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없음
본문내용
로 승압한다.
(2) 1차 변전소 : 발전소로부터 보내온 전압을 154[kV], 345[kV] 등으로 내려서 1차변전소에 내 보내는 송전용 변압기를 설비한 전력용 변전소이다.
(3) 2차 변전소 : 배전전압인 22.9[kV]로 내려서 공급한다.
[129] 변압기의 분류 및 구조
내철형 / 외철형 / 분포철심형 / 권철심형
철심(core)는 비 투자율과 저항률이 크고 히스테리시스손이 적은 규소강판(규소함유량 4%, 두께 0.3mm) 사용
변압기의 기름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
(1) 절연 저항 및 절연내력이 클 것
(2) 절연 재료 및 금속에 화학 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
(3) 인화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을 것
(4) 점도가 낮고,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5) 열전도율이 클 것
[130] 변압기 결선 <기출>
(1) △-△ 결선
선전류는 상전류에 비해 r3배이고 위상은 30도 뒤진다.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 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1상분이 고장이 나면 나머지 2대로써 V결선 운전이 가능하다
대전류에 적당하다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 사고의 검출이 곤란한다.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 하면 순환 전류가 흐른다.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 전류는 불평형
(2) Y-Y결선
선간 전압은 상전압에 비해 크기가 r3배이고 위상은 30도 앞선다.
1차 전압, 2차 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며 고압의 경우 이상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전압에 유리하다.
제3고조파 전류의 통로가 없으므로 기전력의 파형이 제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중성점을 접지하면 제3고조파 전류가 흘러 유도 장해를 일으킨다.
(3) Y-△, △-Y결선
한 쪽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 할 수 있다.
한쪽에 △결선이 있어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 되지 않는다.
1.2차 선간접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1상이 고장나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해 진다.
중성접지로 인하여 유도 장해를 초래한다.
(4) V-V결선
-△-△결선에서 1대 변압기 고장시 2대만으로도 3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소용량이면 가격이 저렴하다.
설비의 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로 저하된다.
부하상태에 따라서, 2차 단자 전압이 불평형이 될 수 있다.
[131] 3상 변압기 병렬운전 <기출>
-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각 변압기의 권수비가 같고, 1차와 2차의 정격 전압이 같을 것
각 변압기의 %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3상식에서는 위의 조건 외에 각 변압기의 상회전 방향 및 각 변위가 같을 것
[132] 변압기의 냉각 방식 <기출>
-건식 (공냉식/풍냉식)
-유입식 (유입자냉식/유입수냉식/유입송유식/유입풍냉식)
[133] 동기 발전기 병렬운전 <기출>
병렬조건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2)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3)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4)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5) 이 외에도 3상 동기 발전기의 병렬 운전 시에는 상회전 방향이 같아야 한다.
2. 병렬 운전 조건 불만족 시 현상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지 않은 경우
- 무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2) 기전력의 위상이 다른 경우
- 동기화 전류가 흘러 두 기전력의 위상을 같게 한다.
3) 기전력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
- 동기화 전류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흘러 난조의 원인이 된다.(난조 방지법 제동권선)
4) 기전력의 파형이 같지 않은 경우
- 기전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고조파 무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134] 직류 발전기의 병렬 운전 <기출>
목적
1) 1대의 발전기로 용량이 부족할 때
2) 경부하에 대해 효율 좋게 운전하기 위해서 (즉 전부하시 두 대로 병렬 운전하고, 경부하시는 한 대만 운전한다)
3) 예비기로 설치할 때 (점검, 보수측면에서 유리)
2. 병렬 운전 조건
1) 전압 및 극성이 같을 것
2) 외부 특성 곡선이 어느 정도 수하 특성일 것
3) 용량이 같으면 각 발전기의 외부 특성 곡선이 같을 것
4) 용량이 다를 경우 부하 전류로 나타낸 외부 특성 곡선이 거의 일치할 것
3. 직권 발전기와 복권 발전기의 병렬운전
- 직권계자가 있는 직류 직권발전기와 직류 복권발전기는 병렬운전을 안정히 하기 위하여 균압선을 설치해야 한다.
