이 뛰어났으며 모든 판화 도안가들 중에 가장 작품을 많이 만든 판화가였다. 크리스틴 구스/강병직 역, 『에도시대의 일본미술』, (예경, 2004), p. 125.
그는 미국의 시사 월간지에서 발표한 지난 천 년간 세계사를 만든 100대 인물에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현재 일본 나가노(長野)현에는 호쿠사이관(北齎館)이라는 기념관이 세워져 있을 만큼 영향력있는 인물이다. 프랑스 애니메이션 감독인 미셸 오슬로(Michel Ocelot)가 여러 인터뷰에서 자신의 그림에 영감을 준 인물로 호쿠사이를 꼽은 사례를 비롯하여 만화업계의 많은 이들이 호쿠사이의 작품세계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안혜정, 『내가 만난 일본 미술 이야기』, (아트북스, 2003), pp. 51-54.
미셸 오슬로 감독은 특히 ‘프린스 앤 프린세스(Princes Et Princesses)\' 작품에서 직접적으로 호쿠사이의 그림을 차용하여 그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기도 했다.(도판 1) 그의 작품들은 현대의 만화적 감각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 만화가 거대한 문화 산업 형태로 도약할 수 있는 바탕에 에도 시대를 관통하는 300년의 긴 역사가 깔려 있음을 보여준다.
1) 우키요에 판화
에도 중기 이후부터 활약한 호쿠사이는 서양화의 음영법, 원근법을 도입하였고 다소 과장되나 힘있는 필법을 구사하였다. 특히 그는 움직임이 있는 사물의 표현에 뛰어나 당시 유행하던 우키요에로서는 드물게 구성적인 그림을 그렸다. 이미림 외, 『동양미술사 - 하권』, (미진사, 2007), p. 176.
그는 보통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순간을 예리하게 포착해서 그려내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호쿠사이의 대표적인 풍경판화 연작 《후가쿠36경(富嶽三十六景)》중 〈가나가와 난바다의 파도(神奈川沖浪裏)〉는 그의 순간포착 능력을 제대로 보여준다.(도판 2) 실제 파도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이것과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물방울의 묘사가 유사하다. 파도의 끝부분이 여러 방향의 무수한 물줄기로 갈라지며 물방울이 튀는 찰나의 순간이 잘 나타난 이 작품을 위해 그는 몇 년간 바닷가에 앉아 파도를 계속해서 바라보며 연구를 했다. 이러한 그의 연구는 움직임을 표현해내는 새로운 묘사 기법을 낳았고 이것이 순간순간의 움직임의 표현에 대한 열망으로 번져 만화적인 표현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오늘날 독자가 만화를 볼 때, 실제로는 종이에 인쇄되어 정지해 있는 그림인데도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것은 그것이 마치 움직이고 있는 현장의 순간을 카메라로 찍은 듯이 포착해낸 것이기 때문이다. 〈철완 아톰(腕アトム)〉등 각종 유명한 작품들로 일본에서는 \'만화계의 신\'이라 불리는 데즈카 오사무가 그린 〈신센구미(新選組)〉중 한 장면에는 핏방울과 물방울이 튀는 순간이 그려져 있다.(도판 3) 이는 호쿠사이의 것과 비교하면 물방울의 묘사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자아내게 하며 그만큼 호쿠사이의 순간 포착 능력이 뛰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후가쿠36경》중 〈산하백우(山下白雨)〉(도판 4)는 후지산 중턱에 비가 오면서 생기는 번개가 순간적으로 나타난 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이 역시 호쿠사이의 재치와 솜씨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실제 번개는 매우 짧은 순간에 번쩍이는 섬광이기 때문에 카메라 없이 이 현상을 그대로 묘사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호쿠사이의 작품은 실제 번개가 치는 순간을 담은 사진과 비교해보아도 전혀 손색이 없을 정도로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 작품을 보면 오늘날 만화에서 충격적인 상황임을 드러내기 위해 흔히 등장하는 번개 배경이 떠오르기도 한다.(도판 5) 이처럼 호쿠사이의 작품은 상세한 움직임에 대한 관심이 일찍부터 존재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만화의 동작 표현이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2) 호쿠사이 만화
만화는 통시성과 공시성을 가지고 있는 공유매체라는 점에서 시대의 사상과 인물들의 공감대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극사실적인 묘사보다는 대부분 약화로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호쿠사이 만화》는 대부분 도식화된 간결한 선으로 그려져 있는 일련의 삽화책이다. 1814년, 호쿠사이는 생활상의 가능한 모든 소재를 묘사한 이 책을 발표하여 당시 사람들의 큰 인기를 모았다. 이 만화집은 대체로 간략하고 간결한 표현으로 장식적이면서도 자유로운 인물들의 몸짓을 통해 현대 만화를 한 컷, 한 컷 잘라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이것은 모두 15편의 책으로 발표되어 그림만도 4천여 장면이 등장하며 그림 소재도 다양하여 일종의 만화 백과사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호쿠사이 만화》의 \'만화\'라는 제목은 오늘날 사용되는 뜻과는 다른 것으로 수필에 가까운 성질의 것이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만화의 기원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하다. 이 데생집은 눈으로 보는 사물.
  • 가격3,5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9.12.16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