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역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슬람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p2


본론

 Ⅰ. 이슬람의 태동과 왕조 1000년 -------------------------------------------- p3
  1. 이슬람 전 중동
  2. 이슬람의 태동
  3. 정통 칼리프 시대(632~661)
  4. 1차 내란의 의의(656년~661년)
  5. 옴미아드 왕조(661~750)
  6. 두 번째 내전(683년~692년)
  7. 아바스 왕조(750~1258)
  8. 후옴미아드 왕조(765~1031)
  9. A.D 756년, 우마이야 왕조의 에미르 세력권, 꾸르투바(스페인의 코르도바)

 Ⅱ. 셀주크 투르크에서 몽골제국의 침입까지 ---------------------------------- p10
  1. 비잔틴의 영광
  2. 투르크인의 등장
  1) 셀주크의 대 이동
  2) 셀주크 왕조
  3. 이집트의 샬라흐 알 딘 (아이유브 왕조)
  4. 몽골 제국의 침입
  5. 맘루크 왕조
  6. 몽골제국의 4개의 한국과 티무르 왕조
  7. 무굴제국

 Ⅲ. 십자군 전쟁 - 카톨릭과 이슬람의 상반된 견해 --------------------------- p17
  1. 카톨릭적 입장
  1) 십자군 전쟁 당시의 배경과 원인
   2) 1차~8차 십자군 전쟁
  2. 이슬람의 입장
   1) 십자군 전쟁 당시의 배경과 원인
   2) 이슬람의 입장

 Ⅳ. 오스만제국으로써의 이슬람 -------------------------------------------- p23
  1. 오스만의 제국의 간략한 연혁과 정보
   1. 건국
   2. 오스만 1세(초대 군주)
   3. 오스만 제국의 확장(16세기까지)
   4.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과 오스만에 대한 비잔티움의 영향
   5. 하기아 소피아
   6. 예니체리
   7. 모하치전투
   8. 레판토 해전
   9. 오스만 제국의 전쟁과 영토 상실 그리고 몰락
   10. 크림전쟁
   11. 탄지마트
   12. 러시아-투르크 전쟁
   13. 오스만 제국의 몰락
   14. 발칸 전쟁
   15. 청년 투르크
   16. 제 1차 세계대전

 Ⅴ. 근현대의 이슬람 ---------------------------------------------------- p35
  * 석유 이권, 민족운동 등으로 복잡하게 얽힌 나라들
  * 1970년대 이후에 두드러진 새로운 문제
  * 중동 현대사의 5단계
  * 복잡해지는 중동 세계
   1. 제1기 (1945~1956)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붕괴하는 시기
   2. 제2기 (1958~1967) 범아랍주의가 고양되는 시기
   3. 제3기 (1967~1979) 중동이 동요하는 전환기
   4. 제4기 (1980~1991) 분쟁의 초점이 석유의 주산지로
   5. 제5기 (1992~) 미국이 중동에 직접 개입하게 되는 대혼란의 시대