[135] 변압비 <기출>
변압기에 입력되는 전압(전원측을 말하며, 이를 1차 단자전압이라고 한다.)과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전압(부하측을 말하며, 이를 2차 단자전압이라고 한다.)과의 비율(比率)을 변압비라고 한다. 변압비는 변압기 1차 단자측의 권선수(코일을 감는 횟수를 권선수라고 한다)와 2차 단자측의 권선수의 비율로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변압기에서 345kV/154kV는 변압기 1차측으로 345,000V의 전압이 유입되어 2차측에서 154kV로 변성됨을 의미한다. 계기용변류기(CT)의 경우 4000/5A는 1차측의 4000A의 전류가 2차측에서 5A로 변환됨을 의미한다.
[136] 유도전동기와 동기전동기의 차이 <기출>
회전자계의 발생원리는 시간적으로 1초에 방향이 60번 바뀌는 (60hz)교류를 적절하게 회전자 주변의 고정자에 감아서 시간영역에서 보면 자계의 방향이 회전하는 것입니다.
대개 유도전동기는 단상과 3상 유도전동기가 있는데 단상은 교류 한상만 권선을 감은 것이라, 회전하지 않고 180방향으로 자계가 왔다 갔다 합니다.
3상은 a,b,c상의 전류가 서로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합을 나타내면 시간적으로 흘러갑니다.
유도기와 동기기의 차이는 유도기는 고정자에만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발생시키고 그 회전자계가 회전자에 유도전류를 유도시켜 회전자계와 회전자의 전류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원리입니다. 회전자계의 속도와 회전자가 실제로 회전하는 속도 차이를 slip이라고 합니다.
반면 동기기는 고정자에는 유도기와 같게 또는 비슷하게 권선을 감고 회전자에도 권선을 감아 전류를 흘려줍니다. 마치 회전자에 자석이 하나 있는 것처럼 권선을 감아서 고정자의 회전자계를
(2) 1차 변전소 : 발전소로부터 보내온 전압을 154[kV], 345[kV] 등으로 내려서 1차변전소에 내 보내는 송전용 변압기를 설비한 전력용 변전소이다.
(3) 2차 변전소 : 배전전압인 22.9[kV]로 내려서 공급한다.
[129] 변압기의 분류 및 구조
내철형 / 외철형 / 분포철심형 / 권철심형
철심(core)는 비 투자율과 저항률이 크고 히스테리시스손이 적은 규소강판(규소함유량 4%, 두께 0.3mm) 사용
변압기의 기름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
(1) 절연 저항 및 절연내력이 클 것
(2) 절연 재료 및 금속에 화학 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
(3) 인화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을 것
(4) 점도가 낮고,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5) 열전도율이 클 것
[130] 변압기 결선 <기출>
(1) △-△ 결선
선전류는 상전류에 비해 r3배이고 위상은 30도 뒤진다.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 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1상분이 고장이 나면 나머지 2대로써 V결선 운전이 가능하다
대전류에 적당하다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 사고의 검출이 곤란한다.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 하면 순환 전류가 흐른다.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 전류는 불평형
(2) Y-Y결선
선간 전압은 상전압에 비해 크기가 r3배이고 위상은 30도 앞선다.
1차 전압, 2차 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며 고압의 경우 이상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전압에 유리하다.
제3고조파 전류의 통로가 없으므로 기전력의 파형이 제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중성점을 접지하면 제3고조파 전류가 흘러 유도 장해를 일으킨다.
(3) Y-△, △-Y결선
한 쪽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 할 수 있다.
한쪽에 △결선이 있어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 되지 않는다.
1.2차 선간접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1상이 고장나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해 진다.
중성접지로 인하여 유도 장해를 초래한다.
(4) V-V결선
-△-△결선에서 1대 변압기 고장시 2대만으로도 3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소용량이면 가격이 저렴하다.
설비의 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로 저하된다.
부하상태에 따라서, 2차 단자 전압이 불평형이 될 수 있다.
[131] 3상 변압기 병렬운전 <기출>
-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각 변압기의 권수비가 같고, 1차와 2차의 정격 전압이 같을 것
각 변압기의 %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3상식에서는 위의 조건 외에 각 변압기의 상회전 방향 및 각 변위가 같을 것
[132] 변압기의 냉각 방식 <기출>
-건식 (공냉식/풍냉식)
-유입식 (유입자냉식/유입수냉식/유입송유식/유입풍냉식)
[133] 동기 발전기 병렬운전 <기출>
병렬조건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2)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3)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4)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5) 이 외에도 3상 동기 발전기의 병렬 운전 시에는 상회전 방향이 같아야 한다.
2. 병렬 운전 조건 불만족 시 현상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지 않은 경우
- 무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2) 기전력의 위상이 다른 경우
- 동기화 전류가 흘러 두 기전력의 위상을 같게 한다.
3) 기전력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
- 동기화 전류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흘러 난조의 원인이 된다.(난조 방지법 제동권선)
4) 기전력의 파형이 같지 않은 경우
- 기전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고조파 무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134] 직류 발전기의 병렬 운전 <기출>
목적
1) 1대의 발전기로 용량이 부족할 때
2) 경부하에 대해 효율 좋게 운전하기 위해서 (즉 전부하시 두 대로 병렬 운전하고, 경부하시는 한 대만 운전한다)
3) 예비기로 설치할 때 (점검, 보수측면에서 유리)
2. 병렬 운전 조건
1) 전압 및 극성이 같을 것
2) 외부 특성 곡선이 어느 정도 수하 특성일 것
3) 용량이 같으면 각 발전기의 외부 특성 곡선이 같을 것
4) 용량이 다를 경우 부하 전류로 나타낸 외부 특성 곡선이 거의 일치할 것
3. 직권 발전기와 복권 발전기의 병렬운전
- 직권계자가 있는 직류 직권발전기와 직류 복권발전기는 병렬운전을 안정히 하기 위하여 균압선을 설치해야 한다.
[135] 변압비 <기출>
변압기에 입력되는 전압(전원측을 말하며, 이를 1차 단자전압이라고 한다.)과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전압(부하측을 말하며, 이를 2차 단자전압이라고 한다.)과의 비율(比率)을 변압비라고 한다. 변압비는 변압기 1차 단자측의 권선수(코일을 감는 횟수를 권선수라고 한다)와 2차 단자측의 권선수의 비율로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변압기에서 345kV/154kV는 변압기 1차측으로 345,000V의 전압이 유입되어 2차측에서 154kV로 변성됨을 의미한다. 계기용변류기(CT)의 경우 4000/5A는 1차측의 4000A의 전류가 2차측에서 5A로 변환됨을 의미한다.
[136] 유도전동기와 동기전동기의 차이 <기출>
회전자계의 발생원리는 시간적으로 1초에 방향이 60번 바뀌는 (60hz)교류를 적절하게 회전자 주변의 고정자에 감아서 시간영역에서 보면 자계의 방향이 회전하는 것입니다.
대개 유도전동기는 단상과 3상 유도전동기가 있는데 단상은 교류 한상만 권선을 감은 것이라, 회전하지 않고 180방향으로 자계가 왔다 갔다 합니다.
3상은 a,b,c상의 전류가 서로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합을 나타내면 시간적으로 흘러갑니다.
유도기와 동기기의 차이는 유도기는 고정자에만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발생시키고 그 회전자계가 회전자에 유도전류를 유도시켜 회전자계와 회전자의 전류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원리입니다. 회전자계의 속도와 회전자가 실제로 회전하는 속도 차이를 slip이라고 합니다.
반면 동기기는 고정자에는 유도기와 같게 또는 비슷하게 권선을 감고 회전자에도 권선을 감아 전류를 흘려줍니다. 마치 회전자에 자석이 하나 있는 것처럼 권선을 감아서 고정자의 회전자계를
소개글