결론 ------------------------------------------------------------------- p39



참고문헌목록 ----------------------------------------------------------- p40

본문내용

된 러시아 제국과 연합국과의 전쟁이다. 연합에는 영국, 프랑스, 사르데냐 왕국, 오스만 제국이 참가하였다. 사르데냐 왕국은 크림 반도에 아무런 이권이 없고, 러시아와 특별히 대립 관계도 아니었지만, 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영국과 프랑스의 지원을 받을 계산으로 참전했다.
전쟁의 대부분은 흑해에 위치한 크림 반도에서 일어났으며, 1856년의 파리 조약으로 종전을 맞이하게 된다. 파리 조약의 결과로 러시아 제국은 다뉴브 하구 및 흑해 인근에서의 영향력을 잃게 되었고, 이후 흑해는 모든 국가에 대해 군함 통과 및 무장이 제한되며 중립이 선언된다.
또한 영국, 프랑스 등은 근동 지역의 안전을 위하여 당시 태동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의 개혁(탄지마트)을 촉구하였다. 당시 영국사람인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38명의 영국성공회 수녀출신 간호사들이 활약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진 사실인데, 그 결과 군인들이 이전보다 개선된 의료서비스를 받게 되어 군인들이 병이나 부상으로 죽는 비율이 낮아지게 되었다. 러시아는 알마 강 전투, 발라클라바 전투, 인케르만 전투, 세바스토폴 포위전 등 크림 전쟁에서 벌어진 4번의 전투에서 완패했다.
교전국은 연합국(영국, 프랑스, 오스만 제국, 사르데냐 왕국), 러시아 제국(불가리아 군단 포함)이었고, 연합군의 병력은 터키군 300,000명, 프랑스군 400,000명, 영국군 250,000명, 사르데냐군 18,000명, 총 968,000명이었고, 러시아 제국은 러시아군 700,000명, 불가리아군 4,000명 총 704,000명 이었다. Вое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М., Воениздат 1999, т.4, стр.315
피해상황은 연합군은 500,000명이 넘게 사망하였다. Ibid.
프랑스군은 약 100,000명 사망하였고 (10,240명은 전쟁 중 사망; 20,000명은 상처로 사망; 75,000명은 병으로 사망) Napoleon III, Pierre Milza, Perrin edition, 2004
, 영국군은 2,755명은 전쟁 중 사망, 2,019명은 상처로 사망, 16,323명은 병으로 사망하였고, 샤르데냐군 2,050명 사망하였다. John Sweetman, Crimean War, Essential Histories 2, Osprey Publishing, 2001, ISBN 1 84176 186 9, p.89
터키군은 200,000명이 전쟁 중 사망 Вое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Op. cit., стр.317
, 상처로 사망하였고, 50,000명은 병으로 사망하였다. Clive Pointing, The Crimean War: The Truth Behind the Myth, Chatto & Windus, London, 2004, ISBN 0 7011 7390 4, p.344
러시아 제국은 모두 522,000명 사망하였고 Dupuy and Dupuy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Macdonald and Jane\'s, 1970, p.829 gives the following figure for the Russian casualties: 256,000 total, of which 128,000 battle casualties
, 최소 60,000명에서 Royle. The Books \"Crimea\" and The Great crimean war\"
110,000명 사망하였다. Clive Pointing, loc. cit. gives the number of Russian dead as 475,000 which is much too high, probably a result of confusing the number of dead and wounded with the number of dead
11. 탄지마트
탄지마트(Tanzimat, 오스만 터키어: )는 1839년부터 1876년까지 실시된 오스만 제국의 개혁 정책이었다. 대영 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간섭, 그리고 압둘 하미드 2세의 등장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다른 이름은 은혜개혁으로도 불린다.
술탄 압둘마지드는 1839년 11월 3일에 장미의 방 칙령을 선포함으로써, 탄지마트 개혁을 선포했다. 개혁주의자들은 오스만 제국에 낡은 제도는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여겨 급진적인 개혁을 단행한다. 이것은 유럽의 합리주의적 사상을 본딴 것으로 유럽을 모방한 행정, 토지, 징병, 사법, 교육 제도의 근대화 및 부패한 관리를 없애는 데에 힘을 쏟는다.
이러한 노력에도 결국 탄지마트 개혁은 전반적으로는 실패하게 된다. 그 원인은 개혁의 손길이 오스만 제국 전역에 퍼지지 못하였고, 또한 중앙집권화에 불만을 품은 발칸반도의 기독교 자치구들은 자치권을 요구하게 된 것 등이 있다. 보수주의자들의 방해도 컸으며, 후에는 러투전쟁에 패하고, 열강들이 제국 깊숙이 파고들어 주권을 서서히 잃게 된다.
12. 러시아-투르크 전쟁
러시아-투르크 전쟁(1877년~1878년)은 크림 전쟁 이후 15번째 전쟁이다.
러시아는 크림 전쟁 이후 구실을 찾으려고 하던 중에, 1875년에 보스니아에서 봉기가 일어났는데, 이를 오스만 제국이 탄압하자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그러자 러시아가 중재를 나서 이스탄불에서 회의를 열었으나, 회의가 진행되지 않아 결국 러시아는 이 전쟁에 개입하게 된다.
결국 러시아는 발칸 반도 국가들과 함께 프레베 요새를 5개월 동안 포위, 공방 끝에 완전히 함락하고 이스탄불로 진격하였다. 결국 오스만 제국은 휴전을 요청한다. 『위키 백과사전』
13. 오스만 제국의 몰락
유럽의 베를린 조약으로 인해 1897~1898년의 짧은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에 보잘것없는 승리를 거우었지만, 발칸 전쟁으로 인해 오스만은 몰락으로 빠져 들어간다. Donald Quataert『오스만 제국사』, trans. 이은정, p105~106
14. 발칸 전쟁
제 1차 발칸 전쟁은 1912년 10월 18일에 발발하여, 1913년 5월 30일에 끝이 났다. 발칸 동맹국들과 불가리아, 세르비아 그리고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의 희생을 대가로 핵심적인 영토를
  • 가격5,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3.01.18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